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월지의 영향
사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월지-월령과
주된 기운, 월지-월률 장간과 지장간의
주(主)ㆍ종(從) 기운 및 주된 기운과
길신과의 관계 등을 알아본다.
월지ㆍ월령과 주된 기운(主氣)
월령(月令)은 월지와 같은 뜻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월지 절기의 주된 기운을 뜻하기도 한다. 월지가 寅-卯-辰월이면 양력 2월 초순에서 5월 초순까지로 봄이면서 목기가 주도적인 기운이 되고, 巳-午-未월이면 5월 초순에서 8월 초순까지로 여름이면서 화기가 주된 기운이 된다. 그리고 申-酉-戌월이면 8월 초순에서 11월 초순까지로 가을이면서 금기가 주된 기운이 되고, 亥-子-丑월이면 11월 초순에서 2월 초순까지로 겨울이면서 수기가 주된 기운이 된다.
봄철에 목기가 주도적인 기운이 되면 수기는 자연히 퇴(退)하게 되고, 화기가 서서히 발(發)하게 되며, 가을철에 금기가 주도적인 기운이 되면 화기와 토기는 자연히 물러나게(退) 되고, 수기가 발하게(發) 된다. 다른 계절의 기운들도 마찬가지 이치이다.
환절기에 가까운 辰-未-戌-丑월은 지지 고유의 기운인 토기와 해당 절기의 오행 기운이 공존하므로, 사주 구성과 주변 간지의 영향에 따라 주된 기운의 왕(旺)ㆍ쇠(衰) 분석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월지가 진토이면 사주의 목기가 왕하게 되거나 토생금으로 금기가 발하게 되기도 하고, 자신의 고유한 토기가 왕하게 되거나 수기를 너무 많이 함유한 상태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辛 乙 癸 壬 辛 乙 己 壬
巳 卯 卯 子 巳 卯 酉 子
辛 乙 癸 壬
巳 卯 丑 子
예로 든 세 사주는 월주만 서로 다른 구성이다. 때문에 세 사주의 일간 을목은 목기가 주기(主氣)인 卯월에 기운이 가장 생기 있게 살아나게 되고, 시간의 신금은 금기가 주기인 酉월에 가장 기운이 있게 된다. 그리고 년간의 임수는 丑월에도 기운이 있지만, 그 기운의 정도는 월지 축토가 본래 기운인 토기를 더 유지하느냐, 절기 기운인 수기를 더 유지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甲 甲 庚 乙 丁 丁 辛 己
子 辰 辰 巳 未 未 未 卯
壬 戊 庚 壬
戌 子 戌 寅
辰월의 갑진 일주에서 월지 진토는 갑목을 뿌리내리게 하면서 토생금도 잘하는 양면성을 갖는다. 그래서 힘이 센 갑목과 경금을 서로 싸움 붙여 놓는 형상이다. 未월의 정미 일주에서 미토는 토기를 더 유지하므로 화기가 점점 수그러들게 되고, 미토가 건조한 토기여서 토생금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 즉 식신생재(食神生財)가 일간 자신의 기대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다고 느껴진다. 戌월의 무자 일주에서 戌월은 금기가 유지되면서 수기가 서서히 발하기 시작하는 절기인데, 술토가 토기 또한 유지하여 토생금, 토극수하는 측면이 있다. 즉 식신생재가 잘되고 있고, 그 재물도 일간 자신이 관리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
戊 癸 壬 丁 戊 癸 乙 丁
午 酉 寅 丑 午 酉 巳 丑
戊 癸 壬 丁
午 酉 子 丑
수기는 가을철에 발하기 시작하여 봄철부터 쇠퇴하게 된다. 그런데 사람들은 수기가 왕성해지는 겨울보다 더운 날에 물을 더 필요로 한다. 이를 통해 서로 비슷한 사주 구성이라면, 겨울의 壬-癸水 일간인 사람보다는 여름의 임-계수 일간인 사람이 대중적으로 인기가 더 있다고 추론해볼 수 있다. 그러나 겨울의 물이라도 따뜻한 온천물 같기만 하다면야 여름의 따뜻한 물보다 몇 배 더 인기가 있을 것이다. 즉 시의적절하게 기운이 작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그럼 위의 세 계수 일간 중에서는 대체로 누가 더 인기가 좋을까?
1) 木氣가 주된 기운이 되는 순서대로 번호를 매기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乙 甲 辛 乙 乙 甲 己 乙
丑 戌 巳 巳 丑 戌 卯 巳
乙 甲 丁 乙
丑 戌 亥 巳
2) 火氣가 주도적인 기운인 순서대로 번호를 매기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辛 丁 庚 辛 辛 丁 庚 辛
亥 酉 子 丑 亥 酉 寅 丑
辛 丁 甲 辛
亥 酉 午 丑
3) 金氣의 기운이 왕한 순서대로 번호를 매기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戊 辛 庚 甲 戊 辛 癸 甲
子 未 午 寅 子 未 酉 寅
戊 辛 丙 甲
子 未 子 寅
4) 水氣가 기운을 잘 유지하는 순서대로 번호를 매기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甲 壬 丁 乙 甲 壬 己 乙
辰 午 亥 未 辰 午 卯 未
甲 壬 己 乙
辰 午 丑 未
5) 土氣가 강한 순서대로 번호를 매기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壬 己 癸 丁 壬 己 甲 丁
申 亥 丑 酉 申 亥 辰 酉
壬 己 丁 丁
申 亥 未 酉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_3 월지ㆍ월령과 주기(主氣), 월률장간ㆍ지장간의 주기 및 길신_용신과의 관계 이해하기 (3) (0) | 2016.04.20 |
---|---|
18_2 월지ㆍ월령과 주기(主氣), 월률장간ㆍ지장간의 주기 및 길신과의 관계 이해하기 (2) (0) | 2016.04.15 |
17_3 육친-십신 구성별 사주 예와 활용, 쓰임새 추론하기 (3) (0) | 2016.03.29 |
17_2 육친-십신 구성별 사주 예와 활용, 쓰임새 추론하기 (2) (0) | 2016.03.20 |
17_1 육친-십신 구성별 사주 예와 활용, 쓰임새 추론하기 (1) (0) | 2016.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