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시된 사주에서 지지의 진토미토술토축토가 본래의 토기를 어느 정도 유지하는지 그리고 토생금이나 토극수를 어느 정도 잘 할 수 있는지 각각 백분율(%)로 설명해보자.

 

壬 壬 癸 壬                甲 辛 乙 丁

寅 辰 卯 寅                午 巳 巳 未

 

壬 癸 戊 丙                丁 壬 辛 辛

子 酉 戌 申                未 子 丑 亥

  

  

2) 제시된 사주에서 지지의 인목사화신금해수가 자신의 본래 기운을 어느 정도 유지하는지 백분율로 설명해보자.

  

庚 甲 丙 壬                癸 辛 丁 辛

午 寅 午 戌                巳 丑 酉 巳

 

丙 庚 甲 庚                辛 丁 癸 丁

子 辰 申 子                亥 未 卯 亥

 

 

3) 제시된 각각의 사주에서 지지의 합이 사주의 그릇_의 높낮이에 (이를테면 상격, 중격, 하격 등의 가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해보자.

 

己 己 己 乙                丙 庚 戊 庚

巳 未 卯 亥                戌 午 寅 辰

 

丙 乙 丁 癸                壬 戊 丙 戊

子 酉 巳 丑                戌 申 辰 子

 

                         

천간 충지지 충과 기운의 왕 

 

  천간의 갑목과 경금을목과 신금병화와 임수정화와 계수는 서로 충한다. 천간의 충은 열 개의 천간 순서대로 (자신을 포함) 일곱 번째의 편관과 서로 충하는데자신을 충하는 편관이 여러 재앙-()을 유발하기도 한다는 뜻으로 편관을 칠살(七殺)이라고도 칭한다. 그리고 지지의 자수와 오화축토와 미토인목과 신금묘목과 유금진토와 술토사화와 해수가 서로 충한다.

 

  이러한 간지 충은 서로 상극인 목기와 금기화기와 수기의 충이며편재-편관과의 충이고은 양과은 음과 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지의 충은 월지의 절기상 서로 상대되는 기운끼리의 충이며습토(濕土)와 조토(燥土)끼리의 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진술 충축미 충 같은 토기끼리의 충을 붕충(朋沖)이라고도 하는데, 다른 충들보다는 그 작용력이 조금 약하다고 본다.

 

  사주에 충이 많으면 합이 많은 경우보다는 일단 시끄럽고 파란이 많은도전적이고 호전적인 성향을 보일 소지가 있다. 즉 사주에 합이 많으면 좌고우면하는 성향이충이 많으면 좌충우돌하는 성향이 우세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사주에 합이 많으면 운에서 적절히 충해주는 것이반대로 사주에 충이 많으면 운에서 적절히 합해주는 것이 좋은 경우가 있다. 또한 일간이 천간의 인수와 지지의 견겁 등으로 인해 적절히 왕성해진 상태이면, 사주에 합이 없어도 운에서 충해주는 것이 오히려 좋은 자극제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서로 충하는 간지 중에서 (운 간지 포함) 하나는 상당히 왕하고하나는 지나치게 쇠한 상태이면충으로 인하여 그 왕한 간지는 더 발하게 되고 (왕자충발旺者沖發),  쇠한 간지는 더 쇠해져 뿌리째 뽑히게 되는 (쇠자충발衰者沖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충의 작용은 충하는 간지끼리 바로 옆에 있는지멀리 떨어져 있는지 등에 따라그리고 충하는 간지를 합해주는 간지가 있는지 (탐합망충貪合忘沖),  충하는 간지가 생하는 간지가 있는지 (탐생망충貪生忘沖) 등의 여부에 따라 천차만별이므로 이 역시 전체적인 사주와 운의 구성을 보고 판단해야 한다. 여기서 탐합망충탐생망충은 합이나 생을 우선하느라 충을 잠시 잊는다는 뜻으로 그만큼 충의 작용이 완화된다는 의미이다.

 

  팀워크-궁합-대인관계 측면에서  일간끼리 충하는 관계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피할 수 없다면,  일지끼리는 합인 사람이거나 (: 경인 일주이면 갑오 일주와),  아니면 두 사람의 정면충돌을 가운데서 약화시켜주는 일간을 가진 사람을 (: 경금과 갑목 일간 사이에는 임수 일간이나 기토 일간을) 합류시키는 것도 소통을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운 간지와 충하는 날이나 시간에는 자동차 운전하지 말고언쟁은 피하는 등 그저 조심하는 것이 상책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대운과 년운년운과 월운월운과 일운 등과 중첩해서-겹쳐서 충하는 때(편관 운, 편재 운 등으로 길한 운이라고 해도) 외부충격 등에 의해 끝에 가서는 시끄러워질 소지가 높아지므로 중요한 의사결정시 더욱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1) 다음 사주 간지들의 합충 관계를 보면서 빈 칸을 완성하고?에 답해보자.

 

    ㄱ.                           ㄴ.

丁 癸 丁 癸                壬 丙 辛 乙

巳 亥 巳 亥                辰 戌 巳 酉

 

    ㄷ.

己 甲 庚 丙

巳 申 寅 午

 

 

 . 정사월의 계해 일주는 천간의 [    ][    ]가 충하고지지의 [    ][    ]가 충한다. 마치 물과 불이 서로 잘났다고 우기면서 좌충우돌하는 천충지충(天沖地沖),  수화상전(水火相戰)의 형상이다. 그래서 일의 두서가 없고, 돈 문제 등으로 바람 잘 날이 드물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이런 경우는 무인 운과  무인 일주인 사람 등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ㄴ. 신사월의 병술 일주는 천간의 [    ][    ],  [    ][    ]이 충하고,  [    ][    ]은 합한다. 그리고 지지의 [    ][    ]가 충한다. 이런 경우에 일간과 월간은 충을 잠시 잊는다고 본다(?). 즉 사주의 평안-안정을 위한 측면에서는 월간 신금-정재의 역할이 그만큼 비중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경인월의 갑신 일주는 천간의 [    ][    ]이 충하고,  [    ][    ]가 합한다. 그리고 지지의 [    ][    ]이 충한다. 한편 이 사주의 월지, 일지, 시지처럼  寅巳申이 있는 경우를 삼형살(三刑殺)이라고 하는데,  사주나 운에서 삼형살이 되면 충의 작용에 관재官災, 소송, 수술, 사고 등의 형살(형벌-재난) 작용이 한층 더해진다고 추론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