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의 상극관계
水剋火[수극화] 火剋金[화극금]
金剋木[금극목]
木剋土[목극토] 土剋水[토극수]
水剋火 결합에는 병자-정해-임오-계사가 있다. 火剋金 결합에는 경오-신사-병신-정유가 있다. 金剋木 결합에는 갑신-을유-경인-신묘가 있다. 木剋土 결합에는 을축-을미-갑진-갑술-무인-기묘가 있다. 土剋水 결합에는 계미-계축-임술-임진-무자-기해가 있다.
독립개체적으로 볼 때 상극관계에 있는 간지는 상생관계와 달리 극하는 쪽도 힘을 잃게 되고, 극을 당하는 쪽도 힘을 잃게 된다. 그 중에서도 지지의 극을 받는 천간이 천간의 극을 받는 지지보다 힘을 더 잃게 된다고 본다. 지지를 천간을 지탱해주는 뿌리로 보아 가중치를 더 두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병자나 임오의 결합에서 자수와 임수는 불을 끄느라, 병화와 오화는 꺼지느라 에너지를 잃게 되지만 그 잃는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병자의 병화는 바닥 자체가 물이라 쉽게 꺼지지만, 임오의 오화는 바닥 자체가 불이라 잘 퍼지므로 더디게 꺼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간지 힘의 득실 여부는 ‘월 지지’(月支)의 영향과 합(合), 근(根) 등을 학습하게 되면 좀 더 명료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1) 오행의 상극관계를 완성해보자.
水剋[ ] 火剋[ ] 金剋[ ]
木剋[ ] 土剋[ ]
2) 앞의 오행을 극하는 오행을 차례대로 써보자.
[水]◀[ ]◀[木]◀[ ]◀[火]◀[ ]
[火]◀[ ]◀[ ]◀[ ]◀[ ]◀[ ]
3) 다음 간지 결합은 어떤 상극관계인지 쓰고, 힘의 득실 정도를 비교해보자.
甲戌 |
甲申 |
丁酉 |
丁亥 |
戊子 |
戊寅 |
木剋土 |
|
|
|
|
|
辛卯 |
辛巳 |
壬午 |
壬辰 |
乙未 |
癸未 |
|
|
|
|
|
|
해설: (독립개체적으로) 갑술의 갑처럼 자신이 극을 하는 입장이면 자신의 상황에 따라 힘을 조절할 수가 있지만, 갑신의 갑처럼 극을 당하는 입장이면 자신의 상황과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억제 당할 수도 있다. 때문에 스트레스 받는 측면에서 보면 갑신의 갑이 갑술의 갑보다 더 받는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임기응변하는 측면에서 보면 갑술의 갑이 갑신의 갑보다 더 잘한다는 추론이 가능하고, 같은 조건에서 조직의 서열에 순응하는 측면을 보면 갑신의 갑이 갑술의 갑보다 더 잘한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 연 습 문 제 】
01 ▷ 는 생을, ▶ 는 극을 표시한다. 빈칸을 완성해보자.
[水]▷[ ]▷[ ]▷[ ]▷[金]▷[ ]
[火]▶[ ]▶[ ]▶[ ]▶[水]▶[ ]
02 ◁ 는 생을, ◀ 는 극을 표시한다. 빈칸을 완성해보자.
[水]◁[ ]◀[ ]◁[ ]◀[ ]◁[ ]
[火]◀[ ]◀[ ]◁[ ]◁[ ]◀[ ]
[土]◀[ ]◁[ ]◀[ ]◀[ ]◁[ ]
03 다음의 (예)처럼, 어떤 천간이나 지지가 힘을 더 얻고 잃게 되는지 설명해보자.
(예) 甲辰 : (목극토)이므로 갑목은 극하느라 진토는 극을 당하느라 서로 힘을 잃지만, 진토는 독립개체적으로 뿌리내리기 좋은 습토이므로 (갑목)이 더 힘을 얻게 된다.
