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관식신 관계

내가 생하면서 나와 음양이 다른 간지는 상관같은 간지는 식신 

 

  식상은 상관과 식신으로 구분된다. 사주에서 식상이 적절한(중요한주도적인필요한) 역할을 하면 기술과 예술, 창조적인 표현 분야에 잠재력이 있다고 학습했다. 즉 문학, 음악, 미술, 체육, 무용, 연극, 영화, 개그, 방송연예, 마케팅, 디자인, 광고, 홍보, 기술자, 엔지니어, 요리사 등의 분야로 진출하는 경우가 많다.

 

  상관과 식신의 차이는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한자어 뜻으로 간단하게 구별이 된다. 만일 올해가 상관 운에 해당하면 그것이 좋고 나쁘고를 떠나 일단은 올 한 해 동안 불명예, 불복종, 반항, 사표제출, 실직, 타락 등 상관의 단점 성향이 연달아 표출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식신 운에 해당하고 사주에도 좋은 영향을 미친다면 일단 의식주가 한층 넉넉해지도록 하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

 

  같은 예능 분야로 진출해도, 사주에서 상관이 주도하는 사람은 현장 자체를 중시하면서 스태프(staff)들 속에서 잔뼈가 굵어가는 성향을 보인다면,  식신이 주도하는 사람은 현장뿐만 아니라 이론 쪽에도 남다른 자질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상관이 끼를 위한 끼라면  식신은 응용을 위한 끼라고도 할 수 있겠다. 예를 들어 상관이 악기 연주 자체에 몰입한다면식신은 연주는 물론 작곡지휘자 등에도 관심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관과 식신의 성향으로 그 이름을 날리느냐무명의 설움이냐의 차이는 사주와 운에서 차지하는 관살의 적절한 비중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경우가 또한 많다.  

 

 

1) 다음 천간(=)의 식신에 해당하는 간지를 쓰고, 상관 간지를 생각해보자.

 

  - [丁 午]        - [     ]

 己 - [     ]        - [     ]

 癸 - [     ]

 

 

2)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상관이 집요한 자아도취식 감정표현에 비중을 두는 성향이라면식신은 주변 상황을 다양하게 고려하는 감정표현에 비중을 두는 성향이다.

 ㄴ. 사주에서 상관이 적절한 역할을 하는 사람이 끼를 위한 끼의 성향이라면식신이 그런 사람은 응용을 위한 끼의 성향이라고 할 수 있다.

 ㄷ. 오늘의 운이 상관에 해당하고 사주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면 평소보다 사표 쓸 확률이 몇 배 높다는 예측도 가능하다

 

 

정재편재 관계

내가 극하면서 나와 음양이 다른 간지는 정재같은 간지는 편재 

 

  재성은 정재와 편재로 구분된다. 한자어 뜻으로 보면 정재는 바른 재물의 성향이고편재는 편된 재물의 성향이다. 바른 재물이 규칙적인 월급 같은 것이라면편된 재물은 불규칙적인 인센티브, 매매차익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정재가 정식으로 결혼한 아내와 같다면편재는 정식적인 관계가 아닌 여자라고 할 수 있다.

 

  차차 학습하겠지만 내가 천간이면 정재가 되는 천간은 나와 합()을 이룬다. 즉 내가 갑목이면 기토가 정재가 되고내가 경금이면 을목이 정재가 되는데갑목은 기토와 합을 이루고경금은 을목과 합을 이루어 마치 찰떡같은 관계가 된다고 본다.  (이를 기토와 을목 입장에서 보면 갑목, 경금과 합하는 것이고, 정관과 합하는 것이 된다.)  때문에 만일 남자가 올해의 운이 정재 운이면 일단 올 해 안에 정처(正妻)를 만날 소지가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반대로 기토와 을목이 여자라면 정관과 합하므로 결혼할 남자를 만난다고 예측.)  또한 사주에서 정재가 천간에 있으면서 중요한 역할을 할수록 애처가형, 티끌모아 태산식의 저축형에 가깝다고 추론할 수 있다.

 

  사주에서 식신과 편재가 적절한 상태인 사람일수록 개인사업가 쪽에 잠재력이 있는 경우가 많다. 거기다 운까지 따라준다면 경쟁력도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업에 취업하여 부장, 상무 등을 거쳐 전문 경영인이 되고자 하는 사람은 여기에다 적절한 상태의 인수, 관살까지 구비할 필요가 있다. 정재가 안정을 위한 경영이라면,  편재는 모험을 위한 경영이라고 할 수 있다.

 

 

1) 다음 천간(=)의 정재에 해당하는 간지를 쓰고, 편재 간지를 생각해보자.

 

  - [     ]        - [     ]

  - [     ]        - [     ]

  - [     ]

 

 

2)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편재가 규칙적, 소규모적인 저축성 재물에 더 비중을 두는 성향이라면정재는 불규칙적, 대규모적인 투기성 재물에 더 비중을 두는 성향이다.

 ㄴ. 사주에서 정재가 적절한 역할을 하는 사람이 소유를 위한 안정적인 경영을 하는 성향이라면편재가 그런 사람은 확장을 위한 모험적인 경영을 하는 성향이라고 할 수 있다.

 ㄷ. 오늘의 운이 편재에 해당하고 사주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면 뜻밖에 횡재수가 있다는 예측도 가능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