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천간 읽고 쓰기상징물과 성향 추론하기    천간을 읽고 쓸 수 있도록 연습하고,  자연에서의 천간 상징물을 연상해보며,  그 상징물에서 느껴지는 기운을 인간 성향과 연계하여 추론해본다.

  1_1  개요 甲 ~

  1_2  己 ~ ,  연습문제

 

 2. 지지 읽고 쓰기냉온건습과 용도 이해하기     지지를 읽고 쓰면서 독립개체적인 자연 상징물을 연상해본다. 나아가 그 상징 기운이 냉한지  더운지건조한지  습한지를 알아보고 쓰임새(용도)를 추론해본다.

  2_1  개요,  ~

  2_2  ~ ,  연습문제

 

 3. 간지결합 연습과 육십갑자 형상별 성향,  대안 추론하기     60개의 간지 결합_육십갑자를 쓸수 있도록 연습하고,  6개 지지와 결합한 천간들의 형상과 성향 추론형상별 대안 찾기를 해본다.

  3_1  개요 甲子 ~ 癸酉

  3_2  甲戌 ~ 癸未甲申 ~ 癸巳

  3_3  甲午 ~ 癸卯甲辰 ~ 癸丑

  3_4  甲寅 ~ 癸亥연습문제

 

 4. 간지의 오행 구분과 오행별 특징성향 이해하기    간지를 오행으로 구분해보고,  오행 기운이 상징하는 자연물계절방위업무단계인체색상 등과 오행별 특징 성향을 추론해본다.

  4_1  개요천간의 오행 구분

  4_2  지지의 오행 구분,  연습문제

 

 5. 간지의 음양 구분과 음양 성향 추론하기     천간과 지지를 음과 양으로 구분하고,  자연-인간-사회 속에서 음양이 무엇을 상징하는지,  음과 양의 성향은 무엇인지 추론해본다.

  5_1  개요천간의 음양 구분

  5_2  지지의 음양 구분연습문제

 

 6. 상생상극 관계와 간지 힘의 득실 이해하기     오행 상호간에 서로 생하는 관계인지,  서로 극하는 관계인지의 여부와 결합된 간지끼리의 생극 여부  그리고 독립개체적인 힘의 득실 여부를 알아본다.

  6_1  개요,  오행의 상생관계

  6_2  오행의 상극관계,  연습문제

 

 7.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와 필요한 간지 이해하기     오행 상생상극 관계의 주체와 객체가 한 쪽으로 지나치게 치우친 경우의 간지 형상과 그 형상 개선에 필요한 간지를 알아본다.  이는 구성변화적인 이해의 첫걸음이다.

  7_1  개요생이 지나친 관계

  7_2  극이 부족한 관계생이 부족한 관계

  7_3  연습문제

 

 8. 육친(육신) 관계와 육친별 특징,  성향 추론하기     오행의 생극 관계에서 비롯되는 인수식상재성관살견겁이라는 육친(육신)의 성립과 육친별 상징성 및 성향을 추론해본다.

  8_1  개요

  8_2  인수 관계식상 관계

  8_3  재성 관계관살 관계

  8_4  견겁 관계,  (육친 생극),  연습문제

 

 9. 편 육친_십신 관계와 성향 비교,  쓰임새 추론하기     육친 관계를 음양에 따라 다시 구분한 정편 관계_십신의 성립과 십신별 특징적인 성향을 비교하고,  그 용도를 추론해본다.

  9_1  개요,   정인편인 관계

  9_2  상관식신,   정재편재 관계 

  9_3  정관편관,   겁재비견 관계

  9_4  연습문제

 

 10. 육친 생극 관계로 가족관계 성립 이해하기     육친의 생극 관계에서 비롯되는 조부모, 부모, 남편, 시댁, 아내, 처가, 자식, 손자 등 가족관계의 성립에 관해 알아본다.

