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간지의 합ㆍ충과 기운의 왕ㆍ쇠
간지끼리 서로 합하고 충하는 관계와
기운의 왕ㆍ쇠 상태 및 신뢰도 등을
알아보고, 운 간지의 활용 등 그 쓰임새
(궁합, 진로)를 추론해본다.
간지는 서로 합(合)하기도 하고, 서로 충(沖, 衝)하기도 하면서 간지 본래의 고유한 기운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합ㆍ충에 연관된 간지 기운을 강(强)하게도-왕성(旺)하게도 하고, 약(弱)하게도-쇠약(衰)하게도 만들며, 다른 기운에 가깝게 변화(化) 되게도 한다.
천간의 합에는 甲己합, 乙庚합, 丙辛합, 丁壬합이 있다. 천간의 충에는 甲庚충, 乙辛충, 丙壬충, 丁癸충이 있다. 그리고 지지의 합에는 寅卯辰합, 巳午未합, 申酉戌합, 亥子丑합이 있고, 亥卯未합, 寅午戌합, 巳酉丑합, 申子辰합 등이 있다. 지지의 충에는 子午충, 丑未충, 寅申충, 卯酉충, 辰戌충, 巳亥충이 있다.
합은 서로 화합한다, 뜻이 맞는다, 잘 통한다, 끌린다, 정(情)이 있다, 싸움이 뜸하다 등의 의미이고, 충은 그 반대의 의미이다. 그래서 예를 들어 일주와 월주끼리 서로 합하는 관계이면 주변 사람과 화합을 잘하는 편이라고 추론하고, 서로 충하는 관계이면 그 반대라고 추론한다. 하지만 합도 적절하지 못하면 묶인다, 안주하게 한다, 꼼짝 못하게 한다, 타협만 한다, 무기력하게 한다 등의 단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고, 충도 적절한 경우는 탄력성을 갖게 한다, 자극을 준다, 단련시킨다, 도전하게 한다 등의 장점으로 작용할 수가 있다.
사주 간지의 합과 충의 관계는 대인관계-팀워크-궁합 추론이나 진로설정 등에 활용되고, 운 간지와 연계되어서는 일간의 변동 심리나 충돌 심리 등의 추론에 활용된다. 예를 들어 남자의 일간과 여자의 일간이 서로 합하는 관계이면 궁합 측면에서는 일단 플러스-가산점 요소로 작용한다고 본다. 그리고 일주가 운 간지와 합하는 때는 자발적인 변화가, 운 간지와 충하는 때는 타의에 의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추론한다.
간지 기운의 왕(旺)ㆍ쇠(衰) 상태와 그 신뢰도 가늠은 사주의 질적인 높낮이 가늠의 기초가 된다. 예를 들어 사주에서 사화-관살이 중요한 길신의 역할을 하는데, 주변에 유금과 축토가 있으면 사화가 쇠약하게 되기 때문에 그 신뢰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고, 덩달아 사주의 전체적인 그릇_격格의 크기도 낮아진다고 해석하게 된다. 반면 운 간지로 인해 사화-관살의 신뢰도가 살아나서 사주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치면, 그 기간 동안은 사주의 급級_격格도 높아진다고 해석한다.
천간 기운의 왕ㆍ쇠 상태와 그 신뢰도는 착근(着根)_통근(通根)_득근(得根) 등과 관련이 있다. 근(根)은 천간이 지지에 '근거지가 있다, 의지처가 있다, 뿌리를 둔다'는 뜻으로, 월지가 해당 천간의 자기 계절이거나 지지에 해당 천간의 견겁과 인수가 있는 경우 등이 주로 해당한다. 예컨대 년간이 갑목이면 월지가 봄철인 경우와 지지에 해, 자, 인, 묘가 있는 경우에 (예외도 있지만) 년간 갑목이 지지에 根했다고 한다. 지지에 근거지를 적절하게 잘 두고 있는 천간일수록, 즉 기운이 旺한 천간일수록 신뢰도가 높고 그만큼 영향력과 지속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그 천간이 길신에 가까울수록 금상첨화라고 할 수 있다. 착근_통근_득근_통기(通氣) 등은 대략 같은 맥락의 의미로 보면 된다. 또한 월령을 얻었다는 뜻의 득령(得令), 지지에 자기 세력이 있다는 뜻의 득지(得地), 득세(得勢) 등도 대략 같은 맥락의 의미로 보면 된다.
