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사람은 이런 사주팔자라"는 무수한 전래 자료들. "이런 사주팔자는 이런 성향, 운명이더라"는 수많은 임상 데이터들. 그래서, 혹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주는 (   )이다.


공부에 왕도가 없고 주식에 정답이 없다고 하는 것처럼 사주도 그렇지만, 한편 공부에도 주식에도 기초가 중요한 것처럼 사주 또한 그렇다. 사주는 천간지지+음양오행+상생상극을 기초로 한다.

 

 

'Test중심 사주 공부 (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생 관계1  (1) 2024.02.07
잠깐 Test (3)  (1) 2024.02.02
형상-성질 감잡기8  (1) 2024.01.26
형상-성질 감잡기7  (0) 2024.01.24
형상-성질 감잡기6  (0) 2024.01.19

 

 

 

간지+오행+음양의 형상-성질에 따라 한 사주의(일간의) 대표 성향을 추론-해석해 볼 수 있다. 이를테면 생장성∙확장성, 투시성∙계몽성, 중재성∙포용성, 혁신성∙과단성, 유동성∙이동성, 유연성∙붙임성, 극단성∙중립성, 노마드(방랑자), 혁명주동자...성향이다.


이러한 성향의 추론-해석 역시 절대적 이분법적인 구분은 불가능하지만 상대적 비교우위적인 몇%:몇% 식의 백분율 구분은 가능하다.

 

 

 

'Test중심 사주 공부 (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깐 Test (3)  (1) 2024.02.02
잠깐 Test (2)  (0) 2024.01.31
형상-성질 감잡기7  (0) 2024.01.24
형상-성질 감잡기6  (0) 2024.01.19
형상-성질 감잡기5  (0) 2024.01.17

 

 

 

한 사람의 복잡다단한 성향을 陽(남성)적∙陰(여성)적, 두목형∙참모형, 규모형∙실속형, 외향형∙내향형, 사회활동가형∙전업주부형, 큰그림형∙디테일형...식으로 구분하는 것은, 즉 음∙양 기운의 양적, 질적 차이에 따라 이분법적으로 딱 잘라 구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한 사람의 사주를 보고 예를 들어 두목형:참모형이 80:20, 50:50, 30:70 식으로 백분율(%)로 구분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러한 구분은 강∙약, 냉∙온, 길∙흉, 대∙소, 고∙저, 다∙소, 장∙단 등의 모든 구분에 유효하다.

 

 

 

'Test중심 사주 공부 (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깐 Test (2)  (0) 2024.01.31
형상-성질 감잡기8  (1) 2024.01.26
형상-성질 감잡기6  (0) 2024.01.19
형상-성질 감잡기5  (0) 2024.01.17
형상-성질 감잡기4  (0) 2024.01.12

 

 

 

예외도 있겠지만 사람들은 대체로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것을 더 좋아한다(더 필요로 한다).

마찬가지로 사주에서도 추울 때는 따뜻한 온수나 햇살.. 형상이, 더울 때는 시원한 냉수나 소나기.. 형상이 더 인기가 있다(더 효용성이 있다).


예를 들어 "丁巳월의 丙午 일주"와 "癸亥월의 丙午 일주"는 (각자의 노력에 따른 인생길이 있겠지만) 단순히 월+일만 놓고 보면, 전자 보다는 후자의 효용이(밸류가) 더 (   )고 본다.

 

 

'Test중심 사주 공부 (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상-성질 감잡기8  (1) 2024.01.26
형상-성질 감잡기7  (0) 2024.01.24
형상-성질 감잡기5  (0) 2024.01.17
형상-성질 감잡기4  (0) 2024.01.12
형상-성질 감잡기3  (1) 2024.01.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