 

 11. 생일을 사주간지로 바꾸는 과정의 이해와 사주구성 연습하기     생일의 년시를 간지로 바꾸는 과정을 이해하고,  사주 간지를 정확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연습하며,  관련사항을 추론해본다

  11_1  개요,  사주구성

  11_2  년주 구성

  11_3  월주 구성일주 구성

  11_4  시주 구성

  11_5  시지 구분,  시간의 결정

  11_6  연습문제

 

 12. 사주에서 일간오행음양육친가족강약조후길신 확인하기     사주 간지의 기입 방법과 명칭을 알아보고,  일간오행음양육친가족강약조후길신 등을 확인하여  관련사항을 추론해본다.

  12_1  개요,  사주 간지 쓰는 방법

  12_2  일간일주,  오행,  음양,  편 육친 확인하기

  12_3  가족조후 확인하기

  12_4  길신 확인하기연습문제

 

 13. 대운 간지와 대운 수,  () 간지의 의미 이해하기     대운 간지와 대운 수를 정하는 규칙 및 기입 방법을 알아보고,  대운, 년운, 월운, 일운, 시운의 의미와 영향을 분석해본다.

  13_1  개요대운 간지 기입

  13_2  대운 수(),  운 간지 확인

  13_3  연습문제

 

 14.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의 사주 예와 특징 추론하기     특정한 기운이 태과불급한 경우의 생극 작용을 여러 사주 간지 예를 통해 살펴보고,  특징 사항을 추론해본다.

  14_1  개요水氣가 태과한 사주 예

  14_2  木氣가 태과한 사주 예

  14_3  火氣가 태과한 사주 예

  14_4  土氣가 태과한 사주 예

  14_5  金氣가 태과한 사주 예

  14_6  연습문제

 

 15. 음양 간지 구성별 사주 예와 성향,  쓰임새 이해하기     사주 간지의 음양 비율 및 위치 등에 따른 음양 성향을 사주 예를 통해 알아본다.    

  15_1  음양 간지 비율음양 간지 위치

  15_2  연습문제

 

 16. 오행 기운의 특징 활용과 쓰임새,  사주 예 이해하기     2. 지지,  4. 오행,  12_2 오행 확인하기에서 학습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오행 기운의 활용쓰임새와 사주 예를 알아본다.

  16_1 木氣,   火氣의 특징과 활용

  16_2 土氣,   金氣의 특징과 활용

  16_3 水氣의 특징과 활용,   연습문제

 

 17. 육친_십신 구성별 사주 예와 활용,  쓰임새 추론하기     육친_십신의 특징적인 구성별 사주 예와 진로 설정에 활용되는 예를 알아본다.

  17_1  인수,  식상의 특징과 쓰임새

  17_2  재성관살의 특징과 쓰임새

  17_3  견겁의 특징과 쓰임새연습문제

 

 18. 월지월령과 주기(主氣),  월률장간지장간의 주기 및 길신과의 관계 이해하기     사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월지-월령과 주된 기운,  월지-월률 장간과 지장간의 주()() 기운 및 주된 기운과 길신과의 관계 등을 알아본다.

  18_1  월지월령과 주된 기운(主氣)

  18_2  월지-월률 장간(藏干)과 지장간의 주기(主氣)

  18_3  (用事之神_用神의 의미)

  18_4  主氣用氣 및 길신과의 관계

 

 19. 간지의 합충 관계와 기운의 왕쇠 상태 이해 및 쓰임새 추론하기     간지끼리 서로 합하고 충하는 관계와 기운의 왕쇠 상태 및 신뢰도 등을 알아보고,  운 간지의 활용 등 그 쓰임새 (궁합, 진로)를 추론해본다.

