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ㆍ일주 확인하기
아직은 생소한 만세력 책을 뒤적이고, 인터넷만세력-앱 등을 활용하여 알아 낸 사주 간지를 멋진 필체로 써놓긴 했는데, 막상 사주를 분석하려니 어디서부터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난감할 것이다. 이럴 때 먼저 보는 것이 일간과 일주로, 그 소속을 확인하고 관련 사항을 추론해보는 것이 순서이다.
丙 甲 庚 己
寅 子 午 酉
일간은 午월의 甲木이다.
나는 午월의 甲子 일주이다.
예로 든 이 사주의 일간과 일주는 소속이 午월이고, 자신은 甲木ㆍ甲子이다. 즉 나는 午월의 甲木ㆍ午월의 甲子 일주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간과 일주의 명칭이 곧 한 사주를 통칭하는 명칭이 된다.
이 상태에서 앞에서 학습한 천간 甲과 甲子 결합의 독립개체적인 형상과 성향을 추론한다. 즉 이 사람은 갑목이면서 갑자 일주이니까 일단 대들보ㆍ독불장군 의식이 남다르겠다는 식이다. 그리고 월(월지)의 영향과 주변 간지들의 오행 및 육친 영향 요소들을 포괄하는 구성변화적인 형상과 성향을 추론하게 된다. 즉 午월(양력6월)의 木이니까 (가을, 겨울철의 木보다는) 水가 더 필요하겠고, 잎이 무성해졌으니 다듬어줄 金도 필요하겠구나 하는 식이다.
(2) 자신의 사주 간지의 일간과 일주를 확인하고, 그 독립개체적인 형상과 성향을 추론해보자.
오행 확인하기
丙 甲 庚 己 火 木 金 土
寅 子 午 酉 木 水 火 金
예로 든 甲子 일주의 오행 구성 상태를 보면, 어느 한 오행으로 치우치지 않고 골고루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일간 갑목과 함께 하는 일곱 명의 구성원들이 다양하면서 상호간에 생하고, 극하는 관계가 비교적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때문에 일간과 일주가 갖는 독립개체적인 장점 성향에 ‘균형감’이라는 오행 생극 측면의 장점 성향이 더해져서, 이 사람은 균형감이 있는 우두머리 의식의 소유자라는 추론이 가능해진다. 오행 구성상의 아쉬운 점이 있다면, 더운 계절에 火氣에 비해 水氣가 미약하다는 점이라고 하겠다.
(3) 자신의 사주 간지의 오행 구성을 확인하고, 오행 구성상의 장단점을 분석해보자.
음양 확인하기
丙 甲 庚 己 陽 陽 陽 음
寅 子 午 酉 陽 음 음 음
예로 든 午월 갑자 일주의 음양 구성 상태를 보면, 사주 전체적으로는 음양의 구성 비율이 같지만, 일간이 우선 陽이고 일간 좌우의 천간인 月干과 時干도 陽이라, 밖으로 표출되는 이미지나 행동은 陽의 성향이 주도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남성적인 성향과 여성적인 성향의 조화를 이루는 측면이 있으면서 외부적으로는 남성적인 성향이 더 강하게 표출되는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이 사주의 주인공은 오행 성향과 음양 성향의 균형감을 갖춘 우두머리 의식의 소유자이면서 다소 공격적인 이미지로 보인다고 추론할 수 있다.
(4) 자신의 사주 간지의 음양 구성을 확인하고, 음양 구성상의 성향을 분석해보자.
정ㆍ편 육친 확인하기
丙 甲 庚 己 식신 日干 偏官 정재
寅 子 午 酉 비견 정인 상관 正官
이 사주는 소속이 午월이다. 월지 상관의 영향을 그만큼 많이 받는다는 의미이다. 여기에다 時支 비견이 목생화 잘하는 寅木이라 時干 식신과 월지 상관의 영향은 더 커진다. 즉 기술과 예술, 표현과 창조, give와 봉사 등의 식상 성향이 만만치 않다고 추론할 수 있다.
문제는 내 기운이 식상으로 빠져나가는 것에 비해, 들어오는 기운인 일지 정인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태라는 점이다. 거기다 주변에 木ㆍ火氣가 왕성하니 정인이 더 취약해 보인다. 그런데 다행인 것은 정인을 생해주는 편관과 정관이 떡하니 버티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관살을 생해주는 정재가 미약하나마 관살 가까이 있다는 것이다. 즉 관살의 기운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때문에 타고난 탐구심과 사려 깊음 등의 인수 성향은 다소 부족한 편이지만, 반면에 타고난 입신양명(立身揚名) 의식과 공을 세워 이름을 떨치려는 공명심 등의 관살 성향으로 인해 취약한 인수 성향이 살아날 수 있는 여지는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5) 자신의 사주 간지의 정ㆍ편 육친을 확인하고, 육친 구성상의 성향을 추론해보자.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_4 사주에서 일간ㆍ오행ㆍ음양ㆍ육친ㆍ가족ㆍ강약ㆍ조후ㆍ길신 확인하기 (4) (0) | 2015.11.06 |
---|---|
12_3 사주에서 일간ㆍ오행ㆍ음양ㆍ육친ㆍ가족ㆍ강약ㆍ조후ㆍ길신 확인하기 (3) (0) | 2015.11.02 |
12_1 사주에서 일간ㆍ오행ㆍ음양ㆍ육친ㆍ가족ㆍ강약ㆍ조후ㆍ길신 확인하기 (1) (0) | 2015.10.23 |
11_6 생일을 사주간지로 바꾸는 과정의 이해와 사주구성 연습하기 (6) (0) | 2015.10.19 |
11_5 생일을 사주간지로 바꾸는 과정의 이해와 사주구성 연습하기 (5) (0) | 201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