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이 부족한 관계
火多水熱 [화다수열]
金多火衰 [금다화쇠]
木多金缺 [목다금결]
土多木折 [토다목절]
水多土流 [수다토류]
熱:끓음/ 衰:쇠약함/ 缺:깨짐/ 折:부러짐/ 流:쓸림
熱(열) : 임오ㆍ계사 결합의 임수와 계수는 주변에 병오ㆍ정사 같은 火氣가 강한 간지나 목생화를 잘하는 인목 등이 많고 냉습성 土氣나 불 근거지를 분산시키는 신ㆍ유금 등 지지 金氣가 없으면, 불을 끄기는커녕 오히려 끓어서 증발될 소지가 있다.
衰(쇠) : 병신ㆍ정유 결합의 병화와 정화 그리고 신사 결합의 사화는 주변에 경신ㆍ신유 같은 金氣가 강한 간지가 많고 화력 좋은 연료가(木ㆍ火氣) 충분하지 못하면, 화력이 약해 쇠를 끝까지 녹이지 못하고 중도에 꺼져버릴 소지가 있다.
缺(결) : 경인ㆍ신묘 결합의 경금과 신금은 주변에 갑인ㆍ을묘 같은 木氣가 강한 간지가 많고 木氣를 분산시키는 土氣나 金氣가 없으면, 큰 나무는 많은데 도끼와 낫은 한 자루 뿐이라 이가 빠지고 결함이 생겨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소지가 있다.
折(절) : 을축ㆍ을미ㆍ갑술 결합의 을목과 갑목은 주변에 기축ㆍ기미ㆍ무술 같은 얼어 있거나 메마른 土氣성 간지가 많고 임수ㆍ계수ㆍ해수ㆍ자수 등 수분성 간지가 부족하면, 뿌리와 줄기가 약해 쉽게 부러질 수 있다.
流(류) : 무자ㆍ기해 결합의 무토와 기토 그리고 계축ㆍ임진 결합의 축토와 진토는 주변에 임자ㆍ계해 같은 水氣성 간지나 水氣를 보강해주는 金氣성 간지가 많이 있고, 지반을 강화시키는 火氣나 보토(補土)가 없으면 휩쓸려갈 소지가 있다.
1) 제시된 내용에 적합하게 단어를 완성해보자.
ㄱ. 수극화이지만 불이 너무 강하면 물이 끓어버린다. [ ]다[ ]열
ㄴ. 화극금이지만 금이 너무 강하면 녹이지 못한다. [ ]다[ ]쇠
ㄷ. 금극목이지만 나무가 너무 강하면 칼날이 손상된다. [ ]다[ ]결
ㄹ. 목극토이지만 땅이 너무 굳으면 뿌리내리지 못한다. [ ]다[ ]절
ㅁ. 토극수이지만 물살이 너무 세면 제방이 유실된다. [ ]다[ ]류
2) 다음은 극이 너무 약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현상들이다. 그 이유를 말해보자.
ㄱ. 임오보다 정해가 수열될 소지가 적다.
ㄴ. 경오보다 신사가 화쇠될 소지가 많다.
ㄷ. 신묘보다 을유가 금결될 소지가 적다.
ㄹ. 갑진보다 갑술이 목절될 소지가 많다.
ㅁ. 계축보다 계미가 토류될 소지가 적다.
해설: ㄱ. 지지 水氣에 의해 천간 火氣가 더 무력해진 상태이므로 ㄴ. 오화보다는 사화가 주변의 왕성한 金氣에 의해 火氣를 잃기 쉽다. ㄷ. 金氣가 지지에 있으면 천간의 木氣가 뿌리내리기 힘들어 더 손상된다. ㄹ. 술토보다는 진토가 수분을 더 많이 함유 ㅁ. 축토보다는 미토가 더 단단하고 굳은 흙이다.
