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지지
지지를 읽고 쓰면서 독립개체적인
자연 상징물을 연상해본다. 나아가 그
상징 기운이 냉한지 더운지, 건조한지
습한지를 알아보고, 쓰임새(용도)를
추론해본다.
토끼띠 돼지띠 등 우리가 흔히 쓰는 ‘띠’라는 용어는 태어난 해(年)의 간지 중 지지(地支)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 종류는 지지와 마찬가지로 열두 가지이다.
이처럼 띠에 해당하는 지지도 사주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사주명리에서는 띠를 동물에 비유한, 예를 들어 돼지띠는 밥을 많이 먹는다는 식의 고정적인 해석에는 의미를 두지 않는다. 사주 네 기둥의 간지는 동물이 아니라 木·火·土·金·水의 오행 관점에서 성립되고 해석되기 때문이다.
1년이 12개월, 시간이 12시간 단위로 되어 있는 것도 지지와 연관이 있다. 그래서 지지를 12支라고도 한다. 지지는 子(자), 丑(축), 寅(인), 卯(묘), 辰(진), 巳(사), 午(오), 未(미), 申(신), 酉(유), 戌(술), 亥(해) 이다.
지지는 천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형상과 성향을 추론할 뿐만 아니라, 냉온(冷溫)과 건습(乾濕) 여부 및 그 정도를 가늠하는데 더 큰 비중을 두게 된다. 이를테면 다음의 예문과 같다.
“오늘 하루도, 얼음장 밑 냉수(子)처럼 차가운 이성으로, 인동초와 벗하는 얼어붙은 흙(丑)처럼 야무진 의지로, 쭉 뻗은 키 큰 소나무(寅)처럼 경쾌한 몸놀림으로, 어디든 뿌리내리는 들풀(卯)처럼 질긴 생명력으로, 봄비에 젖은 흙(辰)처럼 먼지 없는 감성으로, 오월 어느 구름 낀 날 나왔다 들어갔다 도무지 종잡을 수 없는 햇빛(巳)처럼 밉지 않는 변덕으로, 장미의 계절 대낮의 열기(午)처럼 불타는 열정으로, 장마철 거친 물살을 막아주는 단단한 흙(未)처럼 믿음직한 버팀으로, 수십 층 건물을 떠받치는 대들보인 철골구조물(申)처럼 탄탄한 근성으로, 우주선의 부품(酉)처럼 치밀한 논리로, 갈무리하기 좋은 마르고 온기 있는 흙(戌)처럼 적절한 포용력으로, 만물을 살찌우는 자양분 물(亥)처럼 조직의 윤활유로, 혼신을 다해 운명개척 합시다.”
냉기-열기, 마른 흙-젖은 흙 등 각각 냉·온ㆍ건·습한 성질을 갖고 있는 자기의 본래 자연 상징물이 주변의 다른 간지의 영향을 받으면 질적으로 정반대 상태로도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립개체적(體)으로 찬물인 子가 구성변화적(用)으로는 뜨거운 수증기가 되기도 하고, 온기 있는 땅인 戌이 구성변화적으로는 냉랭한 땅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사주 구성)에 체(體)와 용(用)이 달라지는 지를 알아야 하는데, 이 부분은 차차 학습하도록 하고, 여기서는 ‘도(道)는 體와 用이니 한 가지로 집착하지 말라’는 말을 새기도록 하자.
▣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 12개의 띠, 12개월, 12시간 단위에서 12라는 숫자는 천간에서 비롯된 것이다.
- 냉·온과 건·습 여부는 지지에만 적용될 뿐 천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지지의 자연 상징물, 냉·온과 건·습 여부, 성향 등은 고정적이다.
▣ 다음 지지의 독립개체적인 자연 상징물 형상과 냉ㆍ온, 건ㆍ습 여부를 생각해보자.