  19_1  개요

  19_2  천간의 합과 기운의 왕

  19_3  지지의 합과 기운의 왕

  19_4  (지지의 합)

  19_5  천간 충,  지지 충과 기운의 왕

  19_6  연습문제       

  19_7  연습문제

 

 20. 사주의 강약,  명칭 예와 운세의 활용,  사주의 높낮이 분석하기     사주의 강약 상태와 격 명칭의 예를 통해 강약점-장단점과 진로 등을 분석해보고,  운세의 길흉과 활용 및 사주의 조화와 높낮이를 알아본다.

  20_1  개요

  20_2  太强한 사주와 격 명칭 예

  20_3  한 사주와 격 명칭 예

  20_4  한 듯,  한 듯한 사주와 격 명칭 예

  20_5  한 사주와 격 명칭 예

  20_6  太弱한 사주와 격 명칭 예

  20_7  운세 지수와 그래프

  20_8  사주의 조화와 높낮이

  

 

 

  2000년에 출판된 Test중심 기본사주학, Test중심 핵심사주학 두 책은 대폭-전면 개정되어, 이 블로그의 Test중심 기본사주학 (한 권으로) 압축-통합되었습니다.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사주의 조화와 높낮이

 

   나는 누구인가?”  화두話頭 같은 이 물음은,  “나는, 나의 사주는 어떤 자연형상에 비유되는가?” 라는 질문으로 대체 되고,  “나의 사주형상은 과연 조화로운-좋은 사주구성인가?” 라는 질문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 질문들은 결국  어떤 사주구성이 좋은 사주인가?라는 물음으로 귀결된다.

 

  어떤 사주구성이 조화로운-좋은-상격上格의 사주구성인가 이를 단적으로 정의하기는 간단치가 않지만, 지금까지 학습한 사주에서 오행이 태과불급하기 보다는 균형을 이루면서 상생상극과 순환상생이 잘 되고,  강약과 조후의 조화를 이루면서 主氣와 用氣가 분명하고,  육친의 영향력이 적절하면서  관살의 역할이 튼실하고, 간지의 상극-충돌이 심하지 않고운 간지의 길흉 작용에 잘 대응-활용하고ㆍㆍㆍ 등의 내용들만으로도 좋은 사주구성의 구비 조건을 얼추 짐작해볼 수 있다.

 

  조화로운 上格에 해당하는 사주형상의 한 예로 (세종대왕 때의 용비어천가에 나오는)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고,  꽃 좋고  열매가 많으니라는 구절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의  뿌리가 (根氣-心志-실력이) 깊고,  꽃과 (과정-재능-열정과 열매가 (결과-실속-名利) 좋으면서 바람에도 (운세-시련-유혹에도) 흔들리지 않는 사주형상-사주구성을 100점 만점의 上上格이라고 한다면, 그에 조금씩 미치지 못하는 사주구성상의 마이너스 요인에 따라 대략 80점 정도의 上下格,  75점의 中上格,  70점의 中中格,  65점의 中下格,  60점의 下上格 등으로 세분해볼 수도 있다. 그래서 사주 간지를 보고 한 눈에 높낮이 정도를 가늠하면서 운세의 흐름-그래프까지 그려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사주구성이 上格에 가까운 사람들일수록  성공-출세, 유명, 인기등의 키워드와 관련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키워드는 대체로  관살의 좋은 작용과 연관이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이 꼭  인격, 도덕성, 정의, 지속성등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비록 사회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문자적으로는 上格의 사주구성이 아니라 하더라도,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이름 없이 빛도 없이 수고하고 헌신하는 사람들의 사주구성이 어쩌면 더 가치 있는-좋은-上格의 사주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세상의 이치는, 대도大道는 체용體用의 조화이자  음양陰陽의 조화이고과 공의 조화名利와 영혼의 조화이기도 하므로.

