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친(십성) 생∙극 관련 용어에는 식신생재食神生財, 식신제살食神制殺(식상이 관살을 극), 財生殺(財生官), 재자약살財滋(慈)弱殺(재성이 약한 관살을 생), 財剋印, 官印相生(殺印相生),

 

군비쟁재群比爭財(여러 견겁이 재성을 극) 등이 있다. 이들 용어에 격(格)자를 붙여서 이를테면 식신생재격 재자약살격 식으로, 해당 사주의 특징을 단순화하기도 한다. (격=짜임 틀)

 

 

 

'Test중심 사주 공부 (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깐 Test (25)  (0) 2024.07.03
잠깐 Test (24)  (0) 2024.06.28
잠깐 Test (23)  (0) 2024.06.21
육친 관계7 (십성)  (0) 2024.06.19
육친 관계6 (십성)  (0) 2024.06.14

 

 

 

예컨대 “丁亥년 甲辰월 己巳일”의 甲은 정관이면서 힘이 좋다(왜?). 이런 짜임이면 조직 규범 전통 명예 (    )을 중시하고 공직자 공기업 쪽을 선호할 소지가(가능성이) 더 많다.

 

그리고 운 천간이 상관인 즉 庚申 庚寅 등의 상관 운에는 (특히 중복될 때) 자칫 일탈 불명예 사표 상황에 처할 소지가 있다. 왜? (자기 중심인 정관 甲을 상관 庚이 심히 극&충)

 

 

'Test중심 사주 공부 (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깐 Test (24)  (0) 2024.06.28
육친 관계8 (생∙극)  (0) 2024.06.26
육친 관계7 (십성)  (0) 2024.06.19
육친 관계6 (십성)  (0) 2024.06.14
잠깐 Test (22)  (0) 2024.06.12

 

 

 

정正은 음양조화 적정 전통성 이미지, 편偏은 음양부조화 편중 창조성 이미지이다. 말하자면 正은 이성異性 배우자 월급 온실 쪽에, 偏은 동성同性 애인 사업 광야 쪽에 가깝다.

그렇다면 사주를 정인+정재+정관이 주도하는 사람과 편인+편재+편관이 주도하는 사람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역동성 변동성 당파성 강한 정치판 기업판에는 누가 더 어울릴까?

 

 

'Test중심 사주 공부 (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친 관계8 (생∙극)  (0) 2024.06.26
잠깐 Test (23)  (0) 2024.06.21
육친 관계6 (십성)  (0) 2024.06.14
잠깐 Test (22)  (0) 2024.06.12
잠깐 Test (21)  (0) 2024.06.07

 

 

 

정인 정재 정관의 정은 바를 正, 편인 편재 편관의 편은 치우칠 偏이다. 상관傷官은 官에 상처냄, 식신食神은 밥 먹거리 기운, 겁재는 재물의 겁탈, 비견의 비는 견줄 比를 뜻한다.

 

물론 이것은 한자어 뜻일 뿐이다. 용어가 왜 그렇게 정해졌는지는 명확히 알 수 없지만 사주를 보다 보면, 육친끼리의 음∙양 생∙극 관계를 분석하다 보면 그 의미가 이해되기도 한다.

 

 

 

 

 

'Test중심 사주 공부 (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깐 Test (23)  (0) 2024.06.21
육친 관계7 (십성)  (0) 2024.06.19
잠깐 Test (22)  (0) 2024.06.12
잠깐 Test (21)  (0) 2024.06.07
잠깐 Test (20)  (0) 2024.06.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