이 부분의 이론들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合하면 化한다'는 고정된 관점이다. 예컨대 갑목과 기토가 합하면 갑목이 토기로 化(변화)한다거나 사화, 유금, 축토 세 지지가 합하면 사화와 축토가 金氣로 化한다는 등의 내용이다. 그러나 이 부분 역시 수학공식처럼 기계적인 적용을 해서는 안 되며, 반드시 사주마다의 전체적인 구성 상황을 보고 旺, 衰, 化, 根 여부와 그 신뢰도 정도를 가늠해야 한다. (사주 간지를 본래의 기운대로 상생상극의 관점에서 보면 되지, 왜 꼭 合ㆍ化 등의 관점으로 보느냐는 측면도 있다.)
1) 제시된 내용들의 타당성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해보자.
ㄱ. 사주에서 일주와 월주가 서로 합하면 평소에 윗사람과 충돌할 소지가 더 많다. 일간과 월간은 합하고, 일지와 월지는 충돌하면 대인관계가 겉으로는 충돌, 현실적으로는 화합일 소지가 많다.
ㄴ. 충은 항상 단점으로만 작용한다.
ㄷ. 일간과 일간이 서로 합하는 사이이면 궁합, 팀워크 등에 일단 장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ㄹ. 일지가 운 간지의 지지와 합하는 때는 자발적인 변화, 충하는 때는 타의에 의한 변화가 일어날 소지가 많다.
ㅁ. 간지 기운의 질적인 왕ㆍ쇠 상태나 신뢰도는 사주 그릇_격格의 높낮이, 사주 짜임새의 좋고 나쁨 등의 가늠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다.
ㅂ. 간지의 기운이 적절하게 왕성할수록 그 영향력이 지속적이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ㅅ. 운 간지에 의해 사주에 더 필요한 간지의 기운이 쇠약해질수록 사주의 격이 높아지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ㅇ. 착근, 통근, 통기, 득근, 득령, 득지, 득세 등은 대략 같은 맥락의 의미로 보면 된다.
ㅈ. 간지가 합하면 자신의 본래 기운을 잃고 항상 다른 기운으로 변화한다.
2) 서로 합과 충의 관계에 해당하는 간지를 빈 칸에 써보자.
ㄱ. 甲[ ]합 乙[ ]합
丙[ ]합 [ ]壬합
ㄴ. 甲[ ]충 乙[ ]충
丙[ ]충 [ ]癸충
ㄷ. 亥卯( )합 寅午( )합
巳酉( )합 申子( )합
ㄹ. 子[ ]충 寅[ ]충
卯[ ]충 巳[ ]충
3) 다음 용어들의 글자(한자어) 뜻과 사주에서의 그 의미를 말해보자.
合/ 沖-衝/ 旺/ 衰/ 化/ 根/ 格
참고- (인터넷) 검색어 : 12운성(運星)-포태법(胞胎法), 왕상휴수사(旺, 相, 休, 囚, 死)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_3 간지의 합ㆍ충 관계와 기운의 왕ㆍ쇠 상태 이해 및 쓰임새 추론하기 (3) (0) | 2016.05.25 |
---|---|
19_2 간지의 합ㆍ충 관계와 기운의 왕ㆍ쇠 상태 이해 및 쓰임새 추론하기 (2) (0) | 2016.05.16 |
18_4 월지ㆍ월령과 주기(主氣), 월률장간ㆍ지장간의 주기 및 길신과의 관계 이해하기 (4) (0) | 2016.04.24 |
18_3 월지ㆍ월령과 주기(主氣), 월률장간ㆍ지장간의 주기 및 길신_용신과의 관계 이해하기 (3) (0) | 2016.04.20 |
18_2 월지ㆍ월령과 주기(主氣), 월률장간ㆍ지장간의 주기 및 길신과의 관계 이해하기 (2) (0) | 2016.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