土氣의 특징과 활용 

 

  土氣가 사주와 운 간지의 기운에 의해 지나치게 왕성하거나 딱딱하게 굳어지는 구성이면  특히 위암 등을 조심해야 한다. 그리고 土氣가 습토와 조토로 서로 격(隔: 섞어도 차이가 남)이 져있고 다투는 형상이면  위경련ㆍ위통ㆍ요통 등에 유의해야 하고,  土氣가 너무 쇠하거나 상하는 구성이면  위궤양ㆍ십이지궤양ㆍ디스크ㆍ관절염ㆍ복막염ㆍ구강염ㆍ비장 질환 등에 유의해야 한다.

 

  자신이 더 필요로 하는 오행이 土氣이면서 건조성 토기를 더 필요로 하는 구성이면,  토기성 비중이 높은 분야 중  골재ㆍ택지개발ㆍ내외장용 석재ㆍ돌조각ㆍ도자기 가마ㆍ제방-댐 건설 등의 분야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반면 습기성 土氣를 더 필요로 하는 구성이면,  진흙ㆍ갯벌ㆍ농지개발ㆍ분갈이ㆍ도자기 빚기 등의 분야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辛 己 戊 丙                癸 戊 癸 癸

未 丑 戌 戌                亥 戌 亥 亥

 

  戌월의 기토는 왕성한 토기를 설기(泄氣)하여 중화시키기 힘들고,  건조한 술토ㆍ미토와 냉습한 축토가 서로 격이 져있으므로 위암ㆍ위경련 등에 유의해야 한다.   亥월의 무술 일주는 토기가 물살에 유실되는 형상이므로 특히 과음으로 인한 위장질환을 조심하고,  십이지장ㆍ디스크 질환 등에 유의해야 한다.

 

 

乙 己 丙 丁                庚 壬 壬 癸

丑 酉 午 未                子 申 戌 亥

 

  午월의 기유 일주는 조열(燥熱)한 화기를 식혀줄 습토성 분야와 금기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戌월의 임신 일주는 범람하는 물을 막아줄 건조성 토기 분야나 수기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3) 土氣의 특징과 활용에 관한 내용 중 부적절한 부분이 있으면 고치고, 바르게 조언해보자.

 ㄱ. 자신이 土氣를 더 필요로 하면  환절기, 황색계열ㆍ둥근 무늬 패션, 황토방, 통통하게 살찌고 중후한 이미지 연출, 조정ㆍ조율하는 업무 등을 선택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ㄴ. 일간이 토기이면서 토기를 더 필요로 하는 구성이면  포용성이 주로 요구되는 분야 (예: 상담지도) 등을 선택하고, 직선적이고 융통성이 부족한 분야 등은 피하도록 한다.

 ㄷ. 자신이 토기이면서 기운이 쇠약한 상태이면,  일진이 임자일ㆍ갑자일 등일 때 특히 밤에 허리가 삐끗하지 않도록 조심할 필요가 있다.  

 

 

金氣의 특징과 활용 

 

  金氣가 사주와 운 간지에 의해 지나치게 결집되어 강도가 높아지는 구성이면,  폐암이나 대장암 등을 조심해야 한다. 그리고 金氣가 지나치게 쇠하거나 상하게 되는 구성이면,  폐결핵ㆍ폐렴ㆍ기관지염ㆍ천식ㆍ신경성 대장염ㆍ빈혈ㆍ치아 결손ㆍ골절상ㆍ맹장염ㆍ치질ㆍ축농증ㆍ 피부염 등에 유의해야 한다.

 

  자신이 더 필요로 하는 오행이 金氣이면서 무쇠성 금기를 더 필요로 하는 구성이면,  대형크레인ㆍ중장비ㆍ차량 바퀴ㆍ철골구조물ㆍ도끼ㆍ작두ㆍ탱크 등의 비교적 크고 단독적인 분야에 적합하다.  반대로 정밀성 金氣를 더 필요로 하는 구성이면,  항공기엔진ㆍ반도체ㆍ공작기계ㆍCNC선반ㆍ드릴ㆍ시계 등의 비교적 작고 조립적인 분야에 적합하다.

 

 

甲 庚 辛 戊                癸 丁 庚 己

申 申 酉 申                卯 未 午 巳

 

  월의 경금은 자신의 기운인 금기가 지나치게 강한 구성이므로  폐암이나 중금속 중독 등에 유의해야 하고, 간(肝) 질환을 조심해야 한다.   午월의 정화는 왕성한 화기로 인해 경금이 무력해진 상태이므로,  운 간지가 병인ㆍ정묘 등일 때 특히 폐렴ㆍ대장염 등에 유의해야 한다.

 

  

乙 甲 己 庚                乙 辛 壬 乙

亥 辰 卯 申                未 卯 午 酉

 

  卯월의 갑목은 자신의 계절에 해수의 생을 받고 진토에 뿌리도 내린 상태여서 줄기를 단호하게 다듬어줄 금기가 필요한 구성인데,  마침 년간의 경금이 힘을 얻어 천간에 두각을 나타낸 형상이므로  기간산업ㆍ사정기관 등의 규모가 큰 분야에 적합하다.   午월의 신묘 일주는 음 일주에 음 간지가 주도적이면서 년지 유금이 더 필요한 상태이므로  침(針)ㆍ주사기ㆍ임플란트 틀니 등의 정밀성 금기 분야에 적합하다.

 

 

4) 金氣의 특징과 활용에 관한 내용 중 부적절한 부분이 있으면 고치고, 바르게 조언해보자.

 ㄱ. 자신이 金氣를 더 필요로 하면  가을과 늦은 오후, 흰색계열의 패션, 금속공예, 절도 있고 각진 이미지 연출, 서쪽방향, 구원투수의 경우처럼 업무의 마무리 단계 등을 선택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ㄴ. 金氣가 사주에서 중요한ㆍ주도적인ㆍ필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이면  뼈대의식이 요구되는 분야 (예: 산업기계 엔지니어) 등을 선택하고,  화력이 강렬한 작업이나 벌목 작업 등은 피하도록 한다.

 ㄷ. 자신이 금기이면서 기운이 쇠약한 상태이면,  운 간지가 경진ㆍ신유 등일 때 특히 면역력이 약해질 소지가 많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