丙 戊 戊 丙 壬 戊 己 乙
辰 戌 戌 辰 戌 辰 丑 巳
戌월의 무술 일주는 견겁이 사주 전체를 지배하는 구성이다. 이처럼 견겁이 왕성하면 인수가(선생님이) 화생토하다가(가르치다가) 지쳐서 중도에 손들기 쉽다. 또한 관살로 목극토한다고 해도(회초리를 들어도) 효과는 별로인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즉 견겁이 지나치게 왕성한 사주는 스스로의 변화가 특히 중요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丑월의 무진 일주에서 년지 사화는 지나친 화생토로 인해 그 기운을 유지하기가 충분하지 못한 상태이다. 년간 을목이 목생화를 해준다고 해도 빠져나가는 기운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는, 초년 시절에는(年柱) 뜻을 세우고(을목ㆍ정관) 공부를 곧잘 하기도(사화ㆍ인수) 하는데 그것이 계속 지속되기에는 다소 벅차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1) 金氣 간지가 가장 적절하게 토생금을 받는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己 辛 壬 戊 辛 己 己 辛
丑 丑 戌 辰 未 亥 亥 未
丁 乙 庚 壬
丑 酉 戌 戌
해설: 금기는 습토인 축토와 진토, 술월의 냉기가 있는 술토로부터 토생금을 잘 받는 경우가 많다.
2) 木氣 간지가 목극토하기 가장 힘든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戊 己 癸 乙 甲 壬 丁 壬
辰 未 未 丑 辰 辰 未 戌
己 癸 乙 戊
未 未 卯 辰
해설: 목기가 자기계절(寅卯辰월)의 목기이고, 수생목을 적절하게 받는 목기일수록 목극토를 잘하게 된다.
3) 火氣 간지가 토다화진이 될 소지가 희박한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庚 丁 戊 辛 己 丙 庚 乙
戌 丑 戌 未 丑 戌 辰 丑
丁 丁 乙 辛
未 未 未 未
해설: 자기계절(巳午未월)의 화기, 목생화를 잘 받는 화기, 습토가 주변에 없는 화기일수록 토다화진될 소지가 희박하다.
金氣가 태과한 사주 예
庚 癸 庚 庚 乙 庚 丁 辛
申 酉 辰 申 酉 子 酉 酉
辰월의 계유 일주는 지나치게 과다한 상태인 금기가 일간 계수를 집중적으로 생해주고 있다. 이처럼 금기가 과다한 것에 비해 그것을 중화시켜 줄만한 수기나 목기가 부족하면 물에(시민사회단체에) 중금속이(불순한 후원자가) 많아져 오히려 탁해질 소지가 있으므로 정수기가(제도적 보완장치가) 필요하게 된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酉월의 경자 일주 역시 수기에 비해 금기가 과다한 구성이다. 이런 경우, 일지 자수는(신장-방광은) 탁한 물에 가까워 목기를(간肝을) 생기 있게 생하기가 힘들 뿐 아니라, 생하는 것 자체가 해로울 수 있으므로(간의 해독작용을 오히려 약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음주 등에 특히 조심할 필요가 있다.
丁 丙 辛 戊 乙 庚 庚 戊
酉 申 酉 申 酉 午 申 申
丙 庚 庚 戊
戌 午 申 申
酉월의 병신 일주는 금기가 한창 때인 酉월에 지지가 모두 금기이니 일간 병화의 기세가 약해질 수밖에 없다. 마치 녹여야할 철은 가득한데 용광로의 불은 쇠진하여 꺼져가는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일간 병화는 주변의 돈과 여자들에게 본의 아니게(줏대 없이) 끌려 다니는듯한 인상을 주기 쉽다.
申월의 경오 일주에서 두 번째 을유시의 일지 오화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왕성해진 금기에 포위되어 있는 형상이다. 그러다 보니 일지 오화는(남편은) 혼자 힘으로 금기를(처갓집을) 감당하기 힘들다고 하소연하기 쉽다. 반면 세 번째 병술시의 사주는 두 번째 을유시의 사주와 십여 분의 차이로 시주만 다른 구성인데도 화기의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게 된다. 즉 시간의 병화가(남편이) 일지 오화를(자신의 근성을) 믿고, 처갓집을(아내, 처형, 처제 등을) 감당할 수 있다고 큰 소리 치는 형상인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큰 소리가 현실화 될지는 대운과 년운에서 병화의 기세가 얼마나 살아나느냐에 달렸다고 할 것이다.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_1 음양 간지 구성별 사주 예와 성향, 쓰임새 이해하기 (1) (0) | 2016.02.05 |
---|---|
14_6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의 사주 예와 특징 추론하기 (6) (0) | 2016.01.28 |
14_4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의 사주 예와 특징 추론하기 (4) (0) | 2016.01.15 |
14_3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의 사주 예와 특징 추론하기 (3) (0) | 2016.01.09 |
14_2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의 사주 예와 특징 추론하기 (2) (0) | 2016.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