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지지

 

 

지지를 읽고 쓰면서 독립개체적인

자연 상징물을 연상해본다. 나아가 그

상징 기운이 냉한지 더운지, 건조한지

습한지 알아보고, 쓰임새(용도)를

추론해본다.

 

 

   토끼띠 돼지띠 등 우리가 흔히 쓰는 ‘띠’라는 용어는 태어난 해(年)의 간지 중 지지(地支)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 종류는 지지와 마찬가지로 열두 가지이다.

   이처럼 띠에 해당하는 지지도 사주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사주명리에서는 띠를 동물에 비유한, 예를 들어 돼지띠는 밥을 많이 먹는다는 식의 고정적인 해석에는 의미를 두지 않는다. 사주 네 기둥의 간지는 동물이 아니라 木·火·土·金·水의 오행 관점에서 성립되고 해석되기 때문이다.

  

   1년이 12개월, 시간이 12시간 단위로 되어 있는 것도 지지와 연관이 있다. 그래서 지지를 12支라고도 한다. 지지는  子(자),   丑(축),   寅(인),   卯(묘),   辰(진),   巳(사),   午(오),   未(미),   申(신),   酉(유),   戌(술),   亥(해) 이다.

 

   지지는 천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형상과 성향을 추론할 뿐만 아니라, 냉온(冷溫) 건습(乾濕) 여부 및 그 정도를 가늠하는데 더 큰 비중을 두게 된다. 이를테면 다음의 예문과 같다.

 

 

   “오늘 하루도,  얼음장 밑 냉수(子)처럼 차가운 이성으로,  인동초와 벗하는 얼어붙은 흙(丑)처럼 야무진 의지로,  쭉 뻗은 키 큰 소나무(寅)처럼 경쾌한 몸놀림으로,  어디든 뿌리내리는 들풀(卯)처럼 질긴 생명력으로,  봄비에 젖은 흙(辰)처럼 먼지 없는 감성으로,  오월 어느 구름 낀 날 나왔다 들어갔다 도무지 종잡을 수 없는 햇빛(巳)처럼 밉지 않는 변덕으로,  장미의 계절 대낮의 열기(午)처럼 불타는 열정으로,  장마철 거친 물살을 막아주는 단단한 흙(未)처럼 믿음직한 버팀으로,  수십 층 건물을 떠받치는 대들보인 철골구조물(申)처럼 탄탄한 근성으로,  우주선의 부품(酉)처럼 치밀한 논리로,  갈무리하기 좋은 마르고 온기 있는 흙(戌)처럼 적절한 포용력으로,  만물을 살찌우는 자양분 물(亥)처럼 조직의 윤활유로,  혼신을 다해 운명개척 합시다.”

 

 

   냉기-열기,  마른 흙-젖은 흙 등  각각 ·온건·습한 성질을 갖고 있는 자기의 본래 자연 상징물이 주변의 다른 간지의 영향을 받으면 질적으로 정반대 상태로도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립개체적(體)으로 찬물인 子가 구성변화적(用)으로는 뜨거운 수증기가 되기도 하고,  온기 있는 땅인 戌이 구성변화적으로는 냉랭한 땅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사주 구성)에 체(體)와 용(用)이 달라지는 지를 알아야 하는데, 이 부분은 차차 학습하도록 하고, 여기서는 ‘도(道)는 體와 用이니 한 가지로 집착하지 말라’는 말을 새기도록 하자.

 

 

▣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 12개의 띠, 12개월, 12시간 단위에서 12라는 숫자는 천간에서 비롯된 것이다.

 - 냉·온과 건·습 여부는 지지에만 적용될 뿐 천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지지의 자연 상징물, 냉·온과 건·습 여부, 성향 등은 고정적이다.

 

 

▣ 다음 지지의 독립개체적인 자연 상징물 형상과 여부를 생각해보자.

