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천간 읽고 쓰기, 상징물과 성향 추론하기 ★ 천간을 읽고 쓸 수 있도록 연습하고, 자연에서의 천간 상징물을 연상해보며, 그 상징물에서 느껴지는 기운을 인간 성향과 연계하여 추론해본다.
1_1 개요, 甲 ~ 戊
1_2 己 ~ 癸, 연습문제
2. 지지 읽고 쓰기, 냉온건습과 용도 이해하기 ★ 지지를 읽고 쓰면서 독립개체적인 자연 상징물을 연상해본다. 나아가 그 상징 기운이 냉한지 더운지, 건조한지 습한지를 알아보고 쓰임새(용도)를 추론해본다.
2_1 개요, 子 ~ 巳
2_2 午 ~ 亥, 연습문제
3. 간지결합 연습과 육십갑자 형상별 성향, 대안 추론하기 ★ 60개의 간지 결합_육십갑자를 쓸수 있도록 연습하고, 6개 지지와 결합한 천간들의 형상과 성향 추론, 형상별 대안 찾기를 해본다.
3_1 개요, 甲子 ~ 癸酉
3_2 甲戌 ~ 癸未, 甲申 ~ 癸巳
3_3 甲午 ~ 癸卯, 甲辰 ~ 癸丑
3_4 甲寅 ~ 癸亥, 연습문제
4. 간지의 오행 구분과 오행별 특징, 성향 이해하기 ★ 간지를 오행으로 구분해보고, 오행 기운이 상징하는 자연물ㆍ계절ㆍ방위ㆍ업무단계ㆍ인체ㆍ색상 등과 오행별 특징 성향을 추론해본다.
4_1 개요, 천간의 오행 구분
4_2 지지의 오행 구분, 연습문제
5. 간지의 음양 구분과 음양 성향 추론하기 ★ 천간과 지지를 음과 양으로 구분하고, 자연-인간-사회 속에서 음양이 무엇을 상징하는지, 음과 양의 성향은 무엇인지 추론해본다.
5_1 개요, 천간의 음양 구분
5_2 지지의 음양 구분, 연습문제
6. 상생상극 관계와 간지 힘의 득실 이해하기 ★ 오행 상호간에 서로 생하는 관계인지, 서로 극하는 관계인지의 여부와 결합된 간지끼리의 생ㆍ극 여부 그리고 독립개체적인 힘의 득실 여부를 알아본다.
6_1 개요, 오행의 상생관계
6_2 오행의 상극관계, 연습문제
7.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와 필요한 간지 이해하기 ★ 오행 상생ㆍ상극 관계의 주체와 객체가 한 쪽으로 지나치게 치우친 경우의 간지 형상과 그 형상 개선에 필요한 간지를 알아본다. 이는 구성변화적인 이해의 첫걸음이다.
7_1 개요, 생이 지나친 관계
7_2 극이 부족한 관계, 생이 부족한 관계
7_3 연습문제
8. 육친(육신) 관계와 육친별 특징, 성향 추론하기 ★ 오행의 생극 관계에서 비롯되는 인수ㆍ식상ㆍ재성ㆍ관살ㆍ견겁이라는 육친(육신)의 성립과 육친별 상징성 및 성향을 추론해본다.
8_1 개요
8_2 인수 관계, 식상 관계
8_3 재성 관계, 관살 관계
8_4 견겁 관계, (육친 생극), 연습문제
9. 정ㆍ편 육친_십신 관계와 성향 비교, 쓰임새 추론하기 ★ 육친 관계를 음양에 따라 다시 구분한 정ㆍ편 관계_십신의 성립과 십신별 특징적인 성향을 비교하고, 그 용도를 추론해본다.
9_1 개요, 정인ㆍ편인 관계
9_2 상관ㆍ식신, 정재ㆍ편재 관계
9_3 정관ㆍ편관, 겁재ㆍ비견 관계
9_4 연습문제
10. 육친 생극 관계로 가족관계 성립 이해하기 ★ 육친의 생극 관계에서 비롯되는 조부모, 부모, 남편, 시댁, 아내, 처가, 자식, 손자 등 가족관계의 성립에 관해 알아본다.
11. 생일을 사주간지로 바꾸는 과정의 이해와 사주구성 연습하기 ★ 생일의 년ㆍ월ㆍ일ㆍ시를 간지로 바꾸는 과정을 이해하고, 사주 간지를 정확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연습하며, 관련사항을 추론해본다.
11_1 개요, 사주구성
11_2 년주 구성
11_3 월주 구성, 일주 구성
11_4 시주 구성
11_5 시지 구분, 시간의 결정
11_6 연습문제
12. 사주에서 일간ㆍ오행ㆍ음양ㆍ육친ㆍ가족ㆍ강약ㆍ조후ㆍ길신 확인하기 ★ 사주 간지의 기입 방법과 명칭을 알아보고, 일간ㆍ오행ㆍ음양ㆍ육친ㆍ가족ㆍ강약ㆍ조후ㆍ길신 등을 확인하여 관련사항을 추론해본다.
