太强한 사주와 격 명칭 예
甲 甲 癸 壬 戊 乙 乙 癸
子 寅 卯 寅 寅 卯 卯 卯
癸 丙 甲 丙 壬 丁 丙 丁
巳 午 午 午 寅 巳 午 未
壬 戊 戊 丙 乙 己 丁 丁
戌 戌 戌 辰 丑 丑 未 巳
乙 庚 甲 庚 丙 辛 丁 辛
酉 申 申 辰 申 丑 酉 酉
戊 壬 癸 癸 壬 癸 丙 辛
申 子 亥 丑 子 酉 申 亥
위의 10개의 사주는 일간별로 지나치게 강한-太强한 구성인 경우의 사주 예들이다. 사주 일간이 지나치게 강한 사주들은 자기 절기에 인수, 견겁의 기운이 지배하는 경우가 많다. 주로 인수, 견겁이 주도하는 구성이다 보니 식상, 재성, 관살의 기운은 상대적으로 쇠약할 수밖에 없다. 사주를 지배하는 인수나 견겁도 그 구성상 중요성과 필요성이 비교적 ( )보니, 태강한 사주들은 (예외도 있지만) 사회적인-대중적인 측면의 균형감이나 경쟁력이 그만큼 ( )지는 구성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태강한 사주는 (일간의 오행과 음양 구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태강즉절太强卽折-스스로 부러지면 부러졌지 외풍에 의해 구부러지지 않으려고 한다-갈팡질팡하지 않는다, 너무 고지식하다, 꽉 막혔다, 융통성을 찾아보기 힘들다, 한 번 폭발하면 제어가 잘 안 된다, 꾀를 부리지 못하고 우직하다-곰 같다 등의 평을 듣기 쉽다.
위의 사주 예들 중에서 卯월의 갑목과 을목은 주로 강직성, 생장력 등이 요구되는 분야를, 午월의 병화와 정화는 화끈함, 화통함 등이 중시되는 분야를, 戌월의 무토와 未월의 기토는 포용성, 원만함 등이 업무 특성인 분야를, 申월의 경금과 酉월의 신금은 혁신성, 치밀성 등이 강조되는 분야를, 亥월의 임수와 申월의 계수는 이동성, 유동성 등이 일상화된 분야를 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태강한 사주들은 (다른 사주들보다 특히 더) 인수, 견겁 운에는 독선과 아집에 사로잡혀 일을 그르치는 일이 없도록 유념할 필요가 있고, 식상 운에는 아낌없이 베풀고 희생하는 마음가짐과 적극적인 실천을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재성 운에는 큰 과욕보다 작은 실속에 더 비중을 두고, 관살 운에는 자기 관리와 순종의 미덕을 발휘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태강한 사주들은 일주나 월주와 상충-천충지충하는 운을 각별히 조심해야 하고,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라는 말을 염두에 두는 것도 필요하다.
위의 태강한 사주들 중에서 갑목과 을목 일간을 예로 들어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甲 甲 癸 壬 戊 乙 乙 癸
子 寅 卯 寅 寅 卯 卯 卯
庚 己 戊 丁 丙 乙 甲 壬 辛 庚 己 戊 丁 丙
戌 酉 申 未 午 巳 辰 戌 酉 申 未 午 巳 辰
① 화기나 수기, 금기 일간이 태강한 경우보다는 이처럼 목기 일간이 태강한 경우에 그 성정(性情)이-성질이 보다 더 '차분하고 안정적인' 특징이 있다(왜?).
② 봄철의 나무와 화초에 꽃이(병화-정화가) 없는 형상이니 대중적인 인기가 덜하고, 관살이 없는 무관 사주이니 자기절제나 권력욕이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③ 타고난 표현력, 발표력, 창조력, 끼, 꾀, 요령 등은 부족하지만 끼리끼리 모여서 하는 단체 활동 등은 좋아하는 편이다.