 丑/      辰/      未/      戌/      寅/      卯/      申/      酉/      巳/      午/      亥/      子

 

 

  참고: 12개의 띠-12支神만을 기준으로 해서 단편적으로 보는 것들에는 도화살, 역마살, 삼재살 그리고 신문잡지의 오늘의 운세 등이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사주의 전체적이고 종합적인 구성변화적 분석을 한 후에 경우에 따라 참고하기도 한다. 기타 수많은 단편적인 신살(神殺),  **귀인貴人,  **성星 등으로 불리는 것들도 마찬가지이다. 흔히 神, 귀인 등은 길함을,  殺은 흉함을 통칭하지만 사주 구성에 따라 殺이 길함으로,  神이 흉함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자에서 사까지 읽고 쓰기

子[자] [    ]          丑[축] [    ]

寅[인] [    ]          卯[묘] [    ]

辰[진] [    ]          巳[사] [    ]

 

  子는 독립개체적으로 한겨울 냉하고 습한 물의 형상이다. 따라서 나무를 키우는 데는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지만 긴 밤 목마른 사람들의 갈증을 해소해주는 청량음료, 각종 주류 등의 용도로는 적합하다고 추론할 수 있다.

 

  丑은 늦은 겨울 얼어붙은 냉하고 습한 땅 즉 물이 얇게 깔린 음지의 형상으로, 씨를 뿌리고 작물을 재배하기보다는 스키장, 스케이트장, 미꾸라지 양식장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寅은 이른 봄 아직 물이 오르지 않은 굳건하고 건조한 나무의 형상으로, 불에 잘 타고 냉기와 습기를 잘 흡수하므로 성냥 등의 인화 물질이나 물 먹는 흡수지 또는 숯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卯는 봄철 완연히 물이 올라 다소 냉하고 습해진 초목의 형상으로 어디든 뿌리를 잘 내리고 탄력이 있다. 따라서 영업, 서비스업, 창업도우미, 약초 재배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辰은 늦은 봄(환절기) 몇 겹으로 쌓인 낙엽 밑의 차갑고 축축한 땅의 형상이다. 작물이 자라기 좋은 토질이므로 분갈이용 흙, 묘목판, 인삼밭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巳는 건조하고 따뜻한 불의 형상으로, 5월 아침저녁의 냉기와 대낮의 더운 날씨처럼 긴 팔 짧은 팔을 번갈아 입게 하므로 분장사, 패션코디, 냉온풍기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 독립개체적으로 볼 때 다음의 이미지에 가장 가까운 지지를 써보자.

 ㄱ. 냉하지만 때를 기다리는 사람(인동초)을 감싸고 벗하는 이미지   [    ]

 ㄴ. 기온 차이가 심한 날씨처럼 옆사람을 햇갈리게 만드는 이미지   [    ]

 ㄷ. 음침한 분위기를 경쾌하고 새로운 분위기로 잘 바꾸는 이미지   [    ]

 ㄹ. 한껏 달아오른 분위기를 순식간에 차갑게 바꿔버리는 이미지   [    ]

 ㅁ. 물이 올라 휘는 맛(애교)이 있고 잘 적응하는 이미지   [    ]

 ㅂ. 봄비로 촉촉해진 들판처럼 만물을 포용하는 넉넉한 이미지   [    ]

 

 

  해설: 지지도 천간의 경우처럼 자연 상징물에서 느껴지는 성향과 냉-온건-습 상태에 따른 다양한 쓰임새를 추론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사주에서 더 필요로 하는 지지가 무엇이냐에 따라 진로분야 설정 등에 활용될 수 있다.

  ㄱ. 丑      ㄴ. 巳      ㄷ. 寅      ㄹ. 子      ㅁ. 卯      ㅂ. 辰

 

 

 

 

 

기에서 계까지 읽고 쓰기

己[기] [    ]          庚[경] [    ]

辛[신] [    ]          壬[임] [    ]

癸[계] [    ]

 

  己는 작지만 잘 정리된 논과 밭, 즉 전답의 형상이다. 때문에 선택된 사람들이 더 잘 성장할 수 있는 터전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조건이나 입맛에 맞는 사람만을 포용하는 등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庚은 크고 가공되지 않은 무쇠의 형상이다. 때문에 과감하고 냉철하며, 철골구조물이나 중장비처럼 산업현장과 조직의 근간(뼈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포근한 구석이 없고 공격적이며 지나치게 원칙만 추구한다.

 

  辛은 작고 가공된 금속의 형상이다. 때문에 주도면밀하고 치밀하며, 핵심 부품처럼 긴요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면도날처럼 날카롭고 타산적이며, 티나게 깔끔하고 잘난 체하는 단점이 있다.

