甲 丙 庚 甲                丁 戊 丁 癸

午 午 午 午                巳 午 巳 卯

 

  월의 병오 일주에서 두 갑목은 목분(木焚)의 상태에월간 경금은(아내는) 녹아나는(초조하게 애간장을 태우는) 상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화기가 왕성한 구성이면 일간 병화는 무엇보다 자신의 단점인 불같이 급하고 직설적인 성질이 표출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 신체적으로는 고혈압과 기관지 질환, 간과 폐 등을 조심해야 한다.

 

  월의 무오 일주에서 년지 묘목과 년간 계수는 왕성한 화기로 인해 냉습한 기운을 거의 상실한 상태에 가깝다. 즉 사주가 지나치게 조열(燥熱)하여 부친과 남편이 자신들의 본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형국이다. 일간 무토는(나는) 화다토초에 가까워 화초를 생장케 하는 습윤한 토질과는 거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1) 土氣 간지가 가장 적절하게 화생토를 받는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壬 戊 乙 乙                丁 戊 乙 乙

子 午 酉 亥                巳 午 酉 亥

 

丁 戊 甲 丙

巳 戌 午 午

 

 해설: 적절하게 화생토를 받는 경우는, 화기가 우선 질적으로 기운이 있으면서 토생금과 금생수 등으로 기운이 잘 소통되는 경우이다.

 

 

2) 水氣 간지가 적절하게 수극화할 수 있는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辛 甲 丙 壬                壬 丁 丙 壬

未 子 午 戌                寅 亥 午 戌

 

庚 壬 丁 戊

子 申 巳 午

 

 

3) 木氣 간지가 화다목분이 될 소지가 희박한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壬 乙 丙 戊                庚 甲 辛 己

午 卯 辰 午                午 午 未 未

 

丙 乙 丙 丁

子 未 午 巳

 

 해설: 수기, 금기, 습토 등의 냉습한 기운이 화기, 조토 등의 건조한 기운보다 강하면 목분이 아니라 목생화가 이루어진다. 

 

 

土氣가 태과한 사주 예     

 

辛 己 己 戊                己 戊 戊 甲

未 未 未 辰                未 申 辰 戌

 

  월의 기미 일주는 시간 신금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토기 간지이다. 기토는 독립개체적으로 잘 정리된 문전옥답으로 상징되지만, 이러한 구성이면 드넓은 건설용지의 형상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토기가 지나치게 과다하면 시간 신금을 생해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매몰시켜 그 가치를 둔화시킬 소지가 있다.

 

  월의 무신 일주는 일지 신금이 흙더미에 빙 둘러싸여 있는 형상이다. 같은 금매(金埋)라도 금기가 천간에 있는 경우는 밖으로 목이라도 내놓은 형상으로 연상되지만, 이처럼 지지에 있는 경우는 흙더미에 폭 파묻힌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일지는 배우자의 자리이기도 하므로) 사랑이라는 명목으로 배우자를 옴짝달싹 못하게 할 소지가 있다.  

 

 

乙 己 辛 甲                己 戊 戊 辛

丑 丑 未 戌                未 寅 戌 丑

 

  월의 기축 일주에서 년간 갑목과 시간 을목은 土多로 인해 땅에 뿌리를 충분히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금기식상 운이 대운이나 년운, 월운 등에서 이중으로 겹쳐서 오면 두 나무는(직장은, 남자는) 오래 버티지 못하고 넘어질(사표 쓸, 떠날) 소지가 많게 된다.

 

  월의 무인 일주에서 일지 인목은 토기에 둘러싸여 있는 형상이다. 즉 일지 인목관살 남편의 입장에서 보면 여자들에게 둘러싸여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일간은(나는) 하나밖에 없는 남편을 애지중지 하려는데, 남편은 그런 속도 모르고 자꾸 다른 여자들한테 눈을 돌리려고 한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만일 남편의 사주에서 재성이 많다면 그럴 소지는 더 높아질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