④ 한창 생장하는 제 철의 목기이므로 수기-인수의 효용성이 낮지는 않다고 할 수 있으나, 인수 운이나 관살 운보다는 ( ) 운이 효용성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⑤ 갑인 일주인 남자는 주로 병오, 정미 대운에, 을묘 일주인 여자는 병진, 정사 대운에 자신의 기운을 발산하여 인기를 끌 수 있도록 계획-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⑥ 을묘 일주는 대운의 영향으로 초년 때부터 예체능 쪽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데, 자아가 너무 강해서-고집이 세서 감독-코치 등의 지시에 순응하지 못할 소지가 있다.
⑦ 두 사주는 인생의 장기적인 큰 흐름이, 재주를 발휘하고 → 실속을 챙기고 → 이름을 얻는 순의 흐름이 되도록 대운 간지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왜?).
⑧ 갑인 일주는 병인시나 경오시 등일 때, 을묘 일주는 신사시나 병술시 등일 때 좀 더 인기 있는 사주가 될 수 있다.
⑨ 을묘 일주는 신유 대운이 길한 관운이 아닌 풍파(風波)와 관재(官災)가 심한 운이 되지 않도록 미리 충분히 대비해야 한다.
⑩ 갑인 일주 여자는 고분고분함이, 을묘 일주 남자는 우락부락함이 요구되는 분야는 피하는 것이 좋다(왜?). 만일 갑인 일주가 학과 선택 시에 식상 분야와 관살 분야를 두고 고민한다면, 대운의 영향에 의해, 남자는 식상 분야를, 여자는 관살 분야를 택할 소지가 많다.
(1) 위의 10개의 태강한 사주 예에 관한 분석 내용 중 타당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치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가. 병오 일주는 남자인 경우보다 여자인 경우에 20대 때의 취업에 더 길한 운이 되는 측면이 있다.
나. 무술 일주인 여자는 평소에 애교-이쁜 여우짓을 잘하는 편에 속하고, 남편복도 많은 편이라는 소리를 들을 때가 많다.
다. 기축 일주는 임신시, 계유시 등일 때 사주의 쓰임이-인기가-格이 좀 더 좋아진다고 할 수 있다.
라. 경신 일주는 남자인 경우보다 여자인 경우에 20대 때의 취업에 좀 더 길한 운이 되는 측면이 있다.
마. 임자 일주의 세 번째 대운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재물 욕구가 한층 강해지면서 덩달아 명예-직위 욕구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바. 일간끼리 합하는 사주들이 서로 짝을 이룬다면, 병오 일주와 신축 일주처럼, 각자의 넘치고 부족한 기운이 상보(相補)되는-활용되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
참고 검색어: 전왕격(專旺格)-일행득기(一行得氣)격, 곡직(曲直)격, 곡직인수격, 염상(炎上)격, 가색(稼穡)격, 종혁(從革)격, 윤하(潤下)격, 화토중탁(火土重濁)격, 수목응결(水木凝結)격, 괴강(魁罡)살, 양인(陽刃-羊刃)살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_4 사주의 강약, 격格 명칭 예와 운세의 활용, 사주의 높낮이 분석하기 (4) (0) | 2016.06.29 |
---|---|
20_3 사주의 강약, 격格 명칭 예와 운세의 활용, 사주의 높낮이 분석하기 (3) (0) | 2016.06.24 |
20_1 사주의 강약, 격格 명칭 예와 운세의 활용, 사주의 높낮이 분석하기 (1) (0) | 2016.06.16 |
19_7 간지의 합ㆍ충 관계와 기운의 왕ㆍ쇠 상태 이해 및 쓰임새 추론하기 (7) (0) | 2016.06.11 |
19_6 간지의 합ㆍ충 관계와 기운의 왕ㆍ쇠 상태 이해 및 쓰임새 추론하기 (6) (0) | 2016.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