弱한 사주와 격 명칭 예
辛 甲 丁 壬 壬 乙 乙 丙
未 戌 未 寅 午 酉 未 午
己 丙 庚 戊 庚 丁 庚 辛
亥 戌 申 午 子 酉 寅 亥
癸 戊 丙 甲 丁 己 癸 癸
丑 申 子 申 卯 亥 亥 巳
丁 庚 戊 乙 戊 辛 甲 丁
亥 子 寅 巳 子 亥 辰 卯
戊 壬 戊 丙 丙 癸 己 庚
申 午 戌 子 辰 巳 卯 戌
위의 10개의 사주는 일간별로 약한 구성인 경우의 사주 예들이다. 이처럼 일간이 약한 사주들은 그 구성 형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겉으로는 강한 듯해도 타고난 심성이 여린 편이고 뒷심이 부족한 편이다, 귀가 얇아 남의 말이나 유혹에 약하다, 자기 소신보다는 연줄-줄서기에 의지하는 경향이 있다, 시키는 대로 눈치 빠르게 적응을 잘하지만 자칫 이용당할 소지가 있다, 카리스마형-마초(macho)형 리더보다는 참모형-섬김(serve)형 리더에 어울린다 등의 평을 듣기 쉽다. 그래서 자신이 약한 사주이면서 살벌한 직장-조직 문화 속에 처한 사람일수록 ‘뱀처럼 지혜롭고 비둘기처럼 순결하라’ 등의 말을 가까이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사주가 약한 편인 사람들이 오히려 사회적으로는 강해진-성공한 경우가 많이 있다. 이는 사주의 강약 그 자체보다는 강약의 구성 형태, 즉 어떠한 기운들에 의해 어떻게 강해지고, 약해지는가에 의해 사주의 높낮이가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위의 무신 일주는 월간의 병화-편인이 살아나면 날수록 사주의 격이-레벨이 상승하면서(왜?), 자신의 선천적인 유약한 기운으로 인한 약점들이 후천적으로 해소될 수 있는 구성 형태이다. 즉 이 사주는 한마디로 공부만 잘하면 되는, 나머지는 (식신생재, 재생살, 살인상생으로) 이미 다 갖춰져 있는 구성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그 중요한 병화-편인의 根이 충분하지 못하여, 삶에서-운에서 비바람이 살짝만 불어도 언제 꺼질지 모른다는 점이다. 이 문제의 극복이 곧 이 사주의 운명 극복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바둑 격언인 아생연후살타(我生然後殺他)-우선 자신부터 두 집 내서 산 연후에 상대를 공략한다는 이치와도 같은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주가 오로지 돈과 권력, 100%의 財官을 우선하는 삶을 살려고 기를 쓴다면 어떻게 될까?)
위의 사주들 중 갑술 일주는 임술, 계미 운 보다는 임인, 계묘 운이 더 길하게 작용하고, 경술, 신미 운 보다는 경자, 신해 운이 더 길하게 작용한다고 본다. 그리고 정유 일주는 재성 기운에 의해 약해진 財多身弱격이면서 냉습한 상태이고, 主氣인 재성 + 用氣인 인수 = 재성用印격 이기도 하므로, 갑인, 을묘 운도 좋지만 갑오, 병오, 병인, 정사 운 등이 더 필요한 운이라고 본다. 한편 임오 일주는 관살이 사주의 중심부를 차지하고 財官이 전체를 지배하는 형국이므로, 이미 분에 넘치는 관살을 더 넘치게 하는 무술, 병술, 정미 등의 운 보다는 무신, 병신, 정유 등의 운이, 또는 경진, 신축 등의 운이 사주의 균형상 더 길한 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운 간지 역시 과유불급의 이치에 해당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위의 약한 사주들 중에서 경금과 신금 일간을 예로 들어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丁 庚 戊 乙 戊 辛 甲 丁
亥 子 寅 巳 子 亥 辰 卯
乙 甲 癸 壬 辛 庚 己 丁 戊 己 庚 辛 壬 癸
酉 申 未 午 巳 辰 卯 酉 戌 亥 子 丑 寅 卯
① 경자 일주는 년, 월, 일주만으로도 오행이 잘 상생되면서 충이 없어서 소통감각, 균형감각 등이 괜찮은 장점이 있고, 중요한 무토-편인의 영향으로 생각이 깊으면서도 조금은 엉뚱한-독특한 면이 있으며, 어딘가 믿는 구석이 있는 것 같은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② 신해 일주는 일간이 약하고, 정재-갑목이 주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무토-정인과 정화-관살이 중요한 작용을 하므로, (즉 정재用印격, 정재用官격이므로) 사업가로서 월급을 주느냐, 직장인으로서 월급을 받느냐의 선택의 기로에 설 소지가 많다.
