壬 甲 丁 甲                戊 甲 丁 癸

申 寅 卯 辰                辰 寅 巳 卯

 

乙 癸 壬 辛

卯 卯 辰 卯

 

  卯월의 갑인 일주는 지지의 인묘진이 합하여 왕성한 木局을 형성한다. 년지 진토의 토기:목기의 비율은 대략 20:80 정도라고 할 수 있다. 토기를 그나마 유지하는 것은 월간 정화의 생이 있기 때문이다.    巳월의 갑인 일주도 지지의 인묘진이 합한다. 이런 경우에 시지 진토의 토기:목기의 비율은 대략 70:30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즉 진토가 인묘진합에 의해 목기로 化될 수 없다는 것이고, 이는 진토가 토기-재성으로서의 신뢰도를 비교적 잘 유지한다는 의미이다.    辰월의 계묘 일주에서 월지 진토는 묘진합에 의해 토기-관살로서의 질적인 상태, 즉 그 신뢰도가 많이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세 사주 중에서 재물이-돈이 그나마 가장 잘 따를 것 같은 사람은 (    ) 일주라고 할 수 있다.  

 

 

甲 辛 癸 丙                癸 乙 戊 壬

午 未 巳 午                未 巳 申 午

 

庚 癸 庚 丁

申 酉 戌 酉

 

  巳월의 신미 일주는 지지의 사오미가 합하여 왕성한 火局을 형성한다. 이런 경우에 일지의 미토-인수는 불에 달궈진 화덕의 형상으로, 지나치게 조열하여 토생금의 역할이 대략 20% 이하라고 할 수 있다. 즉 일간이 미토-인수를 자신의 확실한 근거지로 믿고 쓰기 어렵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게 된다.    申월의 을사 일주도 사오미 화국을 형성하지만 그 화력은 좌측의 신미 일주만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년간의 임수-정인은 월지 신금에 根하여 충분하지는 않지만 수생목할 여력은 있어 보인다.    戌월의 계유 일주는 지지의 신유술이 합하여 왕성한 金局을 형성한다. 이런 경우에 월지 술토는 정관이라는 간판은 있지만 그 내용은 인수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즉 남편이 확실하게 자신의 줏대를 세우지 못하고 친정엄마가 하자는 대로 따라갈 소지가 많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그리고 년간 정화의 화생토할 여력은(지속성은) 대략 20% 이하로 보인다. 만일 시가 경신시가 아니라 갑인시, 무오시라면 정화-편재의 신뢰도가 한층 높아지면서 술토-정관의 성향도 덩달아 활성화될 것이다.

 

 

癸 戊 癸 壬                丁 庚 癸 壬

亥 子 丑 申                亥 子 丑 午

 

癸 癸 癸 癸

丑 丑 亥 丑

 

  丑월의 무자 일주는 지지의 해자축이 합하여 왕성한 水局을 형성한다. 이런 경우에 월지 축토는 거의 수기에 가까운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축토가 수기로 化했다고도 할 수 있을 정도이다. 때문에 일간 무토는 월지 축토에 根할 수 없게 되고, 그만큼 견겁의 장점 성향인 근성과 강단이 약화된다고 할 수 있다.    丑월의 경자 일주에서 정화와 오화는 그 뿌리가 없으므로 지속적으로 화생토하기 어렵다. 때문에 월지 축토는 해자축 합에 의해 수기를 70% 이상 함유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즉 토생금과 토극수의 기능을 충분히 하기 어렵다고 본다.    亥월의 계축 일주에서 해수와 축토는 자수가 빠진 반합(半合)이지만 축토가 수기를 너무 많이 함유하여, (축토가 3개나 있지만) 토기-관살로서 믿고 쓰기가 난감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만나는 남자마다 신뢰도가 낮은 편이라는 추론도 가능하다.    세 사주 중에서 돈의 씀씀이가 가장 헤플 것 같은 사람은 (    ) 일주라고 할 수 있다.  

 

 

己 辛 乙 辛                甲 癸 丁 丁

丑 卯 未 亥                寅 亥 未 卯

 

癸 丙 庚 甲

巳 寅 午 戌

 

  未월의 신묘 일주는 지지의 해묘미가 합하여 木局-財局을 형성한다. 월간의 을목-편재는 자기 바로 밑(座下좌하)의 미토에는 (독립개체적으로) 확실하게 근을 하지 못하지만, 해묘미합에 의해 홍수에도 가뭄에도 버티는 지속성을 갖게 된다. 이런 점에서 삼합(三合)은 일종의 시너지(synergy)-상승 효과의 합이라고도 할 수 있다.    未월의 계해 일주에서 일지 해수는 본래의 수기를 유지하기가 힘들게 되고, 월지 미토는 두 정화의 영향으로 인해 토기:목기의 비율이 대략 60:40 정도라고 할 수 있다.    午월의 병인 일주는 지지의 인오술이 합하여 火局을 형성한다. 이런 경우에 년지 술토는 월간 경금의 확실한 根이 되기 어렵고, 일지 인목은 년간 갑목의 근이 되기 어렵다. 때문에 천간에 인수, 재성, 관살이 자랑스럽게 나타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그 실질적인 지속성 측면에서는 단점도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하마평(下馬評)만 무성하다가 뒷심 부족으로 임명되지 못하는 상황에 비유될 수 있다.   그럼 세 사주 중에서 자신의 스케일에 비해 이상하게 돈을 아끼면서 가장 깐깐하게 쓸 것 같은 사람은 누구일까?

 

 

癸 己 辛 癸                癸 己 癸 辛

酉 巳 酉 丑                酉 丑 巳 酉

 

乙 庚 癸 丁

酉 午 丑 巳

 

  酉월의 기사 일주는 지지의 사유축이 합하여 金局을 형성한다. 이런 경우에 일지 사화의 화기:금기는 대략 10:90 정도로, 거의 꺼져서 온기만 겨우 남아있는 화력이라고 할 수 있다.    巳월의 기축 일주에서 월지의 사화는 자기 계절이므로 좌측 사주의 사화보다는 화력을 더 유지하게 되지만, 그 지속적인 영향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편이라고 할 수 있다.    丑월의 경오 일주도 지지의 사유축이 합하지만 이런 경우는 년지 사화가 화기-관살의 기운을 대략 70% 이상 유지한다고 할 수 있다.   세 사주 중에서 돈과 여자를 소중하게 여기면서 가장 자신 있게 컨트롤 할 수 있는 사람은 (    ) 일주라고 할 수 있다.

 

 

辛 丁 己 甲                戊 丙 丙 甲

丑 酉 巳 子                子 申 子 辰

 

庚 丙 甲 壬

寅 子 辰 申

 

  巳월의 정유 일주와 같은 사주 구성이면 학교 교사 보다는 교육사업, 학원사업 등에 더 적성이 맞는 성향을 보인다(왜?).   반면 신자진 합을 이루는 子월의 병신 일주와 같은 사주 구성이면 학원사업 보다는 학교 교사에 더 적합한 성향이라고 할 수 있다(왜?).   그리고 辰월의 병자 일주와 같은 사주 구성이면 교육출판 분야의 기업경영자나 행정관료 등에도 경쟁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