 

 

戊 甲 癸 辛                癸 乙 丙 丙 

辰 午 巳 酉                未 丑 申 子 

 

 

乙 丙 辛 癸                甲 丁 壬 甲

未 寅 酉 丑                辰 未 申 申

 

 

甲 戊 己 壬                壬 己 丁 甲

寅 午 酉 寅                申 丑 卯 午

 

 

辛 庚 壬 壬                丙 辛 乙 癸

巳 午 寅 戌                申 巳 丑 巳

 

 

丙 壬 戊 庚                己 癸 癸 丁

午 寅 子 午                未 酉 卯 未

 

 

  위의 10개의 일간별 사주들은  월간(순서대로) 정인, 상관, 정재, 정관, 겁재, 편인, 식신, 편재, 편관, 비견인 경우의 사주 예이다.

 

  이 사주들은 오행을 골고루 갖추고 관살도 모두가 구비한 사주들이다. 즉 어느 한 쪽 기운으로만 쏠리지 않고, 상생상극-오행-육친-조후의 조화를 얼추 이룬 구성들이다. 그래서 이런 사주들은 일방적인 선택과 집중 보다는 다각적인 균형과 소통을 우선시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월의 갑오 일주는  유력有力한 정관이 사주에 꼭 필요한 정인-계수를 잘 생해주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월주가 (현재의) 계사가 아니라 갑오, 을미이거나  년지가 (현재의) 유금이 아니라 사화나 미토이면 사주의 격이 (현재 보다) 다소 낮아진다.

 

  申월의 을축 일주는  두 개의 병화-상관이 보기 좋게 겹으로 핀 꽃의 형상으로, 조후의 역할을 잘 해주면서 예능계로의 진로 결정에도 크게 고민하지 않게 작용하는 장점이 있다.  시주도 병자, 병술이면 재주가 승하여 오히려 해가 되는 측면이 있다.

 

  월의 병인 일주는  월간의 정재, 그것도 신뢰도 높은 정재와 순일純一한 합을 이루고, 귀한 역할을 하는 계수-정관과 을목-정인도 이 있다는 장점이 있다월주가 신유가 아니라 정사, 무오, 기미이거나  시주가 병신이면 사주의 격이 다소 낮아지게 된다.   

 

  월의 정미 일주는  월간의 확실한 정관과 순일한 합을 이루고, 두 갑목-정인이 냉습과 강약을 조절하면서 官印相生(교육기관의 리더) 역할을 잘 해준다는 장점이 있다 월주가 병인, 정묘, 기사이거나 시주가 병오, 무신이면 사주의 격이 다소 낮아진다.

 

  酉월의 무오 일주는  일지 오화가 조후와 순환상생의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갑자 운 보다는 갑오 운에,  임자 운보다는 임인 운에 사주의 격이 다소 (    )지게 된다. 또한 월주가 기유 보다는 경술인 경우에 역시 사주의 격이 다소 (    )지게 된다.

 

  월의 기축 일주는  영향력 있는 , , 가 천간에 위치하여 보기 좋으면서 서로의 가치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년주가 기사, 기유이거나  월주가 무진, 경오이면 사주의 격이 다소 (    )지게 된다.

 

  월의 경오 일주는  지지에 잘 살아 있는 관살의 기운이나 그 기운의 생을 받는 인수가 천간으로 표출되지 못한 단점이 있지만, , , 일 삼주(三柱)까지에서 순환상생과 조후의 조화를 이룬다는 장점이 있다일지가 자수이면 사주의 격이 다소 낮아진다.

 

  丑월의 신사 일주는  식신생재와 화기-관살의 조후 작용이 장점인 반면, 관살이 산만해 보이고 재성의 응집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일지가 유금인 경우나 신유, 신해 운 등에 사주의 격이 낮아지게 된다.

 

  월의 임인 일주는  강약과 조후의 조화를 이루고 식신생재가 잘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도적인 의 성향과 편관, 편재, 편인의 영향력으로 스케일과 변화무쌍한 캐릭터가 요구되는 기업 분야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일지가 자수, 오화, 신금 등이면 사주의 격이 낮아진다.

