弱한 사주와 격 명칭 예

 

辛 甲 丁 壬                壬 乙 乙 丙

未 戌 未 寅                午 酉 未 午

 

己 丙 庚 戊                庚 丁 庚 辛

亥 戌 申 午                子 酉 寅 亥

 

癸 戊 丙 甲                丁 己 癸 癸

丑 申 子 申                卯 亥 亥 巳

 

丁 庚 戊 乙                戊 辛 甲 丁

亥 子 寅 巳                子 亥 辰 卯

 

戊 壬 戊 丙                丙 癸 己 庚

申 午 戌 子                辰 巳 卯 戌

 

 

  위의 10개의 사주는 일간별로 약한 구성인 경우의 사주 예들이다. 이처럼 일간이 약한 사주들은 그 구성 형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겉으로는 강한 듯해도 타고난 심성이 여린 편이고 뒷심이 부족한 편이다,  귀가 얇아 남의 말이나 유혹에 약하다,  자기 소신보다는 연줄-줄서기에 의지하는 경향이 있다,  시키는 대로 눈치 빠르게 적응을 잘하지만 자칫 이용당할 소지가 있다,  카리스마형-마초(macho)형 리더보다는 참모형-섬김(serve)형 리더에 어울린다  등의 평을 듣기 쉽다. 그래서 자신이 약한 사주이면서 살벌한 직장-조직 문화 속에 처한 사람일수록  ‘뱀처럼 지혜롭고 비둘기처럼 순결하라’  등의 말을 가까이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사주가 약한 편인 사람들이 오히려 사회적으로는 강해진-성공한 경우가 많이 있다. 이는 사주의 강약 그 자체보다는 강약의 구성 형태, 즉 어떠한 기운들에 의해 어떻게 강해지고, 약해지는가에 의해 사주의 높낮이가 영향을 받는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위의 무신 일주는 월간의 병화-편인이 살아나면 날수록 사주의 격이-레벨이 상승하면서(왜?),  자신의 선천적인 유약한 기운으로 인한 약점들이 후천적으로 해소될 수 있는 구성 형태이다. 즉 이 사주는 한마디로 공부만 잘하면 되는, 나머지는 (식신생재, 재생살, 살인상생으로) 이미 다 갖춰져 있는 구성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그 중요한 병화-편인의 根이 충분하지 못하여, 삶에서-운에서 비바람이 살짝만 불어도 언제 꺼질지 모른다는 점이다. 이 문제의 극복이 곧 이 사주의 운명 극복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바둑 격언인  아생연후살타(我生然後殺他)-우선 자신부터 두 집 내서 산 연후에 상대를 공략한다는 이치와도 같은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주가 오로지 돈과 권력, 100%의 財官을 우선하는 삶을 살려고 기를 쓴다면 어떻게 될까?)

 

  위의 사주들 중  갑술 일주는  임술,  계미 운 보다는  임인,  계묘 운이 더 길하게 작용하고,  경술,  신미 운 보다는  경자,  신해 운이 더 길하게 작용한다고 본다. 그리고 정유 일주는 재성 기운에 의해 약해진  財多身弱격이면서 냉습한 상태이고,  主氣인 재성 + 用氣인 인수 = 재성用印격 이기도 하므로,  갑인,  을묘 운도 좋지만  갑오,  병오,  병인,  정사 운 등이 더 필요한 운이라고 본다.  한편 임오 일주는 관살이 사주의 중심부를 차지하고  財官이 전체를 지배하는 형국이므로,  이미 분에 넘치는 관살을 더 넘치게 하는  무술,  병술,  정미 등의 운 보다는  무신,  병신,  정유 등의 운이,  또는 경진,  신축 등의 운이 사주의 균형상 더 길한 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운 간지 역시 과유불급의 이치에 해당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위의 약한 사주들 중에서  경금과 신금 일간을 예로 들어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丁 庚 戊 乙              戊 辛 甲 丁

亥 子 寅 巳              子 亥 辰 卯

乙 甲 癸 壬 辛 庚 己        丁 戊 己 庚 辛 壬 癸

酉 申 未 午 巳 辰 卯        酉 戌 亥 子 丑 寅 卯

 

 

 ① 경자 일주는 년, 월, 일주만으로도 오행이 잘 상생되면서 충이 없어서 소통감각, 균형감각 등이 괜찮은 장점이 있고,  중요한 무토-편인의 영향으로 생각이 깊으면서도 조금은 엉뚱한-독특한 면이 있으며,  어딘가 믿는 구석이 있는 것 같은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② 신해 일주는 일간이 약하고,  정재-갑목이 주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무토-정인과  정화-관살이 중요한 작용을 하므로, (즉 정재用印격,  정재用官격이므로) 사업가로서 월급을 주느냐,  직장인으로서 월급을 받느냐의 선택의 기로에 설 소지가 많다.