(예) 癸卯 : (수생목)이므로 계수는 묘목에 흡수되어 결국 (묘목)이 힘을 더 얻게 된다.
(예) 戊子 : (토극수)이므로 무토가 자수를 극하지만, 독립개체적으로는 땅 밑의 물에 의해 흙이 쓸려가는 형상이므로 둘 다 힘을 잃는다고 본다.
ㄱ. 丙寅 : ( )이므로 ( )가 힘을 더 얻게 된다.
ㄴ. 己酉 : ( )이므로 ( )이 힘을 더 얻게 된다.
ㄷ. 辛巳 : ( )이므로 ( )이 힘을 더 잃게 된다.
ㄹ. 乙酉 : ( )이므로 ( )이 힘을 더 잃게 된다.
해설: ㄱ. 목생화, 병화 ㄴ. 토생금, 유금 ㄷ. 화극금, 신금 ㄹ. 금극목, 을목
04 제시된 네 개의 간지결합 중에서 천간과 지지의 힘이 가장 강해 보이는 결합을 하나씩 고르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ㄱ. 乙巳 丁卯 庚午 癸未
ㄴ. 辛卯 甲申 戊申 戊午
ㄷ. 甲戌 丙子 甲辰 丙午
ㄹ. 壬午 壬申 壬寅 己卯
해설: ㄱ. 천간이 가장 강해보이는 결합은 丁卯, 지지가 가장 강해 보이는 결합은 乙巳 ㄴ. 戊午, 戊申 ㄷ. 丙午, 丙午 ㄹ. 壬申, 壬寅
05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나무와 흙은 공존하는 관계이므로 木剋土는 잘못된 이치다.
ㄴ. 간지 생극관계는 상대 세력의 강·약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ㄷ. 상생인 결합에서는 생을 받는 간지가 생하는 간지보다 힘을 더 얻는다.
ㄹ. 상극인 간지 결합에서는 서로 어느 정도씩 힘을 얻는 경우가 많다.
ㅁ. 상극인 간지 결합에서 천간이 지지를 극하더라도 지지보다 천간이 힘을 더 잃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지지에 의해 천간의 힘이 좌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ㅂ. 사주명리는 주역(周易)에 비해서 오행 기운의 계량(計量)을 매우 중시한다.
ㅅ. 사주에서 자신이 더 필요로 하는 오행이 운에서 적절한 생을 받으면 목표 방향이나 일의 추진에 탄력을 얻는 경우가 많다.
해설: ㄱ. 공존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나무가 흙에 뿌리를 내려야 한다. 뿌리가 흙을 뚫는 것 자체를 극(剋)으로 보는 것이다. ㄴ. 타당하다. (생극2에서 학습) ㄹ. 얻는 것이 아니라 잃는다. ㅁ. 지지에 의해 천간의 힘이 좌우된다는 것은 뿌리에 의해 줄기가 지탱되고 또 줄기에 의해 가지가 살아간다는 의미와 같다. 이는 지지가(기초, 바탕, 근본, 일의 과정 등이) 그만큼 비중을 차지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06 고전에 등장하는 ‘운우의 정(情)’은 남녀 교합(交合)을 뜻하는데, 속궁합이라고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남ㆍ녀가 丙午ㆍ壬子인 경우의 교합은 어떨지 생각해보자.
07 다음 이미지에서 추론될 수 있는 오행의 생극 관계를 모두 말해보자.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7_2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와 필요한 간지 이해하기 (2) (0) | 2015.07.28 |
---|---|
7_1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와 필요한 간지 이해하기 (1) (0) | 2015.07.24 |
6_1 상생상극 관계와 간지 힘의 득실 이해하기 (1) (0) | 2015.07.15 |
5_2 간지의 음양 구분과 음양 성향 추론하기 (2) (0) | 2015.07.10 |
5_1 간지의 음양 구분과 음양 성향 추론하기 (1) (0) | 201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