 

  壬은 깊고 넓은 물의 형상이다. 때문에 흐르는 강물처럼 유동적이고 호수나 바다처럼 탁 트였으며 시원시원하다는 느낌을 준다. 그러나 깊은 물처럼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고 장마비처럼 우울하며, 화가 나면 불어나는 큰물처럼 앞뒤를 안 가린다는 단점이 있다.

 

  癸는 얕고 좁은 물의 형상이다. 때문에 식수와 같은 생명수의 역할을 하고 약수처럼 갈증(갈등)을 해소해주며, 가뭄에 내리는 한줄기 단비처럼 조직의 윤활유가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가을 가랑비처럼 싸늘하고 혼탁해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 독립개체적으로 볼 때 다음의 이미지에 가장 가까운 천간을 써보자.

 ㄱ. 전부가 아니라 조건에 맞는 일부만 키워내려는 창업 인큐베이터   [     ]

 ㄴ. 원형, 원판, 원칙, 의미, 취지, 기초 등을 중시하는 냉철한 이미지   [     ]

 ㄷ. 주변의 더 큰 동일 성분에 흡수되어 주체성을 잃기 쉬운 이미지   [     ]

 ㄹ. 반도체 부품, 절삭 공구, 금형, 다이아몬드, 칼, 결벽증 이미지   [     ]

 ㅁ. 방해자 없는 곳으로 거침없이 흘러가야만 만족할 듯한 이미지   [     ]

 

 

 해설: 뼈를 깎는 각오로 혁신해야 한다고 할 때, 같은 조건이라면 혁신의 칼자루를 쥐는 사람은 庚이 더 적합할 것이다. 사주 구성에 따라 변화의 차이가 있지만 고유의 성향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ㄱ. 己         ㄴ. 庚         ㄷ. 癸         ㄹ. 辛         ㅁ. 壬

 

 

  

   【 연 습 문 제 】

 

 

01 다음 천간을 차례대로 읽어보자.

辛        戊        癸        己        乙

        庚        甲        壬        丙

 

 

02 천갑 甲에서 癸까지 순서대로 써보자.

[甲]     [    ]     [    ]     [    ]     [戊]

[    ]     [    ]     [    ]     [    ]     [癸]

 

 

03 거꾸로 천간 癸에서 甲까지 순서대로 써보자.

[癸]     [    ]      [    ]     [    ]     [己]

[    ]     [    ]     [    ]      [    ]     [甲]

 

 

04 특정 형상(ㄱ. ~ ㅇ.)에 어울리는 대안 제시(a. ~ h.)를 찾아 빈 칸에 써보자.

 

ㄱ. 꺼지는 모닥불 형상 (  d  )     ㄴ. 무성한 잡목 형상 (    )     ㄷ. 신라시대 금관 형상 (    )     ㄹ. 바싹 마른 논밭 형상 (    )     ㅁ. 장마철 홍수 형상 (    )     ㅂ. 얼어붙은 음지 형상 (    )     ㅅ. 고갈된 식수 형상 (    )     ㅇ. 기름에 불붙은 형상 (    )  

 

a. 평소에 톱, 칼(庚-辛)로 적절히 손질     b. 습기(壬-癸)와 화기(丙-丁)에 주의     c. 평소에 제방(戊-己), 배수관리 잘하기     d. 평소에 땔감(甲-乙)을 충분히 준비     e. 평소 관개용수(壬-癸) 개발에 노력     f. 젖은 모래나 흙(戊-己)을 끼얹는다.     g. 따뜻한 햇살(丙-丁)을 가까이 한다.     h. 광산(庚-辛) 암반에 고인 물 활용    

 

 

  해설: 알고자 하는 사람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사실을 확인하고, 확인된 모습을 어떻게 가꿀 것인지 대안을 찾는 문제이다.  ㄱ. 땔감(甲乙)     ㄴ. 칼(庚辛)     ㄷ. 습기(壬癸)와 화기(丙丁)     ㄹ. 관개용수(壬癸)     ㅁ. 제방(戊己)     ㅂ. 햇살(丙丁)     ㅅ. 광산(庚辛)     ㅇ. 흙(戊己)

 

 

05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독립개체적으로 乙보다는 甲이 더 유연하고, 붙임성이 있다고 본다.

 ㄴ. 독립개체적으로 丙보다는 丁이 더 은근하고 다소곳한 성향에 가깝다.