생이 부족한 관계
木多水縮 [목다수축]
火多木焚 [화다목분]
土多火盡 [토다화진]
金多土薄 [금다토박]
水多金沈 [수다금침]
縮:줄어듬/ 焚:타버림/ 盡:다됨/ 薄:척박함/ 沈:잠김
縮(축) : 갑자ㆍ을해 결합의 자수와 해수 그리고 임인ㆍ계묘 결합의 임수와 계수는 주변에 갑인ㆍ을묘 같은 수분 흡수성이 강한 木氣 간지가 많이 있고 水氣를 보충하는 金氣나 들어오는 물이 없으면, 점점 줄어들어 완전히 흡수될 소지가 있다.
焚(분) : 갑오ㆍ을사 결합의 갑목과 을목 그리고 병인ㆍ정묘 결합의 인목과 묘목은 주변에 병오ㆍ정사 같은 火氣가 강한 간지가 많이 있고 火氣를 분산할 습기성 간지가 없으면, 木氣를 유지하지 못하고 홀라당 타버릴 소지가 있다.
盡(진) : 정축ㆍ병진ㆍ병술ㆍ정미 결합의 정화와 병화 그리고 기사ㆍ무오 결합의 사화와 오화는 주변에 냉습성 土氣만 많이 있고 土氣를 견제할 木氣가 없으면, 기진맥진하여 다된 건전지처럼 될 소지가 있다.
薄(박) : 신미ㆍ경진ㆍ신축ㆍ경술 결합의 미토ㆍ진토ㆍ축토ㆍ술토 그리고 무신ㆍ기유 결합의 무토와 기토는 주변에 경신ㆍ신유 같은 金氣가 강한 간지가 많고 土氣의 보충(보토)이 없으면, 비옥하지 못하고 척박해질 소지가 있다.
沈(침) : 임신ㆍ계유 결합의 신금과 유금 그리고 경자ㆍ신해 결합의 경금과 신금은 주변에 임자ㆍ계해 같은 水氣성 간지가 많고 물을 막아줄 건조성 土氣나 빼줄 木氣 간지가 없으면, 수면 아래로 잠겨버릴 소지가 있다.
1) 제시된 내용에 적합하게 단어를 완성해보자.
ㄱ. 수생목이지만 나무가 너무 많으면 물이 말라버린다. [ ]다[ ]축
ㄴ. 목생화이지만 불이 너무 강하면 나무가 타버린다. [ ]다[ ]분
ㄷ. 화생토이지만 흙이 많고 젖어 있으면 불이 꺼진다. [ ]다[ ]진
ㄹ. 토생금이지만 쇠와 돌이 너무 많으면 땅이 박해진다. [ ]다[ ]박
ㅁ. 금생수이지만 물이 너무 많으면 잠겨서 녹슬게 된다. [ ]다[ ]침
2) (예)처럼 주어진 형상이 발생할 소지가 많은 간지 결합을 두 개씩만 써보자.
(예) 목다수축 : [임인] [계묘]
ㄱ. 화다목분 : [ ] [ ]
ㄴ. 토다화진 : [ ] [ ]
ㄷ. 금다토박 : [ ] [ ]
ㄹ. 수다금침 : [ ] [ ]
해설: 생을 하는 오행의 기운이 부족한 경우는 생을 받는 오행의 기운이 지나치게 강한 경우이기도 하다. 이를테면 어머니의 기운은 미약한데 “밥 주세요”하는 아이들은 많은 형국이다.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8_1 육친 관계와 육친별 특징, 성향 추론하기 (1) (0) | 2015.08.08 |
---|---|
7_3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와 필요한 간지 이해하기 (3) (0) | 2015.08.01 |
7_1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와 필요한 간지 이해하기 (1) (0) | 2015.07.24 |
6_2 상생상극 관계와 간지 힘의 득실 이해하기 (2) (0) | 2015.07.19 |
6_1 상생상극 관계와 간지 힘의 득실 이해하기 (1) (0) | 201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