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천간
천간을 읽고 쓸 수 있도록 연습하고,
자연에서의 천간 상징물을 연상해보며,
그 상징물에서 느껴지는 기운을
인간 성향과 연계하여 추론해 본다.
임진왜란, 기미년 3월1일 만세운동 등은 역사적인 사건이다. 여기서 임진, 기미는 그 사건이 일어난 해를 나타내는데, 앞의 임과 기를 천간(天干), 뒤의 진과 미를 지지(地支)라고 부른다.
천간이 하늘(이상-머리-상층부-목표 등)을 상징한다면, 지지는 땅(현실-발-하층부-노력 등)을 상징한다. 천간은 모두 10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10干이라고 한다. 수학에 10개의 숫자가 있는 것과 같다. 10개의 천간은 甲(갑), 乙(을), 丙(병), 丁(정), 戊(무), 己(기), 庚(경), 辛(신), 壬(임), 癸(계) 이다.
사주명리에서는 사람은 누구나 생일에 따라 이 10개의 천간 중 하나에 해당된다고 보며, 해당되는 천간의 질적인 상태를 살핌으로써 해당 사주의 강점과 약점, 잠재력과 경쟁력, 쓰임새와 진퇴시기 등을 추론하게 된다. 그보다 먼저, 다양하게 변화하는 천간의 질적인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천간의 양적이고 독립개체적인 자연 상징물을 연상(비유)하게 되는데, 이를테면 다음의 두 예문과 같다.
① 그녀는 재를 토닥이면서 아궁이(土--戊ㆍ己) 속으로 잔솔가지(木--甲ㆍ乙)를 밀어 넣었다. 문틈으로 밝아오는 동녘처럼 불길(火--丙ㆍ丁)이 오르자, 반들반들한 가마솥(金--庚ㆍ辛)이 들썩이며 뜨거운 김(水--壬ㆍ癸)이 사방으로 퍼져 나왔다.
② 야트막한 언덕(戊)을 지나고 긴 강(壬)줄기를 따라 걷다가 해(丙)가 뉘엿뉘엿할 때쯤, 그는 정자나무(甲)가 서있는 마을로 들어섰다. 멀리 철탑(庚) 공사장으로 아이들이 뛰어가고 있었다. 그는 우물(癸)에서 목을 축이고, 찬거리(乙)를 다듬고 있는 아낙들과 얘기를 나누다, 이내 김씨네 밭(己)으로 향했다. 해가 지자 기다렸다는 듯 둥근 달(丁)이 얼굴을 내밀었다. 김씨네는 가위(辛)로 봉곳한 장미를 한 아름 잘라내고 있었다.
천간의 독립개체적인(고유한 또는 잠재적인) 상징물 형상과 주변의 다른 천간이나 지지의 영향을 받는 구성변화적인(실제적인 또는 가시적인) 상징물 형상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즉 상징물의 형상이 한 가지로만 고정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丙은 해, 丁은 달을 상징하므로 독립개체적으로는 丙이 丁보다 밝고 강렬한 불(火氣)로 상징되지만, 구성변화적으로는 얼마든지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이는 천간의 독립개체적인 형상을 근거로 한 성향(속성ㆍ성격) 추론이 구성변화적인 형상을 근거로 한 성향 추론과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지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독립적인 성질을 모르면 변화적인 성질 역시 이해하기 어렵다. 여기서 ‘독립개체적’이라는 생소하고 긴 용어를 굳이 사용하는 이유이다.
▣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 천간이 하늘-현실-노력을 상징한다면 지지는 땅-이상-목표를 상징한다.
- 독립개체적인 형상과 구성변화적인 형상은 보편적으로 차이가 없다.
- 독립개체적인 성향 추론은 구성변화적인 성향 추론의 앞 단계이다.
▣ 독립개체적으로 생각할 때 다음의 자연 상징물로 연상될 수 있는 천간을 말해보자.