 ㄷ. 구성변화적으로는 己가 戊보다 더 포용력이 있고 원만한 경우도 많다.

 ㄹ. 독립개체적으로 辛이 庚보다 깔끔하고 예쁘게 꾸미는 형상이다.

 ㅁ. 구성변화적으로 癸가 壬보다 수량이 더 많고 유동적인 경우는 없다.

 ㅂ. '더 필요로 하는' 천간이 튼튼한 형상이면 목표가 크고 분명한 성향이다.

 

 

  해설: ㄱ.甲보다는 乙이      ㅁ.있다     

ㅂ.에서 '더 필요로 하는' 천간은 길신(吉神)-용신(用神) 등과 관련이 있다.  길신은  '사주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기운' 이라는 의미이다.  여기서는 길신 또는 용신이 천간이고 질적으로 튼튼한 형상이면 그렇지 못한 경우보다 목표나 이상이 크고 분명한 경우가 많다 정도로만 이해하면 된다.  사주명리에서 언급되는 神은 기운(氣)을 뜻한다. 

 

 

06 독립개체적으로 丙은 불의 자존심이고, 壬은 물의 자존심이다. 물은 불을 꺼뜨리고, 불은 물을 끓인다. 남녀가 각각 丙壬인 경우의 성격 차이를 생각해보자.

 

 

07 다음 이미지에서 보이거나 연상될 수 있는 천간을 모두 말해보자. 그리고 그 천간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보자. 

        

 

 

  해설: 이미지에서 보는 것처럼 어느 것 하나 가치 없는 것이 없다. 하나하나가 모두 가치가 있고 소중하다. 그리고 서로가 상호작용을 하며 그 가치를 더해간다. 사주도 그렇다. 어느 사주 하나 가치 없는 것은 없다.

 

 

 

 

 

1. 천간

 

 

천간을 읽고 쓸 수 있도록 연습하고,

자연에서의 천간 상징물을 연상해보며,

그 상징물에서 느껴지는 기운을

인간 성향과 연계하여 추론해 본다.

 

 

   임진왜란기미년 31일 만세운동 등은 역사적인 사건이다. 여기서 임진기미는 그 사건이 일어난 해를 나타내는데앞의 임과 기를 천간(天干),  뒤의 진과 미를 지지(地支)라고 부른다.

  

   천간이 하늘(이상-머리-상층부-목표 등)을 상징한다면지지는 땅(현실--하층부-노력 등)을 상징한다천간은 모두 10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10이라고 한다수학에 10개의 숫자가 있는 것과 같다.  10개의 천간은  (),   (),   (),   (),   (),   己(),   (),   (),   (),   () 이다.

 

   사주명리에서는 사람은 누구나 생일에 따라 이 10개의 천간 중 하나에 해당된다고 보며해당되는 천간의 질적인 상태를 살핌으로써  해당 사주의 강점과 약점잠재력과 경쟁력쓰임새와 진퇴시기 등을 추론하게 된다그보다 먼저, 다양하게 변화하는 천간의 질적인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천간의 양적이고 독립개체적인 자연 상징물을 연상(비유)하게 되는데, 이를테면 다음의 두 예문과 같다.

 

 

  그녀는 재를 토닥이면서  아궁이(--) 속으로  잔솔가지(--)를 밀어 넣었다문틈으로 밝아오는 동녘처럼  불길(火--)이 오르자반들반들한 가마솥(金--)이 들썩이며  뜨거운 김(水--)이 사방으로 퍼져 나왔다.

 

 

  야트막한 언덕()을 지나고  긴 강()줄기를 따라 걷다가  해()가 뉘엿뉘엿할 때쯤그는 정자나무()가 서있는 마을로 들어섰다멀리 철탑() 공사장으로 아이들이 뛰어가고 있었다그는 우물()에서 목을 축이고찬거리()를 다듬고 있는 아낙들과 얘기를 나누다이내 김씨네 밭()으로 향했다해가 지자 기다렸다는 듯  둥근 달()이 얼굴을 내밀었다김씨네는 가위()로 봉곳한 장미를 한 아름 잘라내고 있었다.