 ③ 경자 일주는 정해시 보다는  병술시가 좀 더 사주의 격을 높이는 출생시라고 할 수 있지만(왜?),  이 사주가 식상 성향이 중시되는 분야를 택한다면 병술시 보다는  정해시가 더 득이 되는 측면이 있다.

 ④ 신해 일주가 기업체의 임원급으로 성장하려고 한다면 출생시가 무자시 보다는  병신시,  정유시일 때 좀 더 경쟁력이 있게 된다.

 ⑤ 두 사주는 일간이 비록 약한 구성이지만,  두 사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수를 생하여 한층 유용하게 해주면서,  조후의 균형도 맞추어 주는 적절한 화기-관살 운을 (인수, 견겁 운 보다) 더 반기는 특징이 있다.

 ⑥ 두 사주는 병술,  정미,  무오,  기사 운 등이 유용하게 작용한다고 본다. 단, 일지나 월지와 沖,  刑하는 운은 길한 운이라고 해도 항상 조심해야 한다.

 ⑦ 금기는 불에 달궈질수록 다루기가 쉽고, 효용 가치가 다양해지는 성질이 있다. 그래서 일간이 경금,  신금인 사람을 쓸 때는 그 사람의 운이 왕한 화기 운일 때 쓰는 것도 하나의 방법-용인술이다. 그렇더라도 사주와 운에서 담금질이 안 된 상태이면  마음의 담금질 또한 덜 된 상태라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⑧ 경자 일주 남자는  귀한 병화,  정화 운이 초년에 너무 빨리 무의미하게 지나가지 않도록 유념해야 하고,  여자는 한창 때의 관운이 대운의 지지에 있다는 아쉬움이 있으므로  출세 보다는 경력 관리에 비중을 둘 필요가 있다.

 ⑨ 신해 일주 여자는  남자보다 취업 운이 더 잘 따르는 편이고,  늦공부가 트이면서 자기주도적인 삶을 살아가는 양상의 운의 흐름을 보인다.

 ⑩ 두 사주의 남녀 4명 중에서  인생의 전반전보다는 말년쯤부터의 후반전에 더 좋아지면서 가장 풍족해질 것 같은 사주를 하나만 고른다면  (    ) 일주의 (    ) 라고 할 수 있다(왜?).

 

 

(5) 위의 10개의 약한 사주 예들에 관한 분석 내용 중 타당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치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 일간이 약한 사주들일수록 (구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조직의 억압으로 인한 심적인 스트레스를 못견뎌하거나 회피하려는 경향이 많은 편이다.

  . 갑술 일주,  정유 일주,  기해 일주 남자는 일단 여난(女難)이 없도록  ‘여자 보기를 돌같이 하라’는 말을 좌우명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 을유 일주는 남녀 공히 다섯 번째 대운 때에 실직하거나 실패, 불명예에 빠질 소지가 많은 편이다.

  . 병술 일주는 사업가적 기질이 다분한 측면이 있지만,  인수 성향이 취약하므로 지식기반사업 분야의 창업에는 경쟁력이 낮은 편이다.

  . 무신 일주가 생육하기 힘든 얼어붙은 땅이 되지 않는 것은 병화가-(모친이) 있기 때문이고,  병화는 갑목이-(모친의 친정이) 있기에 그나마 화기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병화나 갑목을 극하면서 사주를 더욱 냉습하게 하는 운은 최대한 피하고 조심해야 한다.

  . 계사 일주는 정사 운 보다는  정유 운이,  기해 일주는 갑자 운 보다는  갑인 운이 더 길하게 작용한다고 본다.

  . 기해 일주 남자와  갑술 일주 여자가 짝을 이루어 소규모 장사-자영업을 해보는 것은 추천 할만하다.