 

  卯월의 계유 일주는  일간이 봄비로서 수생목의 역할을 잘해주고, 편재-정화가 냉습한 기운을 조절해주며, 년지의 미토는 식신-묘목이 뿌리내릴 토양이 되어준다는 장점이 있다임자, 계축 등의 운 보다는 을사, 정해, 기축 등의 운에 사주의 격이 다소 (    )진다.

 

  그럼 위의 10개의 사주들 중에서 어떤 사주가 가장 좋은 사주인지 설명하고그 사주의 대운 운세 그래프를 그려보자. 그리고 자신의 마음에 드는-욕심이 나는 사주를 2개만 더 추천해보자

 

 

(9) 자신의 사주구성상의-구조상의 장단점높낮이 정도를 분석하고자신과 동일한 생일 중에서 출생시가 가장 좋은 시는 어떤 시-時柱일지 설명해보자. 그리고 자신의 사주의 년지와 일지를 바꿔가면서 가장 조화로운-마음에 드는 사주를 만들어보자.

 

 

 

 

운세 지수와 그래프

 

  운 간지의 길흉 정도를 대략적인 수치-지수(指數)로 가늠하여 운세 그래프를 그려볼 수 있다. 특히 대운 간지를 중심으로 운세 그래프를 그려보면 거시적인 인생 운의 흐름,  상승기와 하강기가 언제쯤인지를 개괄적으로나마 파악해 볼 수 있고, 그에 따라 운세를 활용하거나 미리 대비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대운 간지의 기간에 해당하는 10년간의 년운 운세 그래프도 같이 그려서 장단기 인생 계획을 세우는데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월운, 일운, 시운 등을 고려하여 택일(擇日)을 하는데 조언할 수도 있다.

 

  문제는 ‘어떻게?’ 이다. 어떻게 운 간지의 길흉 정도를 수치로 환산하며 그 기준은 무엇이냐는 것이다. 사실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없다. 인생에 정답이 없는 것처럼.  그러나 수학공식 같은 객관적인 운세 판단의 기준은 없을지라도, 기준이 서책마다 다르고 연구자마다 다를지라도, 그 중에서도 공통분모를 찾고 자신의 임상 경험을 보탠다면  이 문제의 최소한의 답에 근접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런데 정말 중요한 것은,  운세의 적극적인 활용 관점에서 보면,  길흉의 구분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길흉의 활용 자체가 중요하다는 점이다. 즉 길운이냐  흉운이냐의 객관적인 판단 기준이 반드시 필수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예컨대 인수 운이면 (그 운의 길흉에 관계없이,  아주 흉한 운일지라도)  인수 기운의 장점 성향이,  재성 운이면 재성 기운의 장점 성향이 나타나도록 의식적으로 노력하고 활용하면 된다는 것이다. 이는 운세의 길흉을 전혀 모른다고 해도  어차피 인생은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의 자세로 살아가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사주 운세를 알고 진인사盡人事 하는 것과  모르고 진인사 하는 것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결국  지금까지 학습한 이치들에 관한 최소한의 기본적인 지식을 갖고,  운 간지마다의 오행-육친별 장점 성향을 최대한 살리도록 진인사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이 자신을  자기의 때에  자기다운 성공에 이르게 하고,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는 최선의 방법들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너 자신을 알라!”는 말은  어쩌면  “너 자신의 사주 운세를 알라!”는 말인지도 모른다.

 

 

  인생은 크게  학생시절을 포함한 초년기,  한창 때인 중년기,  원숙한 기량의 말년기로 구분해볼 수 있고,  대운의 운세 그래프는 크게 다음의 다섯 가지로 유형화 해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형화에 따른 개략적인 인생 계획-전략을 세워볼 수 있다.