③ 경자 일주는 정해시 보다는 병술시가 좀 더 사주의 격을 높이는 출생시라고 할 수 있지만(왜?), 이 사주가 식상 성향이 중시되는 분야를 택한다면 병술시 보다는 정해시가 더 득이 되는 측면이 있다.
④ 신해 일주가 기업체의 임원급으로 성장하려고 한다면 출생시가 무자시 보다는 병신시, 정유시일 때 좀 더 경쟁력이 있게 된다.
⑤ 두 사주는 일간이 비록 약한 구성이지만, 두 사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수를 생하여 한층 유용하게 해주면서, 조후의 균형도 맞추어 주는 적절한 화기-관살 운을 (인수, 견겁 운 보다) 더 반기는 특징이 있다.
⑥ 두 사주는 병술, 정미, 무오, 기사 운 등이 유용하게 작용한다고 본다. 단, 일지나 월지와 沖, 刑하는 운은 길한 운이라고 해도 항상 조심해야 한다.
⑦ 금기는 불에 달궈질수록 다루기가 쉽고, 효용 가치가 다양해지는 성질이 있다. 그래서 일간이 경금, 신금인 사람을 쓸 때는 그 사람의 운이 왕한 화기 운일 때 쓰는 것도 하나의 방법-용인술이다. 그렇더라도 사주와 운에서 담금질이 안 된 상태이면 마음의 담금질 또한 덜 된 상태라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⑧ 경자 일주 남자는 귀한 병화, 정화 운이 초년에 너무 빨리 무의미하게 지나가지 않도록 유념해야 하고, 여자는 한창 때의 관운이 대운의 지지에 있다는 아쉬움이 있으므로 출세 보다는 경력 관리에 비중을 둘 필요가 있다.
⑨ 신해 일주 여자는 남자보다 취업 운이 더 잘 따르는 편이고, 늦공부가 트이면서 자기주도적인 삶을 살아가는 양상의 운의 흐름을 보인다.
⑩ 두 사주의 남녀 4명 중에서 인생의 전반전보다는 말년쯤부터의 후반전에 더 좋아지면서 가장 풍족해질 것 같은 사주를 하나만 고른다면 ( ) 일주의 ( ) 라고 할 수 있다(왜?).
(5) 위의 10개의 약한 사주 예들에 관한 분석 내용 중 타당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치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가. 일간이 약한 사주들일수록 (구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조직의 억압으로 인한 심적인 스트레스를 못견뎌하거나 회피하려는 경향이 많은 편이다.
나. 갑술 일주, 정유 일주, 기해 일주 남자는 일단 여난(女難)이 없도록 ‘여자 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말을 좌우명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다. 을유 일주는 남녀 공히 다섯 번째 대운 때에 실직하거나 실패, 불명예에 빠질 소지가 많은 편이다.
라. 병술 일주는 사업가적 기질이 다분한 측면이 있지만, 인수 성향이 취약하므로 지식기반사업 분야의 창업에는 경쟁력이 낮은 편이다.
마. 무신 일주가 생육하기 힘든 얼어붙은 땅이 되지 않는 것은 병화가-(모친이) 있기 때문이고, 병화는 갑목이-(모친의 친정이) 있기에 그나마 화기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병화나 갑목을 극하면서 사주를 더욱 냉습하게 하는 운은 최대한 피하고 조심해야 한다.
바. 계사 일주는 정사 운 보다는 정유 운이, 기해 일주는 갑자 운 보다는 갑인 운이 더 길하게 작용한다고 본다.
사. 기해 일주 남자와 갑술 일주 여자가 짝을 이루어 소규모 장사-자영업을 해보는 것은 추천 할만하다.
참고 검색어: 관인상생(官印相生)-살인상생(殺印相生), 재다신약(財多身弱), 재인투전(財印鬪戰), 재인불애(財印不碍), 편관용인수격-편관用印격, 인수用印격, 기반(羈絆), 귀문관(鬼門關)살, 현침(懸針)살, 공방(空房)살, 고신(고진)살-과숙(과부)살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_7 사주의 강약, 격格 명칭 예와 운세의 활용, 사주의 높낮이 분석하기 (7) (0) | 2016.07.12 |
---|---|
20_6 사주의 강약, 격格 명칭 예와 운세의 활용, 사주의 높낮이 분석하기 (6) (0) | 2016.07.09 |
20_4 사주의 강약, 격格 명칭 예와 운세의 활용, 사주의 높낮이 분석하기 (4) (0) | 2016.06.29 |
20_3 사주의 강약, 격格 명칭 예와 운세의 활용, 사주의 높낮이 분석하기 (3) (0) | 2016.06.24 |
20_2 사주의 강약, 격格 명칭 예와 운세의 활용, 사주의 높낮이 분석하기 (2) (0) | 2016.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