 

 

 

  참고 검색어:  관인상생(官印相生)-살인상생(殺印相生),  재다신약(財多身弱),  재인투전(財印鬪戰),  재인불애(財印不碍),  편관용인수격-편관用印격,  인수用印격,  기반(羈絆),  귀문관(鬼門關)살,  현침(懸針)살,  공방(空房)살,  고신(고진)살-과숙(과부)살

 

 

 

 

强한 듯, 弱한 듯한 사주와 격 명칭 예

 

戊 甲 丁 壬                癸 乙 乙 辛

辰 子 未 寅                未 未 未 亥

 

己 丙 戊 癸                甲 丁 癸 辛

亥 申 午 丑                辰 酉 巳 亥

 

丙 戊 丁 甲                甲 己 乙 辛

辰 寅 卯 子                子 卯 未 巳

 

丙 庚 壬 甲                壬 辛 丙 己

子 午 申 午                辰 巳 子 酉

 

癸 壬 壬 丙                乙 癸 庚 己

卯 辰 辰 寅                卯 亥 午 未

 

 

  위의 10개의 사주는 일간별로 강한 것도 같고, 약한 것도 같은 구성인 경우의 사주 예들이다. 이러한 사주들 역시 육친 구성에 따라, 운세의 영향에 따라 각양각색이지만  강한 사주들에 비해서 대체로,  자신을 숙이면서 일부러 져주는 등의 유연성,  한 쪽으로만 쏠리지 않는 양면성,  변화무쌍한 상황에서의 적응력 등이 강점인 반면,  자신이 정말 좋아하는-원하는 방향의 불명확성,  한 가지 목표에만 올인 하지 않는 산만함 등은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강한 듯, 약한 듯한 사주들은 특히 사주에 써야 할 기운의 우선순위와 그 써야 할 양量의 정도에 대해 고민을 요하기도 한다. 이는 일간이 강하면  인수, 견겁보다는  식상이나 재성, 관살을 우선하여 길신으로 정하고,  일간이 약하면 그 반대로 한다는 식의 단순한  '억부(抑扶)' 관점의 이분법적 적용을 하기가 애매한 경우가 많고, 또한 그 길신 기운을 필요로 하는 量의 비율도 100%가 아닌 (대략) 50% 전후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즉 인수, 견겁이 우선적인 길신이라고 해도  인수, 견겁은 50% 정도만 필요로 하고, 동시에 식상이나 재성, 관살도 50% 정도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그 반대의 경우도 동일).

 

  예컨대 위의 임진 일주는  경신,  무술,  갑인 운 등의 한 가지 기운만의 운 보다는  경오,  무자,  갑신 운 등이 더 균형 조화적인 운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정유 일주는 일간이 강한 듯도 하지만 오행의 순환상생과 조후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주는 정인-갑목을,   신사 일주는 일간이 약한 듯 하지만 역시 중요한 작용을 하는 정관-병화를 우선적으로, 전략적인 길신으로 써야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정유 일주는  갑자,  을미,  임인 운 등일 때,   신사 일주는  병술,  갑술,  을미 운 등일 때 사주의 균형감이나 리더십, 경쟁력 등이 좀 더 살아난다고-좋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강한 듯, 약한 듯한 사주들은 그만큼 대길-대발(大發),  대흉-대패(大敗) 같은 운세의 진폭이 양극단인 경우가 많지 않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강한 듯, 약한 듯한 사주들 중에서  무토와 기토 일간을 예로 들어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丙 戊 丁 甲              甲 己 乙 辛

辰 寅 卯 子              子 卯 未 巳

庚 辛 壬 癸 甲 乙 丙        戊 己 庚 辛 壬 癸 甲

申 酉 戌 亥 子 丑 寅        子 丑 寅 卯 辰 巳 午

 

  

 ① 무인 일주는 관살이 주도하면서 두 개의 인수가 좌우에서 긴요하게 생해주므로 절제력과 향학열에 타고난 강점이 있다.   기묘 일주는 관살에 둘러싸여 있지만 인수가 멀리 지지에 있어서 명예욕에 비해 향학열은 부족한 편이다.

 ② 무인 일주는 명예 자체보다는 공부를 위한 명예에,  기묘 일주는 공부 자체보다는 명예를 위한 공부에 더 비중을 두거나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왜?).

