辛 壬 辛 壬 癸 甲 癸 癸
亥 子 亥 子 酉 子 亥 亥
亥월의 임자 일주는 네 개의 지지가 전부 수기이며, 천간의 두 임수까지 가세하여 천지가 온통 물로 보이는 구성이다. 그러다보니 월간과 시간의 신금은(어머니는) 오히려 자신이 생한 물에 잠겨서 당신 본래의 장점인 예리한 감촉을 잃어버리기 쉬운 형상이다. “저는 저 때문에 어머니가 기를 못 펴시는 줄은 몰랐습니다.”
亥월의 갑자 일주는 일간 갑목과 시지 유금을 제외하고는 모두 수기 간지이다. 즉 갑목은 부목(浮木)의 형상으로 혼자서 수기를 흡수해서 조절하기가 어려운 상황이고 (간肝이 굳어지는 질환에 유의), 시지 유금은 적극적으로 금생수하지 못하고 자연히 수다금침(水多金沈)이 된다 (폐에 물이 차는 질환에 유의). “제 남편이 제 친정을 왜 그리 멀리하려고 했는지 알 것 같군요.”
1) 木氣 간지가 수생목을 비교적 적절히 받고 있는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丁 乙 戊 乙 丁 乙 丁 丁
亥 亥 子 亥 亥 亥 未 酉
庚 丙 丁 丁
寅 子 未 巳
2) 土氣 간지가 토극수하기 가장 어려운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甲 己 壬 壬 庚 壬 壬 壬
子 未 子 申 子 戌 子 申
丙 庚 壬 壬
子 辰 子 申
해설: 자월 경진 일주의 일지 진토가 토극수하기가 가장 힘들다. 그 이유는 수기가 화기보다 지나치게 왕성하여 진토가 한층 물렁해지기 때문이다.
3) 金氣 간지가 물에 잠길 소지가 많은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辛 丁 庚 壬 庚 壬 壬 辛
丑 丑 戌 子 子 申 辰 亥
丁 己 乙 癸
卯 酉 丑 亥
해설: 금기가 지지에 위치하고 주변에 수기가 많으면서, (수생목과 수극화 등으로) 수기가 분산되지 않을수록 수다금침의 소지가 많다.
木氣가 태과한 사주 예
癸 乙 丁 甲 壬 乙 己 乙
未 卯 卯 子 午 卯 卯 卯
丁卯월의 을묘 일주는 목기월에 목기 간지가 많고 자수와 계수까지 수생목하여 목기가 매우 왕성해진 구성이다. 이런 경우에 월간 정화는(내세우고 싶은 자식은) 주변의 습한 기운과 지나친 목기로 인하여 오히려 활활 타오르지 못하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인가요. 그 아이는 저의 관심 표현을 지나친 간섭이라고만 여기는 것이. 어미인 저도 답답해요.”
己卯월의 을묘 일주에서 시지 오화는 주변의 왕성한 목기와 임수에 의해 꺼지기 쉬운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마치 성냥불 하나로 습기 찬 초목 밭에 불을 피워야 하는 형상인 것이다. “그러나 나는 오화를 살려야 한다. 나도 (정묘월의 을묘 일주처럼) 꽃을 피워 향기를 내고 싶은 여자이니까.”
乙 辛 甲 戊 丙 甲 丙 甲
未 卯 寅 寅 寅 申 寅 寅
寅월의 신묘 일주는 지나치게 왕성한 목기로 인하여, 일간 신금이 금극목을 확실히 하기가 아주 벅차 보이는 구성이다. 즉 목다금결(木多金缺)의 형상으로 칼날만 손상될 소지가 더 많은 것이다. “나는 솔직히 아내가 겁난다. 연애 때는 몰랐던 사실이다. 그러면서도 알게 모르게 주변의 여자들에게 자꾸 눈이 돌아간다.”
寅월의 갑신 일주는 일지 신금이 陽金으로서의 자존심을 내세우며 주변의 나무들을 쳐보지만, 좌우 인목과의 싸움에서부터 밀리는 형상이다. 거기에다 목생화를 잘 받고 있는 병화까지 화극금하니 양금으로서의 자존심을 세우기가 더 힘들다고 할 수 있다. “제 남편, 근성과 힘이 있죠. 하지만 저에게는 약해요. 저도 좀 세거든요.”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_4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의 사주 예와 특징 추론하기 (4) (0) | 2016.01.15 |
---|---|
14_3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의 사주 예와 특징 추론하기 (3) (0) | 2016.01.09 |
14_1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의 사주 예와 특징 추론하기 (1) (0) | 2015.12.28 |
13_3 대운 간지와 대운 수, 운(運) 간지의 의미 이해하기 (3) (0) | 2015.11.27 |
13_2 대운 간지와 대운 수, 운(運) 간지의 의미 이해하기 (2) (0) | 2015.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