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인줄 간지 결합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甲寅 즉 寅과 결합한 甲은 위아래가 쭉 뻗은 훤칠하게 자란 나무 형상으로, 기둥의식과 책임감이 있지만 단조롭기 쉬운 성향이다.

 

  乙卯 즉 卯와 결합한 乙은 다듬지 않은 무성한 정원수 형상으로, 자연미가 있고 생기발랄하지만 세련미가 떨어지기 쉬운 성향이다.

 

  丙辰 즉 辰과 결합한 丙은 화려하게 저무는 노을 형상으로, 빛나는 존재로 남기를 바라면서도 물러갈 때에는 마음을 바꾸기도 하는 성향이다.

 

  丁巳 즉 巳와 결합한 丁은 촛불 형상인데 巳를 만나 봉홧불이 된 경우로, 어두운 구석이 없고 숨김도 없지만 종종 다혈적이기도 쉬운 성향이다.

 

  戊午 즉 午와 결합한 戊는 미열을 함유한 대지나 광야의 형상으로, 시야가 넓고 차별적이지 않지만 생기와 감성이 건조해지기 쉬운 성향이다.

 

  己未 즉 未와 결합한 己는 밑에서부터 위로 굳어가는 전답의 형상으로, 홍수(세파)에도 끄떡없지만 생산성과 효율이 낮아지기 쉬운 성향이다.

 

  庚申 즉 申과 결합한 庚은 무쇠덩어리, 불도저, 탱크 등의 형상으로, 저돌적이고 과단성이 있지만 외골수적이고 우둔해 보이기 쉬운 성향이다.

 

  辛酉 즉 酉와 결합한 辛은 안팎이 금붙이 형상으로, 세간의 이목을 끌지만 세칭 왕자병이나 공주병 증세를 보이기도 쉬운 성향이다.

 

  壬戌 즉 戌과 결합한 壬은 저수지나 호수의 물 형상으로, 예견력과 준비성이 있지만 유입수(공부)가 없으면 탁해지기 쉬운 성향이다.

 

  癸亥 즉 亥와 결합한 癸는 亥와 합류하여 강이 된 형상으로, 멈춤이 없고 하위계층과 융화도 잘하지만 규율 제재에 발끈하기 쉬운 성향이다.

 

 

1) 甲寅에서 癸亥까지 순서대로 완성해보자.

  [     ]    [乙卯]    [     ]    [丁巳]

  [     ]    [己未]    [     ]    [辛酉]

  [     ]    [癸亥]

 

2) 거꾸로 癸亥에서 甲寅까지 순서대로 완성해보자.

  [     ]    [壬戌]    [     ]    [庚申]

  [     ]    [戊午]    [     ]    [丙辰]

  [     ]    [甲寅]

 

3) (예)를 참고하여 제시된 형상을 충족시키는 두 가지 간지 결합을 쓰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예) 사막-황야: 뜨거운 직사광선 [丁巳] + 열을 받고 있는 흙 [戊午]  

 ㄱ. 장갑차-헬기: 쇠 덩어리 [    ] + 정밀부품 [    ]

 ㄴ. 수목원-숲: 큰 나무 군락 [    ] + 작은 나무 군락 [    ]

 ㄷ. 불어난 호수: 얕은 호수 [    ] + 불어난 냇물 [    ]

 ㄹ. 과수원: 정리정돈 된 땅 [    ] + 잘 자란 유실수 [    ]

 ㅁ. 불놀이: 꺼져가는 불 [    ] + 장작더미 [    ]

 

 

  해설: 예에서 왼쪽의 형상은 가운데 결합체와 오른쪽의 결합체가 만나서 이루어진 것이다.    ㄱ. (庚申)+(辛酉)     ㄴ. (甲寅)+(乙卯)      ㄷ. (壬戌)+(癸亥)     ㄹ. (己未)+(甲寅-乙卯)      ㅁ. (丙辰)+(甲寅-乙卯)

 

 

 

    【 연 습 문 제 】

 

 

01 甲子에서 癸亥까지 간지 결합-육십갑자를 순서대로 완성해보자.