 ③ 무인 일주는 사고력에 비해 손재주가 없고, 창의성이나 신제품 개발 등의 성향이 부족한 편이므로  공학계열, 예능계열의 연구직 등에는 경쟁력이 낮다.

 ④ 두 사주는 無官인 사주들이,  이름을 날리고 싶은 사람들이 부러워 할만한 사주이지만, 관살이 여럿이다 보니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 덜하게 되어, 자칫 이 직장 저 직장 옮겨다닐 소지가 있다.

 ⑤ 두 사주는 개인사업가나 실적 위주의 기업조직에는 잘 어울리지 않고,  전통-관례 위주의 관직-공직 조직에 더 적합한 면이 있다.

 ⑥ 무인 일주는 병술,  정미,  갑술,  을사 등의 운이,   기묘 일주는 병술,  병인,  정미,  정해 등의 운이 길하게 작용한다.

 ⑦ 무인 일주 남자는 임신,  계유 대운에서 여자와 돈 때문에 눈이 멀어서 귀중한 인연들이 멀어져가는 우를 범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⑧ 무인 일주는 남자보다  여자가 초년~20대 시기에 두각을 나타낼 소지가 더 많고,  기묘일주는 남자보다  여자가 학생시절에 공부를 잘할 소지가 더 많다.

 ⑨ 두 사주의 남녀 4명 중에서  인생 말년쯤의 10년 동안에 인생 역전의 승부를 걸어볼 만한 사람은  (    ) 일주  (    )의  (    ) 대운이라고 할 수 있다(왜?).

 ⑩ 기묘 일주 남자는  경인 대운에 불명예 사표를 쓰는 일이 있더라도, 직장 운-재취업 운이 남아 있어서 (자랑할 만한 직장은 아니지만) 그나마 다행이다. 

 

 

(4) 위의 10개의 강한 듯, 약한 듯한 사주 예에 관한 분석 내용 중 타당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치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 사주가 강한 듯, 약한 듯한 사람들은 자기주관이나 결단력 역시 강한 듯, 약한 듯한 경향을 보일 때가 많다. 그렇다고 술에 물탄 듯, 물에 술탄 듯 하다는 뜻은 아니다.

  . 을미 일주의 남자가 공부-궁리해서  명예와 중심을 잡아가는 운의 흐름이라면,  여자는 재주-끼를 발휘해서  실리를 얻어가는 운의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 병신 일주는 운의 영향에 의해,  여자보다 남자가 상경계열-비지니스계열로 진학해서 기업체에 취업할 소지가 많고, 경쟁력 또한 높은 편이다.

  . 경오 일주가  병오 운 같은 왕성한 (100%의) 관살 운도 두려워 하지 않는 것은,  권력의 억압에도 쫄지 않는 것은,  월간의 임수-식신이 그 관살 운에 맞서는 확실한 대응 수의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

  . 신사 일주는 기존의 질서와 자유 분방함이 동시에 중시되는 조직에,  계해 일주는 순리와 정도正道가 중시되는 조직에 더 적합한 면이 있다.

  . 임진 일주가 정치계로 진출한다면 사주구성상,  지방자치단체의원-기초의원 보다는 국회의원 쪽에 여러 강점-경쟁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을미 일주 남자와  기묘 일주 여자는 이성관계가 여럿이거나 복잡해질 소지가 없는 편이다.

 

   

 

  참고 검색어:  관인쌍전(官印雙全),  식신생재(食神生財),  관식투전(官食鬪戰),  재생관(財生官)-재생살(財生殺),  상관견관(傷官見官),  군비쟁재(群比爭財),  도식(倒食-盜食),  금수일체(金水一體),  백호(白虎)살,  원진(元辰-怨嗔)살,  형(刑)살

 

 

 

 

한 사주와 격 명칭 예

 

丙 甲 癸 壬                辛 乙 丙 甲

寅 午 卯 寅                巳 卯 寅 子

 

壬 丙 庚 丙                辛 丁 乙 丁

辰 寅 寅 申                丑 酉 巳 未

 

庚 戊 戊 丙                乙 己 丁 丁

申 申 戌 辰                亥 酉 未 卯

 

甲 庚 丙 乙                戊 辛 丁 丙

申 午 戌 酉                子 丑 酉 寅

 