 

 (운세 지수가 대략 80 이상은 上,  65 전후는 中,  50 이하는 下라고 가정)

 

  초년기 下,  중년기 上,  말년기 下의  (이를테면) 무지개형의 유형

  초년기 下,  중년기 中,  말년기 上의  불도저형  (아래 그래프 참조)

  초년기 上,  중년기 中,  말년기 下의  낙하산형  (아래 그래프 참조)

  초년기 上,  중년기 下,  말년기 上의  독수리형

  초년기, 중년기, 말년기의 운세의 진폭이 작은  지평선형

 

 

 (대운의 큰 흐름이 이와 같은 다섯 가지의 유형으로만 진행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의 운세의 흐름-그래프 유형이   무지개형에 가깝다면  30대~40대에 제대로 보란 듯이 빛을-두각을 나타내면서  이 시기에 말년기까지 충분히 대비해 둔다는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그리고   불도저형에 가깝다면  문자 그대로 대기만성형이니  원숙한 말년기에 가서 진정한 결실을-성공을 보겠다는 집념으로 밀고 나갈 필요가 있다. 반면   낙하산형에 가깝다면  10대~20대 때의 황금 같은 시기에 온 힘을 다해 목표를 이루고  인생 전체를 이 시기에 준비한다는 당찬 계획을 세워야 한다. 또한  독수리형에 가깝다면  초년에 잘 나가다 중년기에 위기에 빠질 소지가 높지만  이 시기가 말년기의 성공을 향한 큰 전환점이 된다는 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한편  지평선형에 가깝다면 자신의 사주의 높낮이 정도에 따른, 비교적 파란만장하지 않은-굴곡진 모험이 적은 삶이 될 소지가 있고 또 그런 분야를 택할 필요가 있다.

 

 

100

 

 

 

 

 

 

 

 

85

 

 

 

 

 

 

 

 

80

 

 

 

 

 

 

 

 

75

 

 

 

 

 

 

 

 

70

 

 

 

 

 

 

 

 

65

 

 

 

 

 

 

 

 

60

 

 

 

 

 

 

 

 

55

 

 

 

 

 

 

 

 

50

 

 

 

 

 

 

 

 

0

 

 

 

 

 

 

 

 

대운

 1 

 2 

3

4

5

 

  (1 ~ 8은 대운 순서로  2는 두 번째 대운... 6은 여섯 번째 대운)  

 

 

  문제:  다음 5개의 사주 중에서 위의  두 운세 그래프 유형에 가장 가까운 사람은 각각 어느 사주의 남자,  여자일지를 설명해보자. 그리고 그 사주의 운세 지수를 좀 더 합당하게 수정해보자.

 

壬 癸 壬 壬                甲 庚 壬 丁

子 丑 寅 午                申 子 寅 亥

 

己 己 壬 壬                庚 丙 壬 丁

巳 巳 寅 申                寅 寅 寅 未

 

辛 乙 壬 壬

巳 未 寅 寅

 

 

  해설:  계축 일주는 무신, 기유, 경술 운 보다는 을사, 을미, 갑오 운에  기예技藝가 더 잘 발휘되도록,   경자 일주는 신축, 경자, 기해 운 보다는 을사, 병오, 정미 운에,   기사 일주는 무신, 기유 운 보다는 을미, 갑진, 을사 운에,   병인 일주는 을사, 병오, 무술 운 보다는 신축, 경자 운에,   을미 일주는 계묘, 갑진 운 보다는 병오, 정미 운에, 또 경자, 기해 운 보다는 경술, 기유 운에  더 좋은 성과를 내도록,  각자의 업무 분야에 맞는 장단기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8) 자신의 사주의  대운 운세 그래프와  앞으로 10년간의 년운 운세 그래프를 그리고,  장단기 인생 계획-전략을 세우는데 활용해보자. 

