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음양2

   

 

사주 간지의 양  비율 및 위치

등에 따른 양  성향사주 예

통해 알아본다. (5. 음양1」,

12_2 음양 확인하기참고)

 

 

음양 간지 비율 

 

乙 甲 丙 甲                戊 乙 甲 戊

丑 辰 寅 申                寅 丑 寅 申

 

  두 사주는 같은 월이고일간 자신과 같은 목기가 3개씩 있으며간지의 음:양 구성 비율도 2:6으로 서로 같지만일간이 양 천간-陽干월의 갑목이 전통적인 남성적 성향즉 양의 성향을 표출하는 경우가 한층 더 많다.

 

 

癸 丙 戊 甲                癸 丙 戊 甲

巳 辰 辰 子                巳 午 辰 子

 

 월의 병화인 두 사주는 년주, 월주, 시주가 같고일지만 다른 구성이다. 양의 간지 숫자로는 병진 일주가 더 많지만양의 성향 표출로는 병오 일주가 더 강한 경우가 많다. 병오 일주는 일지가 일간과 같은 오행이면서 시지 사화와 더불어 화기의 시너지(상승)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참고: 병오갑인무진무술경신임자 일주처럼 일간과 일지가 같은 오행을 간여지동干與支同이라고 하는데양 일간이 간여지동이면 양의 성향이 한층 강해지는 경우가 많다.)

  

 

庚 己 甲 丙                丙 己 丙 丁

午 丑 午 辰                寅 未 午 巳

 

  같은 월생이고  일간이 기토인 두 사주는 간지의 음과 양 구성 비율이 4:4이므로 중성적인 성향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일간의 힘이 약할수록냉습한 간지가 많을수록  음의 성향을 더 표출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 기축기미을묘정사신유,  계해 일주도 간여지동이라고 하는데,  음 일간-陰干이 간여지동이면 음의 성향이 강해진다기 보다는 견겁의 성향이 강해지는 경우가 많다.)

 

 

1) 두 사주의 음양 성향이 제시된 내용처럼 추론될 수 있는지의 여부와 그 이유를 말해보자. (경술 일주는 여자신사 일주는 남자)

 

丙 庚 己 庚                庚 辛 戊 癸

子 戌 丑 子                寅 巳 午 卯

 

  "기본적으로 여자는 여성성이 있고남자는 남성성이 있지만이와 같은 두 사주의 경우에는  신사 일주가  경술 일주보다  남성성의 성향이 한층 강한 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두 사람이 평소에 박력, 강단, , 딱딱함, 까칠함, 공격성 등의 측면에서 경쟁을 한다면  신사 일주가 이기는 것이 보다 더 자연스럽다고 할 수 있다."  

 

 

음양 간지 위치

 

乙 庚 甲 乙                辛 甲 戊 乙

酉 寅 申 卯                未 子 寅 未

 

 월의 경금은 월주와 일주가 양 간지이고월의 갑목은 월주와 일간이 양 간지이다. 그리고 두 사주의 년주와 시주는 음 간지이다. 이처럼 밖이 음이고안이 양인 구성을 외음내양(外陰內陽)이라고 한다. 외음내양의 구성이면, 겉으로는 마치 제가 뭘ㆍㆍ하며 다소곳한 음의 성향이지만속으로는 내가 누군데ㆍㆍ하며 튀는 듯한 양의 성향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丙 辛 戊 丙                甲 己 癸 壬

申 酉 戌 辰                戌 丑 卯 申

 

  戌월의 신금은 년주, 월주, 시주가 양 간지이고  일주만 음 간지이며월의 기토는 년주와 시주가 양 간지이고  월주와 일주는 음 간지이다. 이러한 구성을 외양내음(外陽內陰)이라고 한다. 외양내음의 구성이면, 겉으로는 마치 내가 할게ㆍㆍ하며 호기부리는 양의 성향이지만속으로는 내가 언제ㆍㆍ하며 수그러드는 듯한 음의 성향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甲 壬 戊 庚                癸 癸 辛 辛

辰 申 寅 申                丑 卯 卯 酉

 

  월의 임수처럼 안과 밖이 모두 양 간지인 외양내양의 구성을 일명 양팔통(陽八通)이라고 한다. 그리고 월의 계수처럼 외음내음인 구성을 일명 음팔통(陰八通)이라고 한다. 외양내양인 구성이 마치 죽더라도 일단 내지르고 보자는 식의 성향을 보인다면외음내음인 구성은 죽더라도 나서지 말고 폼잡지도 말자는 식의 성향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2) 두 사주의 성향과 쓰임새에 관한 비교 내용이 타당한지의 여부와 그 이유를 말해보자.

  

癸 丁 辛 乙                壬 丙 庚 甲

卯 酉 巳 未                辰 申 午 戌

 

  "어느 사업 분야나 노력하기 나름이지만,  (성별에 관계없이),  꼼꼼하게 체크하고  실속 있게 챙겨야 하는 분야와  여성들을 주로 관리하는 분야에는  병신 일주가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반면 외형적인 스케일이 요구되고  모험 투자가 중시되는 분야와  남성들을 주로 관리하는 분야에는  정유 일주가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