戊 壬 丙 戊                丁 癸 己 辛

申 子 辰 戌                巳 未 亥 亥

 

 

  위의 10개의 사주는 일간별로 적당히, 충분히 강한 구성인 경우의 사주 예들이다. 사주 일간이 강한 사주들은 자기 절기이거나 인수, 견겁의 기운이 강하면서 식상이나 재성, 관살의 기운도 강한 상태인 경우가 많다. 즉 강약의 조화나  조후의 조화 등을 이루는 구성들이 많다. 그래서 이러한 사주들은 (예외도 있지만) 현실적인 측면의 균형감이나 방향감, 경쟁력 등이 그만큼 상승되는 구성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적절하게 강한 사주는 (육친 구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줏대와 뚝심이 강하며 주관도 뚜렷한 편이다 목표와 지향점이 분명하고 감정의 완급 조절도 잘하는 편이다,  조직의 우두머리가 되려는 성향이 강하여 리더십에 비해 팔로십-followship을 등한시 하는 경향이 있다,  추진력이 있고 역경에도 잘 버틴다이해 타산적이고 실리적인 가치에 비중을 둔다  등의 평을 듣기 쉽다.

 

  위의 사주 예들 중에서  갑오 일주는 연구해서 가르치는 분야나 사회복지 업무 등이 적성에 잘 맞고,   을묘 일주는 예능-방송연예 분야 등에 소질이 있으며,   병인 일주는 기업체의 선 굵은 임원형에,   정유 일주는 실속 위주의 상공인형에 어울린다고 할 수 있다그리고 무신 일주는 광산기술이나 측량기사 업무 등을,   기유 일주는 교육상담이나 기술강사 등의 업무를,   경오 일주와 신축 일주는 정당인이나 관료형 군인경찰 등을 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임자 일주와 계미 일주는 어학계열이나 신문기자, 아나운서, 엔지니어 분야 등은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위의 강한 사주들 중에서  병화와 정화 일간을 예로 들어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壬 丙 庚 丙              辛 丁 乙 丁

辰 寅 寅 申              丑 酉 巳 未

丁 丙 乙 甲 癸 壬 辛        戊 己 庚 辛 壬 癸 甲

酉 申 未 午 巳 辰 卯        戌 亥 子 丑 寅 卯 辰

               

 

 두 사주는 자신의 불이 언제 꺼질지 몰라 노심초사하는 경우와는 거리가 있다. 즉 자신들의 본성인 '빛'으로서의 존재감에 일단 여유와 자신감이 있다.

 ② 자기 주도적인 성향이 강하면서 재성의 기운도 만만치 않으므로 치재(治財)와 경영관리 등에 강점이 있다.

 ③ 정유 일주는 월간이 인수이면서 재성이 중심적인 위치에 있지 않으므로 이익-이윤만을 우선하는 사업보다는 착한기업-사회적기업 등에도 관심이 많은 편이다.

 ④ 병인 일주는 아직 쌀쌀한 절기에 따뜻한 기운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형상이므로(?),  정유 일주보다는 그 효용성이 더 높고,  인기를 끄는 면도 더 있다고 할 수 있다.

 ⑤ 직장-조직내에서의 직위-승진 잠재력은 (    )의 영향력이 있는 병인 일주가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⑥ 정유 일주는 의 성향이 주도하면서 관살이 없으므로 남성적 권위욕을 요하는 경영관리 업무보다는 섬세한 금융회계 업무에,  기업조직보다는 개인사업에 더 적합한 측면이 있다.

 ⑦ 두 사주 중에서 장거리 출장이 잦은 해외의 영업-시장개척 업무에는 의 성향이 주도하면서 일지와 월지가 역마살에 해당하는 병인 일주가 더 경쟁력이 있다.

 ⑧ 정유 일주 남자는 취업해서 일하다가  신축, 경자 대운에 독립해서 사업에 도전하는 운이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여자도 중년에 사업 운이 따른다고 할 수 있다(?).

 ⑨ 병인 일주는 남여 공히 대운 천간의 사업 운이 잘 안 따르는 편이고중년의 사회적인 성공 경쟁력이 높은 편이 아니므로 길한 년운을 골라 반짝 승부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⑩ 병인 일주 남자의 인생의 큰 흐름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시기이자 길운이 될 소지가 많은 대운은 (    ) 대운이라고 할 수 있다(?).  