 

 

 

  

太弱한 사주와 격 명칭 예

 

庚 甲 丙 壬                辛 乙 辛 辛

午 午 午 午                巳 酉 丑 丑

 

戊 丙 壬 壬                庚 丁 己 辛

戌 戌 子 子                戌 丑 亥 亥

 

辛 戊 辛 辛                甲 己 甲 癸

酉 申 卯 卯                子 卯 寅 卯

 

丙 庚 癸 丙                甲 辛 乙 辛

子 午 巳 午                午 巳 未 巳

 

丁 壬 丙 乙                乙 癸 戊 甲

未 午 戌 巳                卯 卯 辰 寅

 

 

   위의 10개의 사주는 일간별로 지나치게 약한太弱한 구성인 경우의 사주 예들이다. 태약한 사주들은 대부분 식상이나 재성, 관살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즉 자기 절기가 아니면서 인수, 견겁이 아예 없거나 있더라도 극히 쇠약한 상태인 경우들이다. 그래서 태약한 사주들은 자신이 주도하는 능동적인 힘의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이루려고 하지 않고사주의 가장 왕성한 기운에 수동적으로 혹은 자연스럽게 따라가거나-하거나-휩쓸려가거나 하는 성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반면 그 가장 왕성한 기운을 하는 다른 왕한 기운을 가지고, 그 가장 왕성한 기운에 대항하는-맞서는 성향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위의 을유 일주는 일간이 배의 선장으로서 배의 구성원들을 주도적으로 리드lead 하지를 못하고,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보니, 구성원들 중에서 가장 강한 주도권을 쥔 관살 기운에 말하자면 전권을 위임하여 혹은 전권을 빼앗겨그 관살 기운에 별 미련 없이(?) 순응하는-팔로우follow 하는 성향을 보이기 쉽다. 그래서 이 배의 목적지는 별 갈등-고민 없이 오직 관살-입신양명(立身揚名)이 되기가 쉽고, 주저 없이 財官 운을 더 반기는 경향이 있다.  반면 병술 일주는 일간이 가장 왕성한 관살-(남편) 기운에 꼼짝 없이 제압을 당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다른 왕한 식신-(자식) 기운으로 그 관살에 맞서는-제재하는, 그렇게라도 힘의 균형을 이루려는 듯한, 양립-양면적인 갈등 성향을 보이기 쉽다. 그래서 이런 구성의 사주는 식신 성향이 요구되면서 또한 중시되는 분야의 관살-감투 쓰는 업무가 적성에 잘 맞는 편이고, 관살 운보다는 식신 운을 더 반기는 경향이 있다 만일 두 사주가 노사협의회에서 만난다면  을유 일주는 회사 측의 일원으로 병술 일주는 노조 측의 대표로 만날 소지가 많고 두 사람이 정치계에 있다면  을유 일주는 당에 순응하는 충성파에,  병술 일주는 당권에 맞서는 혁신파에 더 어울린다고 할 수 있다.

 

  태약한 사주들은 사주의 주도권을 어느 기운이 쥐고 있느냐에 따라, 즉 일간이 어느 오행-육친의 눈치를 가장 많이 보느냐에 따라, 또는 자신이 어떤 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느냐 등에 따라 운세의 활용 전략이 다양해지는 특징이 있다. 예컨대 위의 병술 일주가 노사합의를 도출하고자 한다면 임자,  무술 등의 운 보다는 갑신 을유 등의 운 때에 맞춰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택일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태약한 사주들은 인수, 견겁 운에는 자신의 약한 면을 보강하는 노력을 하면서  이미 정한 목표에 대한 집중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도록 신경 쓸 필요가 있고 식상, 재성, 관살 운에는 사주에 넘치는 기운이 더 넘쳐서 오히려 해()가 되는 일이 없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위의 태약한 사주들 중에서  임수와 계수 일간을 예로 들어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丁 壬 丙 乙              乙 癸 戊 甲

未 午 戌 巳              卯 卯 辰 寅

己 庚 辛 壬 癸 甲 乙        辛 壬 癸 甲 乙 丙 丁

卯 辰 巳 午 未 申 酉        酉 戌 亥 子 丑 寅 卯

 

 

 두 사주는  완고함-강경함옹고집-똥고집깊은 속내-감춘 속마음 등의 성향과는 거리가 먼 편이다.  두 사주가 처음에는 나를 따르라는 식으로 리더십을 발휘한다 해도 서서히 자신들도 모르게 주변의 세력에 따라가는 성향을 보일 소지가 많다.  