12_1 개요, 사주 간지 쓰는 방법
12_2 일간ㆍ일주, 오행, 음양, 정ㆍ편 육친 확인하기
12_3 가족, 강ㆍ약, 조후 확인하기
12_4 길신 확인하기, 연습문제
13. 대운 간지와 대운 수, 운(運) 간지의 의미 이해하기 ★ 대운 간지와 대운 수를 정하는 규칙 및 기입 방법을 알아보고, 대운, 년운, 월운, 일운, 시운의 의미와 영향을 분석해본다.
13_1 개요, 대운 간지 기입
13_2 대운 수(數), 운 간지 확인
13_3 연습문제
14.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의 사주 예와 특징 추론하기 ★ 특정한 기운이 태과불급한 경우의 생극 작용을 여러 사주 간지 예를 통해 살펴보고, 특징 사항을 추론해본다.
14_1 개요, 水氣가 태과한 사주 예
14_2 木氣가 태과한 사주 예
14_3 火氣가 태과한 사주 예
14_4 土氣가 태과한 사주 예
14_5 金氣가 태과한 사주 예
14_6 연습문제
15. 음양 간지 구성별 사주 예와 성향, 쓰임새 이해하기 ★ 사주 간지의 음ㆍ양 비율 및 위치 등에 따른 음ㆍ양 성향을 사주 예를 통해 알아본다.
15_1 음양 간지 비율, 음양 간지 위치
15_2 연습문제
16. 오행 기운의 특징 활용과 쓰임새, 사주 예 이해하기 ★ 2. 지지, 4. 오행, 12_2 오행 확인하기에서 학습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오행 기운의 활용ㆍ쓰임새와 사주 예를 알아본다.
16_1 木氣, 火氣의 특징과 활용
16_2 土氣, 金氣의 특징과 활용
16_3 水氣의 특징과 활용, 연습문제
17. 육친_십신 구성별 사주 예와 활용, 쓰임새 추론하기 ★ 육친_십신의 특징적인 구성별 사주 예와 진로 설정에 활용되는 예를 알아본다.
17_1 인수, 식상의 특징과 쓰임새
17_2 재성, 관살의 특징과 쓰임새
17_3 견겁의 특징과 쓰임새, 연습문제
18. 월지ㆍ월령과 주기(主氣), 월률장간ㆍ지장간의 주기 및 길신과의 관계 이해하기 ★ 사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월지-월령과 주된 기운, 월지-월률 장간과 지장간의 주(主)ㆍ종(從) 기운 및 주된 기운과 길신과의 관계 등을 알아본다.
18_1 월지ㆍ월령과 주된 기운(主氣)
18_2 월지-월률 장간(藏干)과 지장간의 주기(主氣)
18_3 (用事之神_用神의 의미)
18_4 主氣와 用氣 및 길신과의 관계
19. 간지의 합ㆍ충 관계와 기운의 왕ㆍ쇠 상태 이해 및 쓰임새 추론하기 ★ 간지끼리 서로 합하고 충하는 관계와 기운의 왕ㆍ쇠 상태 및 신뢰도 등을 알아보고, 운 간지의 활용 등 그 쓰임새 (궁합, 진로)를 추론해본다.
19_1 개요
19_2 천간의 합과 기운의 왕ㆍ쇠
19_3 지지의 합과 기운의 왕ㆍ쇠
19_4 (지지의 합)
19_5 천간 충, 지지 충과 기운의 왕ㆍ쇠
19_6 연습문제
19_7 연습문제
20. 사주의 강약, 격格 명칭 예와 운세의 활용, 사주의 높낮이 분석하기 ★ 사주의 강약 상태와 격 명칭의 예를 통해 강약점-장단점과 진로 등을 분석해보고, 운세의 길흉과 활용 및 사주의 조화와 높낮이를 알아본다.
20_1 개요
20_2 太强한 사주와 격 명칭 예
20_3 强한 사주와 격 명칭 예
20_4 强한 듯, 弱한 듯한 사주와 격 명칭 예
20_5 弱한 사주와 격 명칭 예
20_6 太弱한 사주와 격 명칭 예
20_7 운세 지수와 그래프
20_8 사주의 조화와 높낮이
2000년에 출판된 Test중심 기본사주학, Test중심 핵심사주학 두 책은 대폭-전면 개정되어, 이 블로그의 「 Test중심 기본사주학 」에 (한 권으로) 압축-통합되었습니다.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_8 사주의 강약, 격格 명칭 예와 운세의 활용, 사주의 높낮이 분석하기 (8) (0) | 2016.07.18 |
---|---|
20_7 사주의 강약, 격格 명칭 예와 운세의 활용, 사주의 높낮이 분석하기 (7) (0) | 2016.07.12 |
20_6 사주의 강약, 격格 명칭 예와 운세의 활용, 사주의 높낮이 분석하기 (6) (0) | 2016.07.09 |
20_5 사주의 강약, 격格 명칭 예와 운세의 활용, 사주의 높낮이 분석하기 (5) (0) | 2016.07.03 |
20_4 사주의 강약, 격格 명칭 예와 운세의 활용, 사주의 높낮이 분석하기 (4) (0) | 2016.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