무쇠 솥/ 땔나무(장작)/ 수증기(김)/ 타오르는 불꽃/ 아궁이(화덕)
참고: 천간이나 지지를 자연물에 비유(상징)하는 것은 자연 이치와 연계하여 사주 논리를 전개하려는 의도 때문이다. 이러한 상징체계는 곧 학습하게 될 오행과 음양의 개념에 근거한다.
갑에서 무까지 읽고 쓰기
甲[갑] [ ] 乙[을] [ ]
丙[병] [ ] 丁[정] [ ]
戊[무] [ ]
甲은 독립개체적으로 덩치가 크고 단단한 나무의 형상이다. 때문에 대들보처럼 강직하고 근엄하며 외부 자극에도 강하지만, 자기과시욕이 지나치고 융통성이 없어 독불장군이 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乙은 작고 부드러운 나무의 형상이다. 때문에 수양버들처럼 유연하고 분재처럼 단아하며 잡초처럼 생명력이 있지만, 외부 자극과 강제 요소에 약하며 어느 곳에나 잘 나서고 잘 끼어들어 간섭하는 단점이 있다.
丙은 크고 강렬한 불의 형상이다. 때문에 주변의 음침함과 냉랭함을 말끔히 가시게 하고 정열적이며 숨김이 없지만 접근을 어렵게 만들고 직설적이며 말이 앞서는 조급한 성향은 단점이라 하겠다.
丁은 작고 은근한 불의 형상이다. 때문에 온기와 정감을 느끼게 하고, 화롯불이나 간접조명처럼 은근히 접근해 오며 지속성이 있다. 그러나 성격이 우유부단하니 단호하지 못하고 뒤로 잘 물러나는 단점이 있다.
戊는 넓고 개간되지 않은 흙의 형상이다. 때문에 야생의 동식물이나 무법자도 모두 받아들여 삶의 터전이 되어주는 넉넉함과 그들에 의해 개척되기를 바라는 느긋함이 있다. 그러나 직접 전략을 세우고 도전하는 데는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 독립개체적으로 볼 때 다음의 이미지에 가장 가까운 천간을 써보자.
ㄱ. 세력에 의해 빛을 보지 못하면 휘감고라도 성장하려는 칡넝쿨 [ ]
ㄴ. 누구든 내치지 않고 차별 없이 받아들여 살게 하는 고향 뒷동산 [ ]
ㄷ. 상대를 꿰뚫고 직설적으로 표현하며 음침함을 없애주는 빛줄기 [ ]
ㄹ. 열 번 찍어도 안 넘어갈 것 같은 수염 가득한 옹고집 영감님 [ ]
ㅁ. 확 커지거나 금방 사위지 않고 서서히 차고 조금씩 기우는 달빛 [ ]
해설: 자연 상징물을 보고 천간의 성향(장점 또는 단점)을 추론할 때 그것이 주관적이고 포괄적일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는 자연 상징물에서 느껴지는 이미지를 통해 그렇게 추론해 볼 수도 있구나 하는 정도로만 이해하면 된다. 간지의 독립개체적인 성향은 다양한 변화요소에 의해 정반대로 변화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ㄱ. 乙 ㄴ. 戊 ㄷ. 丙 ㄹ. 甲 ㅁ. 丁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_2 간지결합 연습과 육십갑자 형상별 성향, 대안 추론하기 (2) (0) | 2015.06.14 |
---|---|
3_1 간지결합 연습과 육십갑자 형상별 성향, 대안 추론하기 (1) (0) | 2015.06.10 |
2_2 지지 읽고 쓰기, 냉온건습과 용도 이해하기 (2) (0) | 2015.06.05 |
2_1 지지 읽고 쓰기, 냉온건습과 용도 이해하기 (1) (0) | 2015.06.01 |
1_2 천간 읽고 쓰기, 상징물과 성향 추론하기 (2) (0) | 2015.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