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의 오행 구분

―寅ㆍ卯                ―巳ㆍ午

―辰ㆍ未ㆍ戌ㆍ丑

―申ㆍ酉                ―亥ㆍ子

 

  甲ㆍ乙ㆍ寅ㆍ卯木을 대변하는 木氣는 산소, 열매, 땔감 등을 아낌없이 제공해주고 한쪽 방향으로 계속 자라는 성질이다. 때문에 인정이 많다, 잘 베푼다, 직선적이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는다, 뿌리를 계속 뻗는다(세력을 끝없이 확장하려고 한다) 등의 성향으로 추론된다.

 

  丙ㆍ丁ㆍ巳ㆍ午火를 대변하는 火氣는 어둠을 가시게 하고 문명을 밝히며, 쇠를 녹이고 추위를 이기게 하는 성질이다. 때문에 계몽정신이 강하다,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하려고 한다, 숨기지 않는다, 화끈하다, 처음보다 끝이 넓은 역삼각형이다(어쩐지 불안해 보인다) 등의 성향으로 추론된다.

 

  戊ㆍ己ㆍ辰ㆍ未ㆍ戌ㆍ丑土를 대변하는 土氣는 삼라만상의 생육터전과 쉼터가 되어주는 성질이다. 때문에 포용력이 넓다, 원만하다, 둥글둥글하다, 타협을 잘한다, 사찰의 보살 같다, 중후하고 무게가 나간다 등의 성향으로 추론된다.

 

  庚ㆍ辛ㆍ申ㆍ酉金을 대변하는 金氣는 산업과 조직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전쟁을 주도하는 성질이다. 때문에 뼈대의식이 강하다, 서릿발 같다, 완벽한 기계 같다, 대충 넘어가지 못한다, 각이 져 있어 대중친화성(붙임성)이 적다 등의 성향으로 추론된다.

 

  壬ㆍ癸ㆍ亥ㆍ子水를 대변하는 水氣는 사계절 변함없이 흘러가고 흘러드는 만물의 생명수 역할을 한다. 때문에 유동성과 이동성이 강하다, 시원하다, 오래 머물려 하지 않는다, 순리적이다, 화나면 홍수처럼 쓸어버린다 등의 성향으로 추론된다.

 

 

1) 지지의 오행을 구분해보자.

 寅[    ]     卯[    ]     辰[    ]     巳[    ]

 午[    ]     未[    ]     申[    ]     酉[    ]

 戌[    ]     亥[    ]     子[    ]     丑[    ]

 

2) 제시된 성향과 이미지에 가장 적합한 오행 기운을 쓰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ㄱ. 완벽하다, 냉정하다, 각지다, 악착같다, 뼈대의식, 근본주의   [    ]

 ㄴ. 베푼다, 계속 세력을 뻗친다, 일방적이고 직선적이다, 인정주의   [    ]

 ㄷ. 유동성, 이동성, 화나면 무섭다, 시원하다, 고이면 썩는다, 순리주의   [    ]

 ㄹ. 느리다, 포용력, 모나지 않다, 무게 잡는다, 중화ㆍ조화주의   [    ]

 ㅁ. 툭 터놓다, 속을 꿰뚫다, 밝고 환하다, 왠지 불안하다, 계몽주의   [    ]

 

 

  해설: 각 오행의 대표적인 장ㆍ단점 성향 이해에 관한 문제이다. 왜 그렇게 추론되는지는 본문 내용을 참고하도록 한다. 이제부터 천간 성향은 천간 고유의 성향에 지지와 결합한 상태의 성향 그리고 오행 기운으로서의 성향을 모두 고려하여 추론하면 된다.

ㄱ. 金氣     ㄴ. 木氣     ㄷ. 水氣     ㄹ. 土氣     ㅁ. 火氣

 

 

 

    【 연 습 문 제 】

 

 

01 다음 오행에 해당하는 간지를 표의 빈 칸에 써보자.