 

간지

甲子

 

 

 

 

 

 

 

 

 

 

 

 

 

 

 

 

 

 

 

 

 

 

 

 

 

 

 

 

 

 

 

 

 

 

 

 

 

 

 

 

 

 

 

 

 

 

 

 

 

 

 

 

 

 

 

 

 

 

 

 

 

 

 

 

 

 

 

 

 

 

 

 

 

 

 

 

 

 

 

 

 

 

 

 

 

 

 

 

 

 

 

 

 

 

 

 

 

 

 

 

 

 

 

 

 

 

 

 

 

 

 

 

 

 

 

 

 

 

癸亥

 

 

  해설: 간지 결합이 순서대로, 거꾸로 잘되어야 몇 년 전후(前後), 몇 달 전후 등의 운(運) 간지를 자연스럽게 염출하여 분석할 수 있다.  

 

 

02 지지와 결합한 천간의 독립개체적인 성향을 추론함으로써 일반적이고 공통된 성향에 대한 근접도를 서로 비교해볼 수 있다. 다음의 (예)를 참고하여 질문에 답해보자.

 

 (예) 甲子,   甲午,   丙辰,   庚午 중 자존심이 가장 강해 보이는 천간과 그 이유는?

 甲子: 다른 천간들은 본성을 잃어가는 형상이지만, 甲子는 물을 흡수하여 더 유지하는 형상이므로.

 

 ㄱ. 壬戌,   庚辰,   辛巳,   癸巳 중 고집이 가장 셀 것 같은 천간과 그 이유는?

 

 ㄴ. 乙巳,   乙未,   乙酉,   乙卯 중 가장 지기 싫어할 것 같은 천간과 그 이유는?

 

 

  해설: 성격을 추론하는 과정에서 자존심과 고집 등은 누구에게서나 찾아볼 수 있다. 이 문제는 그러한 공통된 성향들이 어떠한 경우에 더 많이 작용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자존심이나 고집은 통상 지지와 천간이 같은 기운인 경우와 천간이 지지를 딛고 서 있는 형상의 경우에 더 강하다고 본다.

 ㄱ. 庚辰: 무쇠 형상의 천간이 땅에 굳건히 서있는 형상이므로. (壬戌의 壬은 제방에 막히고, 辛巳의 辛은 불에 달궈지고, 癸巳의 癸는 증발하고 있어 자신의 본성만을 고집하기 힘들다.)

 ㄴ. 乙卯: 위아래가 같은 기운으로, 목에 힘이 들어간 형상이므로. (乙巳의 乙은 타고 있고, 乙未의 乙은 말라가고, 乙酉의 乙은 잘린 형상이라 자존심을 유지하기 벅차다. 하지만 예외는 항시 있다. 예를 들어 乙未의 乙이 마른땅에 뿌리를 내린 상황이면 고난을 극복한 후라 웬만해선 꺾이지 않으려고 할 것이다.)

 

 

03 庚辰ㆍ庚戌,   甲辰ㆍ甲戌,   壬辰ㆍ壬戌의 천간은 구성에 따라 각각 빌딩의 철골구조물, 동량지목, 다목적댐 등 그 쓰임새(용도)가 비교적 크고 강성인 곳으로 나타날 수가 있다. 만일 자녀가 이러한 천간 형상이라면 어떠한 진로 조언을 해줄 수 있을지 생각해보자. 그리고 땅에 의존하고 있는 이러한 형상들은 땅의 흔들림(지진)으로 인한 피해에 더욱 대비를 잘해야 하는데, 실생활 속에서 지진에 비유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일지 생각해보자.

 

 

04 한강과 여의도공원 주변의 이미지에서 보이거나, 보이지 않아도 연상하고 추론해볼 수 있는 간지 결합을 모두 말해보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