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사주에서 중요한ㆍ주도적인ㆍ필요한 역할을 하는 육친은 가급적 지지에 있는 것보다는 천간에 있는 것이 좋다고 본다. 즉 年干이나 月干, 時干에 있는 것이 더 영향력이 크다고 보는 것이다. 왜냐면 천간은 하늘ㆍ상층부ㆍ표출(表出)을 상징하고, 지지는 땅ㆍ하층부ㆍ노력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지의 받침이 없으면 천간이 유명무실할 수 있다는 사실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된다.
1) 다음 내용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사주는 년주, 월주, 일주, 시주로 구성된다.
ㄴ. 팔자(八字)는 년간ㆍ년지, 월간ㆍ월지, 일간ㆍ일지, 시간ㆍ시지로 구성된다.
ㄷ. 사주팔자는 4개의 천간과 4개의 지지로 구성된다.
ㄹ. 사주팔자의 중심ㆍ기준이 되는 것은 일간으로 나 자신을 의미한다.
ㅁ. 일지는 나(일간)와 한 몸인 나의 배우자 자리로 추론된다.
ㅂ. 같은 조건이라면, 관살이 년주에만 있는 여자는 연상보다 연하의 남자를 만나는 것이 사주 이치에 더 맞다.
ㅅ. 한 사람의 인생 말년은 時柱만 보면 알 수 있으므로 사주 간지 전체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는 없다.
ㅇ. 일주와 월주가 상극이면 평소에 부모님이나 윗사람과의 관계가 악화되지 않도록 특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ㅈ. 일지가 견겁이면 친구 같은 배우자와 인연이 될 소지가 있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ㅊ. 사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육친은 가급적 지지에 있는 것이 그 영향력이 더 크다고 본다.
2) 제시된 설명을 읽고, 질문에 답해보자.
“사주팔자는 일간(=나)이 7명의 구성원(참모ㆍ팀원)을 데리고 한 배를 탄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한 배를 탔으니 좋든 싫든 7명의 구성원과 함께 항해하면서 동고동락해야 한다. 맘에 안 든다고 교체해달라고 할 수도 없다. 피할 수 없는 운명이라면 운명이다. 7명의 팀원 중에는 전권을 맡길만한 똑똑한 오행ㆍ육친도 있을 거고, 밥만 축내는 도대체 아무런 도움이 안 되는 육친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서로 합심하여 태풍(=운세)이 몰아쳐도 어찌하든 목표하는 항구까지 안전하게 가야한다는 것이다.”
질문: 위의 팀원 7명은 정인1명, 식신1명, 상관1명, 비견2명, 편관1명, 편재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간인 나는 선장으로 이 정ㆍ편 육친 7명을 년간, 년지/ 월간, 월지/ 일지/ 시간, 시지에 한 명씩 배치해야 한다. 우선적으로 나의 좌ㆍ우에 위치하여 나를 보필하는 참모격에 해당하는 月干과 時干에는 이 중 어떤 정ㆍ편 육친-십신을 배치해야 할지 조언해주고, 그 이유도 설명해주기 바란다.
년주 구성
年柱는 매년 2월 초순경의 입춘(立春)을 기점으로 바뀐다.
만세력 책이나 인터넷만세력에서 (이하 만세력) 1995년을 찾으면 간지가 乙亥라고 되어 있다. 이것은 1995년이 을해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1995년의 60년 전인 1935년과 60년 후인 2055년도 을해년이 된다. 같은 방법으로 1994년은 갑술년이다. 갑술년과 을해년을 구분하는 시점은 1995년 양력 2월 4일 입춘 절기가 시작되는 절입(節入) 시간이다. 2월 3일은 입춘이 시작되기 전이므로 을해년이 아니라 갑술년이 된다. 엄밀하게 말해 입춘 당일도 입춘 절기가 시작되는 시간 전은 갑술년이고, 후는 을해년이 된다. 따라서 ‘띠’를 구분하는 시점도 매년 1월 1일이 아니라 당연히 입춘 절기가 되는 것이다.