 ② 임오 일주는 돈에만 올인 한다는 평을 듣기 쉽고,  계묘 일주는 생각 없이 수단-방법 가리지 않는다는 오해를 받기 쉽다.

 ③ 임오 일주는 절기에 어울리지 않게 덥다고 느낄 만하면서 천간에 관살이 없으므로  병오,  갑인 운 보다는  무술 기미 운이 더 효용성이 높아진다.

 ④ 계묘 일주는 사주의 병()인 식상 기운을 간접적으로 약화시키면서 정관을 왕하게 하는 화기 운이 유용하다고 본다. 그래서 을묘시 보다는 정사시가 이 사주의 격을 더 높인다고 할 수 있다.

 ⑤ 임오 일주 남자는 학생 시절에 예능-방송 계열에 관심이 아주 많은 편이고, 이후에 인터넷쇼핑몰 등 사업 분야로 진출한다면, 대운 천간의 흐름상 재물 운은 덜 따르는 편이다.

 ⑥ 계묘 일주는 보육교사,  복지예능 계열,  조경(造景) 등이 적성에 맞는데,  운세의 영향 측면에서 예능 계열에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유리하다(?).

 ⑦ 임오 일주가 정치인이 된다면 부자기업들에 치우친 정책을 지향할 소지가 많다.

 ⑧ 두 사주처럼 천간에 적절한 (    )가 없으면서 식상, 재성, 관살이 왕성하면 재승덕박(才勝德薄)의 경향이 많아지므로 평소에 덕을 쌓는 일에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

 ⑨ 임오 일주와 계묘 일주가 만나면 상대에게서 돈이 되는 아이디어를 얻을 소지가 많다(?).

 ⑩ 두 사주의 남녀 4명 중에서 여섯 번째 대운의 흉한 영향에 충분히 대비하면서 가장 조심해야 할 것 같은 사주를 하나만 고른다면 (    ) 일주의 (    )라고 할 수 있다(?).

   

 

(6) 위의 10개의 태약한 사주 예에 관한 분석 내용 중 타당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치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 태약한 사주들은 균형감각이 방향감각 보다 좋은 경우가 많다.

  . 갑오 일주와 경오 일주는 임자,  무자 운 보다 기축,  무진 운이 더 유용한 편이다.

  . 을유 일주에는 임신경자 운 보다 병술,  정사 운이 더 균형있게 작용한다.

  . 정축 일주는 임자 운 보다  임인 운이 더 필요한 운이다.

  . 무신 일주는 금기를 제압하면서 목기를 살리는 정해,  병인 등의 운이 좋다.

  . 기묘 일주는 사주의 병()인 목기를 직접 제압하는 경신신유 운이 길한 운이다.

 . 신사 일주는 갑오시 보다  정유시가 사주의 격을 좀 더 높인다

 

    

(7) 수많은 사주형상 중에서  불에 달궈진 쇠, 쇳물’  그리고  달궈져서 물에 담금질 되는 쇠에 비유되는 형상의 사주들은 각각 어떠한 구성일지그 두 사주 간지 여덟 자를 각각 만들어보자그리고 두 사주 간지의 강약점을 분석하고대운 간지의 영향에 의한 그 형상의 변화-흐름을  연상-설명해보자. 

  

 

     

 

  참고 검색어:  종아(從兒)종재(從財)종살(從殺)진종(眞從)가종(假從),  식신제살(食神制殺),  제살태과(制殺太過),  화토일체(火土一體),  음지전답(陰地田畓),  천한지동(天寒地凍),  삼재(三災)천을귀인(天乙貴人),  관귀학관(官貴學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