 

 木

火 

土 

 金

水 

 

 

 

 

 

 

 

02 다음 간지의 오행을 빈 칸에 써보자.

 

 己[    ]     辛[    ]     丙[    ]     壬[    ]

 戊[    ]     甲[    ]     庚[    ]     乙[    ]

 丁[    ]     癸[    ]     申[    ]     巳[    ]

 辰[    ]     戌[    ]     子[    ]     未[    ]

 寅[    ]     亥[    ]     卯[    ]     酉[    ]

 午[    ]     丑[    ]

 

 

03 독립개체적으로 볼 때 서로 관계있는 오행 기운의 특징끼리 선으로 연결해보자.

 

ㄱ. 환절기, 포용, 중앙     ㄴ. 심장, 적색, 계몽성     ㄷ. 신장, 유동성, 긴 밤     ㄹ. 인정미, 청색, 기획     ㅁ. 폐, 뼈대, 서쪽, 흰색

 

a. 이것이 강하면 스태미너가 좋아진다.     b. 이것이 강하면 간이 크고 담대하다.     c. 이것이 약하면 속이 자주 쓰리다.     d. 이것이 약하면 노이로제에 잘 걸린다.     e. 이것이 약하면 특히 흡연을 금해야 한다.

 

  해설: ㄱ. ~ ㅁ.은 각 오행 기운이 상징하는 것이고,  a. ~ e.는 각 오행 기운의 상태에 의한 인체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ㄱ.―c.    ㄴ.―d.    ㄷ.―a.    ㄹ.―b.    ㅁ.―e.

  

 

04 다음 문장 중 타당하지 않은 설명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현재의 사주명리 논리는 간지와 오행 기운의 결합으로 체계화되었다.

 ㄴ. 土 간지는 모두 동일한 土의 형상이므로 그 특징도 모두 동일하다.

 ㄷ. 火氣와 水氣, 木氣와 金氣는 계절ㆍ방위상 서로 대립되는 관계이다.

 ㄹ. 봄여름가을겨울을 연결해주는 환절기는 金氣에 해당한다.

 ㅁ. 설계는 木氣, 시공은 火氣, 완공은 金氣, 분양은 水氣가 맡는 것이 좋다.

 ㅂ. 현재의 태극기에서 없는 색은 오행 중 火氣의 색깔이다.

 ㅅ. 더 필요로 하는 오행이 튼튼한 형상이면 해당 성향이 강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ㅇ. 불필요한 오행이 튼튼한 형상이면 해당 성향이 약점으로 작용하기 쉽다.  

 

  해설: ㄴ. 서로 다른, 서로 다르다.     ㄹ. 土氣     ㅂ. 土氣 

 

 

05 자신이 甲木이면서 더 필요로 하는 오행이 木氣인 남자와 자신이 庚金이면서 더 필요로 하는 오행이 金氣인 여자의 팀워크ㆍ궁합에 대해 생각해보자.

 

 

06 다음 이미지에서 보이거나, 보이지 않아도 연상할 수 있는 오행 기운을 모두 말해보자. 그리고 그 오행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보자.  

 

 

 

  참고: 소리에도 오행이 있어서 이름을 짓는데 활용되고 있다. 한글 자음 ㄱㆍㅋ,   ㄴㆍㄷㆍㄹㆍㅌㅇㆍㅎ,   ㅅㆍㅈㆍㅊ,   ㅁㆍㅂㆍㅍ로 구분하여,  사주에 金氣가 더 많이 필요한 구성이면 ㅅㆍㅈㆍㅊ이 들어가는 철수, 수정 등으로 이름을 짓는 방식이다. 여기에다 곧 학습하게 될 오행 상생상극 이치가 더해지고, 한자 등도 고려하게 된다. 한편 ㅁㆍㅂㆍㅍ을 土로,  ㅇㆍㅎ을 水로 해야한다는 주장도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