丑/ 辰/ 未/ 戌/ 寅/ 卯/ 申/ 酉/ 巳/ 午/ 亥/ 子
참고: 12개의 띠-12支神만을 기준으로 해서 단편적으로 보는 것들에는 도화살, 역마살, 삼재살 그리고 신문잡지의 오늘의 운세 등이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사주의 전체적이고 종합적인 구성변화적 분석을 한 후에 경우에 따라 참고하기도 한다. 기타 수많은 단편적인 신살(神殺), **귀인貴人, **성星 등으로 불리는 것들도 마찬가지이다. 흔히 神, 귀인 등은 길함을, 殺은 흉함을 통칭하지만 사주 구성에 따라 殺이 길함으로, 神이 흉함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자에서 사까지 읽고 쓰기
子[자] [ ] 丑[축] [ ]
寅[인] [ ] 卯[묘] [ ]
辰[진] [ ] 巳[사] [ ]
子는 독립개체적으로 한겨울 냉하고 습한 물의 형상이다. 따라서 나무를 키우는 데는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지만 긴 밤 목마른 사람들의 갈증을 해소해주는 청량음료, 각종 주류 등의 용도로는 적합하다고 추론할 수 있다.
丑은 늦은 겨울 얼어붙은 냉하고 습한 땅 즉 물이 얇게 깔린 음지의 형상으로, 씨를 뿌리고 작물을 재배하기보다는 스키장, 스케이트장, 미꾸라지 양식장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寅은 이른 봄 아직 물이 오르지 않은 굳건하고 건조한 나무의 형상으로, 불에 잘 타고 냉기와 습기를 잘 흡수하므로 성냥 등의 인화 물질이나 물 먹는 흡수지 또는 숯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卯는 봄철 완연히 물이 올라 다소 냉하고 습해진 초목의 형상으로 어디든 뿌리를 잘 내리고 탄력이 있다. 따라서 영업, 서비스업, 창업도우미, 약초 재배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辰은 늦은 봄(환절기) 몇 겹으로 쌓인 낙엽 밑의 차갑고 축축한 땅의 형상이다. 작물이 자라기 좋은 토질이므로 분갈이용 흙, 묘목판, 인삼밭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巳는 건조하고 따뜻한 불의 형상으로, 5월 아침저녁의 냉기와 대낮의 더운 날씨처럼 긴 팔 짧은 팔을 번갈아 입게 하므로 분장사, 패션코디, 냉온풍기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 독립개체적으로 볼 때 다음의 이미지에 가장 가까운 지지를 써보자.
ㄱ. 냉하지만 때를 기다리는 사람(인동초)을 감싸고 벗하는 이미지 [ ]
ㄴ. 기온 차이가 심한 날씨처럼 옆사람을 햇갈리게 만드는 이미지 [ ]
ㄷ. 음침한 분위기를 경쾌하고 새로운 분위기로 잘 바꾸는 이미지 [ ]
ㄹ. 한껏 달아오른 분위기를 순식간에 차갑게 바꿔버리는 이미지 [ ]
ㅁ. 물이 올라 휘는 맛(애교)이 있고 잘 적응하는 이미지 [ ]
ㅂ. 봄비로 촉촉해진 들판처럼 만물을 포용하는 넉넉한 이미지 [ ]
해설: 지지도 천간의 경우처럼 자연 상징물에서 느껴지는 성향과 냉-온ㆍ건-습 상태에 따른 다양한 쓰임새를 추론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사주에서 더 필요로 하는 지지가 무엇이냐에 따라 진로분야 설정 등에 활용될 수 있다.
ㄱ. 丑 ㄴ. 巳 ㄷ. 寅 ㄹ. 子 ㅁ. 卯 ㅂ. 辰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_2 간지결합 연습과 육십갑자 형상별 성향, 대안 추론하기 (2) (0) | 2015.06.14 |
---|---|
3_1 간지결합 연습과 육십갑자 형상별 성향, 대안 추론하기 (1) (0) | 2015.06.10 |
2_2 지지 읽고 쓰기, 냉온건습과 용도 이해하기 (2) (0) | 2015.06.05 |
1_2 천간 읽고 쓰기, 상징물과 성향 추론하기 (2) (0) | 2015.05.28 |
1_1 천간 읽고 쓰기, 상징물과 성향 추론하기 (1) (0) | 2015.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