1_2 천간 읽고 쓰기, 상징물과 성향 추론하기 (2)
기에서 계까지 읽고 쓰기
己[기] [ ] 庚[경] [ ]
辛[신] [ ] 壬[임] [ ]
癸[계] [ ]
己는 작지만 잘 정리된 논과 밭, 즉 전답의 형상이다. 때문에 선택된 사람들이 더 잘 성장할 수 있는 터전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조건이나 입맛에 맞는 사람만을 포용하는 등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庚은 크고 가공되지 않은 무쇠의 형상이다. 때문에 과감하고 냉철하며, 철골구조물이나 중장비처럼 산업현장과 조직의 근간(뼈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포근한 구석이 없고 공격적이며 지나치게 원칙만 추구한다.
辛은 작고 가공된 금속의 형상이다. 때문에 주도면밀하고 치밀하며, 핵심 부품처럼 긴요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면도날처럼 날카롭고 타산적이며, 티나게 깔끔하고 잘난 체하는 단점이 있다.
壬은 깊고 넓은 물의 형상이다. 때문에 흐르는 강물처럼 유동적이고 호수나 바다처럼 탁 트였으며 시원시원하다는 느낌을 준다. 그러나 깊은 물처럼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고 장마비처럼 우울하며, 화가 나면 불어나는 큰물처럼 앞뒤를 안 가린다는 단점이 있다.
癸는 얕고 좁은 물의 형상이다. 때문에 식수와 같은 생명수의 역할을 하고 약수처럼 갈증(갈등)을 해소해주며, 가뭄에 내리는 한줄기 단비처럼 조직의 윤활유가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가을 가랑비처럼 싸늘하고 혼탁해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 독립개체적으로 볼 때 다음의 이미지에 가장 가까운 천간을 써보자.
ㄱ. 전부가 아니라 조건에 맞는 일부만 키워내려는 창업 인큐베이터 [ ]
ㄴ. 원형, 원판, 원칙, 의미, 취지, 기초 등을 중시하는 냉철한 이미지 [ ]
ㄷ. 주변의 더 큰 동일 성분에 흡수되어 주체성을 잃기 쉬운 이미지 [ ]
ㄹ. 반도체 부품, 절삭 공구, 금형, 다이아몬드, 칼, 결벽증 이미지 [ ]
ㅁ. 방해자 없는 곳으로 거침없이 흘러가야만 만족할 듯한 이미지 [ ]
해설: 뼈를 깎는 각오로 혁신해야 한다고 할 때, 같은 조건이라면 혁신의 칼자루를 쥐는 사람은 庚이 더 적합할 것이다. 사주 구성에 따라 변화의 차이가 있지만 고유의 성향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ㄱ. 己 ㄴ. 庚 ㄷ. 癸 ㄹ. 辛 ㅁ. 壬
【 연 습 문 제 】
01 다음 천간을 차례대로 읽어보자.
辛 戊 癸 己 乙
丁 庚 甲 壬 丙
02 천갑 甲에서 癸까지 순서대로 써보자.
[甲] [ ] [ ] [ ] [戊]
[ ] [ ] [ ] [ ] [癸]
03 거꾸로 천간 癸에서 甲까지 순서대로 써보자.
[癸] [ ] [ ] [ ] [己]
[ ] [ ] [ ] [ ] [甲]
04 특정 형상(ㄱ. ~ ㅇ.)에 어울리는 대안 제시(a. ~ h.)를 찾아 빈 칸에 써보자.
ㄱ. 꺼지는 모닥불 형상 ( d ) ㄴ. 무성한 잡목 형상 ( ) ㄷ. 신라시대 금관 형상 ( ) ㄹ. 바싹 마른 논밭 형상 ( ) ㅁ. 장마철 홍수 형상 ( ) ㅂ. 얼어붙은 음지 형상 ( ) ㅅ. 고갈된 식수 형상 ( ) ㅇ. 기름에 불붙은 형상 ( )
a. 평소에 톱, 칼(庚-辛)로 적절히 손질 b. 습기(壬-癸)와 화기(丙-丁)에 주의 c. 평소에 제방(戊-己), 배수관리 잘하기 d. 평소에 땔감(甲-乙)을 충분히 준비 e. 평소 관개용수(壬-癸) 개발에 노력 f. 젖은 모래나 흙(戊-己)을 끼얹는다. g. 따뜻한 햇살(丙-丁)을 가까이 한다. h. 광산(庚-辛) 암반에 고인 물 활용
해설: 알고자 하는 사람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사실을 확인하고, 확인된 모습을 어떻게 가꿀 것인지 대안을 찾는 문제이다. ㄱ. 땔감(甲ㆍ乙) ㄴ. 칼(庚ㆍ辛) ㄷ. 습기(壬ㆍ癸)와 화기(丙ㆍ丁) ㄹ. 관개용수(壬ㆍ癸) ㅁ. 제방(戊ㆍ己) ㅂ. 햇살(丙ㆍ丁) ㅅ. 광산(庚ㆍ辛) ㅇ. 흙(戊ㆍ己)
05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독립개체적으로 乙보다는 甲이 더 유연하고, 붙임성이 있다고 본다.
ㄴ. 독립개체적으로 丙보다는 丁이 더 은근하고 다소곳한 성향에 가깝다.
ㄷ. 구성변화적으로는 己가 戊보다 더 포용력이 있고 원만한 경우도 많다.
ㄹ. 독립개체적으로 辛이 庚보다 깔끔하고 예쁘게 꾸미는 형상이다.
ㅁ. 구성변화적으로 癸가 壬보다 수량이 더 많고 유동적인 경우는 없다.
ㅂ. '더 필요로 하는' 천간이 튼튼한 형상이면 목표가 크고 분명한 성향이다.
해설: ㄱ.甲보다는 乙이 ㅁ.있다
ㅂ.에서 '더 필요로 하는' 천간은 길신(吉神)-용신(用神) 등과 관련이 있다. 길신은 '사주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기운' 이라는 의미이다. 여기서는 길신 또는 용신이 천간이고 질적으로 튼튼한 형상이면 그렇지 못한 경우보다 목표나 이상이 크고 분명한 경우가 많다 정도로만 이해하면 된다. 사주명리에서 언급되는 神은 기운(氣)을 뜻한다.
06 독립개체적으로 丙은 불의 자존심이고, 壬은 물의 자존심이다. 물은 불을 꺼뜨리고, 불은 물을 끓인다. 남녀가 각각 丙ㆍ壬인 경우의 성격 차이를 생각해보자.
07 다음 이미지에서 보이거나 연상될 수 있는 천간을 모두 말해보자. 그리고 그 천간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보자.
해설: 이미지에서 보는 것처럼 어느 것 하나 가치 없는 것이 없다. 하나하나가 모두 가치가 있고 소중하다. 그리고 서로가 상호작용을 하며 그 가치를 더해간다. 사주도 그렇다. 어느 사주 하나 가치 없는 것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