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편관 관계

나를 극하면서 나와 음양이 다른 간지는 정관,  같은 간지는 편관 

 

  관살은 정관과 편관으로 구분된다. 사주에서 관살이 적절하게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 공직계, 정치계, 법조계, 언론계 등의 비교적 권세있는 분야에 잠재력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공무원시험이나 행정고시 등을 거쳐 전통적인 관직으로 진출하려는 성향은 정관에 가깝고법조계나 언론방송계 등을 거쳐 기회적인 정치계로 진출하려는 성향은 편관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만일 사주의 대세를 정인정관이 주도하는 사람이 운에서 관운을 만나 변화무쌍한 정치판에 뛰어든다면 어떻게 될까일의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과연 잘 버텨낼 수 있을까정치판의 균형조화적인 측면에서 보면 편인편재편관의 성향보다는 정인정관의 성향이 더 필요해 보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는데 한계가 있는 것 같다. 이는 바른생활의 인물과 권모술수의 인물이 맞붙으면 일단은 전자가 질 수밖에 없다는 한계이기도 하다. 반면 사주의 대세를 편재편관이 주도하는 사람이 목사, 스님, 신부 등의 종교지도자로 진출한다면 어떻게 될까말이 안 되는 소리인가?

 

  정관이든 편관이든 관살 운은 일단 인기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고목에 꽃핀다는 말처럼 무명의 실력파에게 빛을 보게 하는 것도 정관 운이고 편관 운이다여자는 정관 운(년운월운일운)에 결혼할 남자를 만나도록 집중할 필요가 있고편관 운에는 남편과 상극(相剋)될 소지가 높으니 유의해야 한다. 정관이 업무를 위한 승진이라면 편관은 야망을 위한 승진이라고도 할 수 있다.

 

 

1) 다음 천간(=)의 편관에 해당하는 간지를 쓰고, 정관 간지를 생각해보자.

 

  - [     ]        - [     ]

  - [     ]        - [     ]

  - [     ]

 

 

2)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편관이 전통적인 관례나 서열을 더 중시하는 성향이라면정관은 상황적인 효율과 능력을 더 중시하는 성향이다.

 ㄴ. 사주에서 정관이 적절하게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여자는 사회적 권위와 명예가 비교적 높은 직업의 남자와 인연이 되는 경향이 있다.

 ㄷ. 오늘의 운이 편관에 해당하고 사주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면 경찰서, 법원, 시청 등에 가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더욱 유의할 필요가 있다.

  

 

겁재비견 관계

나와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른 간지는 겁재같은 간지는 비견 

 

  견겁은 겁재와 비견으로 구분된다. 겁재와 비견의 공통점은 "우린 하나여!"라는 것이고차이점은 나와 음양만 다르다는 것이다. 사주에 겁재와 비견이 많이 있거나 운에서 더해지면 나의 기운과 세력이 강해지면서 더 우직하고 대담해지는 성향을 보인다.

 

  문제는 겁재와 비견이 나의 소중한 재물(여자)을 앗아간다는데 있다. 예를 들어 사주에서 내가 갑목이고 내 옆에 정재인 기토가 하나 있는데,   기토 옆에 갑목이 하나 더 있다면 비견에 해당하는 그 갑목 역시도 정재인 기토를 욕심내어 합()해버릴 소지가 있다. 즉 죽마고우라 믿었던 친구동업자에게 돈과 여자를 잃게 되는 일이 생길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내가 기토이고 내 옆에 정관 갑목이 하나 있는데,   갑목 옆에 기토가 하나 더 있다면 비견에 해당하는 그 기토 역시 정관인 갑목을 욕심내어 합하려고 할 것이고결국 나는 친구와 취업승진을 두고 경쟁하거나 남자를 뺏기는 일이 생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문제는 친구인 기토는 전혀 그럴 마음이 없다고 해도,   남편에 해당하는 정관 갑목이 내 친구인 기토를 욕심내려고 들어 결국 결과가 같아질 소지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운에서도 적용이 되니 비견, 겁재 운에는 내 것 지키기에도 집중할 필요가 있다.

 

  비견, 겁재는 사주나 운에서 천간에 있는 것보다 지지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간에 있으면 나와 동등하게 경쟁하려는 성향을 보이지만지지에 적절하게 있으면 나의 굳센 근성(뿌리)이 되어주는 측면이 더 있기 때문이다.

 

 

1) 다음 천간(=)의 겁재에 해당하는 간지를 쓰고, 비견 간지를 생각해보자.

 

  - [     ]        - [     ]

  - [     ]        - [     ]

  - [     ]

 

 

2)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겁재가 성별이 다른 형제나 동료의 성격이라면,  비견은 성별이 같은 형제나 동료라고 할 수 있다.

 ㄴ. 사주에서 겁재가 중요한 역할을 하면 질적인 동질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고,  비견이 중요한 역할을 하면 양적인 동질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ㄷ. 오늘의 운이 겁재 운에 해당하면 손재수가 생기지 않도록 더욱 유의할 필요가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