참고: 만세력(萬歲曆) 책은 과거와 미래를 포함한 일정 기간의 간지를 기록한 것들을 통칭한다. 인터넷만세력은 휴대폰이나 컴퓨터로 해당 사이트에서 일정 기간의 간지를 검색하도록 되어있는 것들이다. 책과 검색프로그램들에 따라 형식과 내용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생년ㆍ생월ㆍ생일의 간지는 모두가 정확하게 일치해야만 한다.
1)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만세력에서 1945년을 찾으면 입춘이 양력 2월 4일임을 알 수 있다.
ㄴ. 따라서 1945년 양력 2월 3일생은 을유년생이 아니라 갑신년생이 된다.
ㄷ. 만세력에서 2005년을 찾으면 입춘이 양력 2월 4일임을 알 수 있다.
ㄹ. 따라서 2005년 양력 2월 5일생은 갑신년생이 아니라 을유년생이 된다.
해설: 예를 들어 1945년 乙酉년이 시작되는 입춘의 절입 일시는 ‘컴퓨터만세력’ 책에는 양력 2월 4일 13시 19분이라고 되어 있다. 이는 2월 4일 13시 19분 전까지는 甲申년이고, 13시 19분 후부터는 乙酉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인터넷만세력 ‘saju8.com’에는 1945년 입춘의 절입 시간이 13시 19분 53초로 되어 있다. 매년 12절기의 절입 시간은 만세력에 따라 (그 계산과정에서) 편차가 있는데, 이처럼 년주의 간지가 바뀌는 애매한 ‘경계 시간대’에 출생한 경우는 사주 간지를 절입 시간 전ㆍ후 2개로 구성해서 분석한다. 월주와 일주, 시주도 마찬가지이다. (이 자리를 빌려 ‘컴퓨터만세력’과 ‘saju8.com’ 두 저작권자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2) 제시된 생일의 년주 간지를 빈칸에 쓰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ㄱ. (양) 1995. 2. 3 = (음) 1995. 1. 4
[ ]년
ㄴ. (양) 1995. 2. 5 = (음) 1995. 1. 6
[ ]년
ㄷ. (음) 1944. 12. 23 = (양) 1945. 2. 5
[ ]년
ㄹ. (음) 1968. 12. 19 = (양) 1969. 2. 5
[ ]년
ㅁ. (음) 1983. 12. 30 = (양) 1984. 2. 1
[ ]년
해설: (양)은 양력, (음)은 음력, (윤)은 윤달을 의미하고, 음력과 양력의 간지는 일치한다. ㄱ. 甲戌 ㄴ. 乙亥 ㄷ. 乙酉 ㄹ. 己酉 ㅁ. 癸亥
3) 수많은 직업 중에서 ‘항해사’, ‘무역선-유조선-크루즈여객선의 선장’ 등을 희망하는 사람은 어떤 육친(십신)들을 구비해야 할지, 그 중에서도 어느 육친(십신)을 우선시해야 할지 말해보자. 그리고 특히 年干과 月干에는 어떤 정ㆍ편 육친-십신이 오는 것이 좋을지 자유롭게 말해보자.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_4 생일을 사주간지로 바꾸는 과정의 이해와 사주구성 연습하기 (4) (0) | 2015.10.10 |
---|---|
11_3 생일을 사주간지로 바꾸는 과정의 이해와 사주구성 연습하기 (3) (0) | 2015.10.03 |
11_1 생일을 사주간지로 바꾸는 과정의 이해와 사주구성 연습하기 (1) (0) | 2015.09.23 |
10 육친 생극 관계로 가족관계 성립 이해하기 (0) | 2015.09.18 |
9_4 정ㆍ편 육친―십신 관계와 성향 비교, 쓰임새 추론하기 (4) (0) | 2015.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