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육친1
오행의 생극 관계에서 비롯되는
인수ㆍ식상ㆍ재성ㆍ관살ㆍ견겁이라는
육친의 성립과 육친별 상징성 및
성향을 추론해본다.
지금까지 천간과 지지, 간지의 결합체인 육십갑자, 간지의 오행과 음양 구분 그리고 오행 상생상극 작용과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 등에 관해 학습했다. 그래서 사주팔자가 무엇이고, 어떤 논리체계인지 감을 잡게 되었다. 이제부터는 육친(六親) 또는 육신(六神)이라는 것을 공부하게 된다. 지금까지의 기본적인 상징ㆍ논리체계에 추론ㆍ해석ㆍ통변의 날개를 달아주는 격이라고 할 수 있겠다.
오행 생극 이치는 육친(六親)ㆍ육신(六神)이라는 용어를 낳고 육친관계를 성립시킨다. 때문에 육친ㆍ육신이라는 말은(이하 육친) 오행의 생극 이치를 떠나서는 존재할 수가 없다. 즉 앞에서 학습한 오행 생극 작용과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 이해에 익숙하지 않고서 육친 부분을 알려고 하는 것은 고상한 말로 어불성설이라고 할 수 있다.
오행 생극 이치가 근본적인 자연의 이치이자 사주명리 논리 전개의 핵심이라면, 육친은 여기에 근거한 응용적인 추론 이치이자 사주명리 해석(진로ㆍ가족ㆍ성격ㆍ운세 분석 등)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육친(六親)의 한자어 뜻은 ‘6개 친한 것’이다. 그래서 ‘나-부-모-형제-배우자-자식’ 등으로 이해될 수도 있고, 인생살이에 대표적으로 필요한 나(가족)-학문-기예(技藝)-명예-재물-자유 등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육친 관계는 나를 생하는 인수(印綬), 내가 생하는 식상(食傷), 내가 극하는 재성(財星), 나를 극하는 관살(官殺), 나와 같은 견겁(肩劫)으로 나타낼 수 있다. 식상을 상식, 관살을 관성(官星)이나 살성(殺星) 등으로 다르게 표기하기도 한다.
인수는 나를 생하는 것이므로 내가 木이면 인수는 水가 된다. 즉 내가 갑목ㆍ을목이면 임수, 계수, 해수, 자수를 일컬어 ‘인수’라고 통칭하는 것이다. 나를 생한다는 것은 나를 낳아주고 실력 있게 하는 작용이므로 인수는 어머니, 선생님, 후원인, 학업 등으로 추론될 수 있다. 또 인수의 한자어 뜻은 ‘官印을 몸에 찰 수 있도록 도장(印) 끝에 단 끈‘을 의미하므로 문서, 서류, 계약 등으로 추론될 수 있다. 그래서 사주에서 인수가 중요한ㆍ주도적인ㆍ필요한 역할을 하면서 운에서 적절히 균형ㆍ상승 작용을 이루면 교육계열, 인문, 학문, 연구분야 등에 지속적인 경쟁력이 있다고 해석(통변)한다.
식상은 상관(傷官)과 식신(食神)의 결합어이며 내가 생하는 것이므로 내가 木이면 식상은 火가 된다. 즉 내가 갑목ㆍ을목이면 병화, 정화, 사화, 오화를 일컬어 ‘식상’이라고 통칭하는 것이다. 식상은 내가 낳고 내 기운을 표출하는 작용이므로 자식, 제자, 꾀, 아이디어, 말(言), 기술과 예술(技藝), 봉사, 배설 등으로 추론된다. 그래서 사주에서 식상이 중요한ㆍ주도적인ㆍ필요한 역할을 하면서 운에서 적절히 균형ㆍ상승 작용을 이루면 예체능계열, 기술공학계열, 방송연예 등에 지속적인 경쟁력이 있다고 해석한다.
재성은 내가 극하는 것이므로 내가 木이면 재성은 土가 된다. 즉 내가 갑목ㆍ을목이면 무토ㆍ기토ㆍ진토ㆍ미토ㆍ술토ㆍ축토를 일컬어 ‘재성’이라고 통칭하는 것이다. 재성은 내가 상대의 기운을 치고 누르고 다듬고 정복하는 작용이므로 아내(남자의 性이 여자의 性을 합법적으로 돌파한다는 차원), 재물(돈), 통솔(리더십), 코칭 등으로 추론된다. 그래서 사주에서 재성이 중요한ㆍ주도적인ㆍ필요한 역할을 하면서 운에서 적절히 균형ㆍ상승 작용을 이루면 상경계열, 기업인, 개인사업, 코치 분야 등에 지속적인 경쟁력이 있다고 해석한다.
관살은 나를 극하는 것이므로 내가 木이면 관살은 金이 된다. 즉 내가 갑목ㆍ을목이면 경금, 신금, 유금, 신금을 일컬어 ‘관살’이라고 통칭하는 것이다. 관살은 나를 견제하고 억제하여 절제하고 규범 있게 하는 작용이므로 남편, 직장, 법, 명예, 권력, 양심 등으로 추론된다. 그래서 사주에서 관살이 중요한ㆍ주도적인ㆍ필요한 역할을 하면서 운에서 적절히 균형ㆍ상승 작용을 이루면 법정계열, 행정계열, 공직계, 법조계, 정치계 등에 지속적인 경쟁력이 있다고 해석한다.
견겁은 나와 같은 것이므로 내가 木이면 견겁은 木이 된다. 즉 내가 갑목ㆍ을목이면 갑목, 을목, 인목, 묘목을 일컬어 ‘견겁’이라고 통칭하는 것이다. 견겁은 나와 한통속으로 작용하는 것이므로 형제, 친구, 정당원, 자유, 만용, 의지, 깡다구 등으로 추론된다. 그래서 사주에서 견겁이 중요한ㆍ주도적인ㆍ필요한 역할을 하면서 운에서 적절히 균형ㆍ상승 작용을 이루면 동업자, 자유업ㆍ프리랜서, 운동선수, 격투기, 탐험가, 정당인, 명상ㆍ철학 등에 지속적인 경쟁력이 있다고 해석한다.
▣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 육친관계의 이해가 오행 생극관계의 이해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 각 육친의 상징 성향 추론은 고정불변이다.
- 인수ㆍ식상은 상극관계, 재성ㆍ관살은 상생관계에서 비롯된다.
▣ 육친이 다음처럼 상징되고 추론되는 배경을 설명해보자.
인수-연구/ 식상-기예(技藝)/ 재성-재물/ 관살-권력/ 견겁-자유업
참고: 추론推論, 추명推命, 해석, 통변通辯, 분석, 감명鑑命, 감정鑑定, 예측, 예단豫斷 등은 모두 같은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 그리고 각 육친이 어떤 경우에 사주에서 중요한ㆍ주도적인ㆍ필요한 역할을 하는지, 어떤 경우에 운에서 적절히 균형ㆍ상승 작용을 이루는지 등은 태과불급한 생극관계의 이해를 바탕으로 점차 폭넓게 이해하게 될 것이다.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8_3 육친 관계와 육친별 특징, 성향 추론하기 (3) (0) | 2015.08.19 |
---|---|
8_2 육친 관계와 육친별 특징, 성향 추론하기 (2) (0) | 2015.08.13 |
7_3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와 필요한 간지 이해하기 (3) (0) | 2015.08.01 |
7_2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와 필요한 간지 이해하기 (2) (0) | 2015.07.28 |
7_1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와 필요한 간지 이해하기 (1) (0) | 2015.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