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주와 격 명칭 예

 

丙 甲 癸 壬                辛 乙 丙 甲

寅 午 卯 寅                巳 卯 寅 子

 

壬 丙 庚 丙                辛 丁 乙 丁

辰 寅 寅 申                丑 酉 巳 未

 

庚 戊 戊 丙                乙 己 丁 丁

申 申 戌 辰                亥 酉 未 卯

 

甲 庚 丙 乙                戊 辛 丁 丙

申 午 戌 酉                子 丑 酉 寅

 

戊 壬 丙 戊                丁 癸 己 辛

申 子 辰 戌                巳 未 亥 亥

 

 

  위의 10개의 사주는 일간별로 적당히, 충분히 강한 구성인 경우의 사주 예들이다. 사주 일간이 강한 사주들은 자기 절기이거나 인수, 견겁의 기운이 강하면서 식상이나 재성, 관살의 기운도 강한 상태인 경우가 많다. 즉 강약의 조화나  조후의 조화 등을 이루는 구성들이 많다. 그래서 이러한 사주들은 (예외도 있지만) 현실적인 측면의 균형감이나 방향감, 경쟁력 등이 그만큼 상승되는 구성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적절하게 강한 사주는 (육친 구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줏대와 뚝심이 강하며 주관도 뚜렷한 편이다 목표와 지향점이 분명하고 감정의 완급 조절도 잘하는 편이다,  조직의 우두머리가 되려는 성향이 강하여 리더십에 비해 팔로십-followship을 등한시 하는 경향이 있다,  추진력이 있고 역경에도 잘 버틴다이해 타산적이고 실리적인 가치에 비중을 둔다  등의 평을 듣기 쉽다.

 

  위의 사주 예들 중에서  갑오 일주는 연구해서 가르치는 분야나 사회복지 업무 등이 적성에 잘 맞고,   을묘 일주는 예능-방송연예 분야 등에 소질이 있으며,   병인 일주는 기업체의 선 굵은 임원형에,   정유 일주는 실속 위주의 상공인형에 어울린다고 할 수 있다그리고 무신 일주는 광산기술이나 측량기사 업무 등을,   기유 일주는 교육상담이나 기술강사 등의 업무를,   경오 일주와 신축 일주는 정당인이나 관료형 군인경찰 등을 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임자 일주와 계미 일주는 어학계열이나 신문기자, 아나운서, 엔지니어 분야 등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위의 강한 사주들 중에서  병화와 정화 일간을 예로 들어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壬 丙 庚 丙              辛 丁 乙 丁

辰 寅 寅 申              丑 酉 巳 未

丁 丙 乙 甲 癸 壬 辛        戊 己 庚 辛 壬 癸 甲

酉 申 未 午 巳 辰 卯        戌 亥 子 丑 寅 卯 辰

               

 

 두 사주는 자신의 불이 언제 꺼질지 몰라 노심초사하는 경우와는 거리가 있다. 즉 자신들의 본성인 '빛'으로서의 존재감에 일단 여유와 자신감이 있다.

 ② 자기 주도적인 성향이 강하면서 재성의 기운도 만만치 않으므로 치재(治財)와 경영관리 등에 강점이 있다.

 ③ 정유 일주는 월간이 인수이면서 재성이 중심적인 위치에 있지 않으므로 이익-이윤만을 우선하는 사업보다는 착한기업-사회적기업 등에도 관심이 많은 편이다.

 ④ 병인 일주는 아직 쌀쌀한 절기에 따뜻한 기운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형상이므로(?),  정유 일주보다는 그 효용성이 더 높고,  인기를 끄는 면도 더 있다고 할 수 있다.

 ⑤ 직장-조직내에서의 직위-승진 잠재력은 (    )의 영향력이 있는 병인 일주가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⑥ 정유 일주는 의 성향이 주도하면서 관살이 없으므로 남성적 권위욕을 요하는 경영관리 업무보다는 섬세한 금융회계 업무에,  기업조직보다는 개인사업에 더 적합한 측면이 있다.

 ⑦ 두 사주 중에서 장거리 출장이 잦은 해외의 영업-시장개척 업무에는 의 성향이 주도하면서 일지와 월지가 역마살에 해당하는 병인 일주가 더 경쟁력이 있다.

 ⑧ 정유 일주 남자는 취업해서 일하다가  신축, 경자 대운에 독립해서 사업에 도전하는 운이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여자도 중년에 사업 운이 따른다고 할 수 있다(?).

 ⑨ 병인 일주는 남여 공히 대운 천간의 사업 운이 잘 안 따르는 편이고중년의 사회적인 성공 경쟁력이 높은 편이 아니므로 길한 년운을 골라 반짝 승부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⑩ 병인 일주 남자의 인생의 큰 흐름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시기이자 길운이 될 소지가 많은 대운은 (    ) 대운이라고 할 수 있다(?).  

 

 

(2) 위의 10개의 강한 사주 예에 관한 분석 내용 중 타당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치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 을묘 일주는 공부나 업무를 벼락치기로 하는 경향이 있고, 즉흥적인 머리 회전이 빠른 편이다. 그리고 초년, 중년의 대운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좋다고 할 수 있다.

  . 병인 일주는 남자보다 여자가 학창시절과 취업 시기에 더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운이다.

  . 정유 일주 남자는 살아가면서 아내-마누라 덕을 볼 소지가 많다.

  . 신축 일주는 여자가 남자보다 학창시절과 취업 시기에 더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운이다.

 . 경오 일주신축 일주임자 일주계미 일주는  공명심-명예-권력욕구 등이 꽤 강한 편이므로  순수기부-자원봉사-사회복지 등에는 관심이 그만큼 소홀한 경향이 있다.

  . 임자 일주와  을묘 일주가 만나면-팀을 만들면임자 일주는 답답한 속이-머리가 풀리는 듯한 느낌을 을묘 일주는 자신의 작은-짧은 생각이 커지는-깊어지는 듯한 느낌을 받는 경우가 많다.

   

 

(3) 수많은 자연형상 중에서도 인기 있는 꽃에 비유되는 형상의 사주들이 있다. 그 중에서도 눈 속에 피는 매화꽃-설중매에 가까운 형상의 사주는 어떠한 구성일지그 사주 간지 여덟 자를 만들어보자그리고 그 사주 간지의 강약점을 분석하고대운 간지의 영향에 의한 그 형상의 변화-흐름을  연상-설명해보자.  

 

 

    

  

  참고 검색어목화통명(木火通明),  식신유기승재관(食神有氣勝財官),  설정영(泄精英),  신왕관왕(身旺官旺),  재자약살(財滋弱殺),  신왕재왕(身旺財旺),  시상편재 or 시상편관 일위귀(時上偏財 or 時上偏官 一位貴),  관살혼잡(官殺混雜),  양인가살(陽刃駕殺-羊刃架殺),  12신살(神殺),  도화(桃花)역마(驛馬)공망(空亡)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