 

 

   천간의 독립개체적인(고유한 또는 잠재적인) 상징물 형상과  주변의 다른 천간이나 지지의 영향을 받는 구성변화적인(실제적인 또는 가시적인) 상징물 형상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즉 상징물의 형상이 한 가지로만 고정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예를 들어 은 해은 달을 상징하므로 독립개체적으로는  보다 밝고 강렬한 불(火氣)로 상징되지만구성변화적으로는 얼마든지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이는 천간의 독립개체적인 형상을 근거로 한 성향(속성격) 추론이  구성변화적인 형상을 근거로 한 성향 추론과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지지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독립적인 성질을 모르면 변화적인 성질 역시 이해하기 어렵다.  여기서 독립개체적이라는 생소하고 긴 용어를 굳이 사용하는 이유이다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 천간이 하늘-현실-노력을 상징한다면  지지는 땅-이상-목표를 상징한다.

- 독립개체적인 형상과 구성변화적인 형상은 보편적으로 차이가 없다.

- 독립개체적인 성향 추론은 구성변화적인 성향 추론의 앞 단계이다.

 

 

독립개체적으로 생각할 때 다음의 자연 상징물로 연상될 수 있는 천간을 말해보자.

  무쇠 솥/     땔나무(장작)/     수증기()/     타오르는 불꽃/     아궁이(화덕)

 

 

  참고:  천간이나 지지를 자연물에 비유(상징)하는 것은 자연 이치와 연계하여 사주 논리를 전개하려는 의도 때문이다. 이러한 상징체계는 곧 학습하게 될 오행과 음양의 개념에 근거한다.

 

 

갑에서 무까지 읽고 쓰기

[] [    ]          [] [    ]

[] [    ]          [] [    ]

[] [    ]

  

   甲은 독립개체적으로 덩치가 크고 단단한 나무의 형상이다. 때문에 대들보처럼 강직하고 근엄하며 외부 자극에도 강하지만, 자기과시욕이 지나치고 융통성이 없어 독불장군이 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乙은 작고 부드러운 나무의 형상이다. 때문에 수양버들처럼 유연하고 분재처럼 단아하며 잡초처럼 생명력이 있지만, 외부 자극과 강제 요소에 약하며 어느 곳에나 잘 나서고 잘 끼어들어 간섭하는 단점이 있다.

 

   丙은 크고 강렬한 불의 형상이다. 때문에 주변의 음침함과 냉랭함을 말끔히 가시게 하고 정열적이며 숨김이 없지만 접근을 어렵게 만들고 직설적이며 말이 앞서는 조급한 성향은 단점이라 하겠다.

 

   丁은 작고 은근한 불의 형상이다. 때문에 온기와 정감을 느끼게 하고, 화롯불이나 간접조명처럼 은근히 접근해 오며 지속성이 있다. 그러나 성격이 우유부단하니 단호하지 못하고 뒤로 잘 물러나는 단점이 있다.

 

   戊는 넓고 개간되지 않은 흙의 형상이다. 때문에 야생의 동식물이나 무법자도 모두 받아들여 삶의 터전이 되어주는 넉넉함과 그들에 의해 개척되기를 바라는 느긋함이 있다. 그러나 직접 전략을 세우고 도전하는 데는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독립개체적으로 볼 때 다음의 이미지에 가장 가까운 천간을 써보자.

 ㄱ. 세력에 의해 빛을 보지 못하면 휘감고라도 성장하려는 칡넝쿨   [     ]

 ㄴ. 누구든 내치지 않고 차별 없이 받아들여 살게 하는 고향 뒷동산   [     ]

 ㄷ. 상대를 꿰뚫고 직설적으로 표현하며 음침함을 없애주는 빛줄기   [     ]

 ㄹ. 열 번 찍어도 안 넘어갈 것 같은 수염 가득한 옹고집 영감님   [     ]

 ㅁ. 확 커지거나 금방 사위지 않고 서서히 차고 조금씩 기우는 달빛   [     ]

 

 

  해설: 자연 상징물을 보고 천간의 성향(장점 또는 단점)을 추론할 때 그것이 주관적이고 포괄적일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는 자연 상징물에서 느껴지는 이미지를 통해 그렇게 추론해 볼 수도 있구나 하는 정도로만 이해하면 된다. 간지의 독립개체적인 성향은 다양한 변화요소에 의해 정반대로 변화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ㄱ. 乙         . 戊         . 丙         . 甲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