 

 

(2) 위의 10개의 강한 사주 예에 관한 분석 내용 중 타당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치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 을묘 일주는 공부나 업무를 벼락치기로 하는 경향이 있고, 즉흥적인 머리 회전이 빠른 편이다. 그리고 초년, 중년의 대운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좋다고 할 수 있다.

  . 병인 일주는 남자보다 여자가 학창시절과 취업 시기에 더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운이다.

  . 정유 일주 남자는 살아가면서 아내-마누라 덕을 볼 소지가 많다.

  . 신축 일주는 여자가 남자보다 학창시절과 취업 시기에 더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운이다.

 . 경오 일주신축 일주임자 일주계미 일주는  공명심-명예-권력욕구 등이 꽤 강한 편이므로  순수기부-자원봉사-사회복지 등에는 관심이 그만큼 소홀한 경향이 있다.

  . 임자 일주와  을묘 일주가 만나면-팀을 만들면임자 일주는 답답한 속이-머리가 풀리는 듯한 느낌을 을묘 일주는 자신의 작은-짧은 생각이 커지는-깊어지는 듯한 느낌을 받는 경우가 많다.

   

 

(3) 수많은 자연형상 중에서도 인기 있는 꽃에 비유되는 형상의 사주들이 있다. 그 중에서도 눈 속에 피는 매화꽃-설중매에 가까운 형상의 사주는 어떠한 구성일지그 사주 간지 여덟 자를 만들어보자그리고 그 사주 간지의 강약점을 분석하고대운 간지의 영향에 의한 그 형상의 변화-흐름을  연상-설명해보자.  

 

 

    

  

  참고 검색어목화통명(木火通明),  식신유기승재관(食神有氣勝財官),  설정영(泄精英),  신왕관왕(身旺官旺),  재자약살(財滋弱殺),  신왕재왕(身旺財旺),  시상편재 or 시상편관 일위귀(時上偏財 or 時上偏官 一位貴),  관살혼잡(官殺混雜),  양인가살(陽刃駕殺-羊刃架殺),  12신살(神殺),  도화(桃花)역마(驛馬)공망(空亡)

 

 

 

 

 

太强한 사주와 격 명칭 예

 

甲 甲 癸 壬                戊 乙 乙 癸

子 寅 卯 寅                寅 卯 卯 卯

 

癸 丙 甲 丙                壬 丁 丙 丁

巳 午 午 午                寅 巳 午 未

 

壬 戊 戊 丙                乙 己 丁 丁

戌 戌 戌 辰                丑 丑 未 巳

 

乙 庚 甲 庚                丙 辛 丁 辛

酉 申 申 辰                申 丑 酉 酉

 

戊 壬 癸 癸                壬 癸 丙 辛

申 子 亥 丑                子 酉 申 亥

 

   

  위의 10개의 사주는 일간별로 지나치게 강한-太强한 구성인 경우의 사주 예들이다.  사주 일간이 지나치게 강한 사주들은 자기 절기에  인수, 견겁의 기운이 지배하는 경우가 많다.  주로 인수, 견겁이 주도하는 구성이다 보니  식상, 재성, 관살의 기운은 상대적으로 쇠약할 수밖에 없다.  사주를 지배하는 인수나 견겁도 그 구성상 중요성과 필요성이 비교적 (    )보니,  태강한 사주들은 (예외도 있지만) 사회적인-대중적인 측면의 균형감이나 경쟁력이 그만큼 (    )지는 구성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태강한 사주는 (일간의 오행과 음양 구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태강즉절太强卽折-스스로 부러지면 부러졌지 외풍에 의해 구부러지지 않으려고 한다-갈팡질팡하지 않는다,  너무 고지식하다,  꽉 막혔다,  융통성을 찾아보기 힘들다,  한 번 폭발하면 제어가 잘 안 된다,  꾀를 부리지 못하고 우직하다-곰 같다  등의 평을 듣기 쉽다. 

 

  위의 사주 예들 중에서  卯월의 갑목과 을목은 주로 강직성, 생장력 등이 요구되는 분야를,   午월의 병화와 정화는 화끈함, 화통함 등이 중시되는 분야를,   戌월의 무토와 未월의 기토는 포용성, 원만함 등이 업무 특성인 분야를,   申월의 경금과 酉월의 신금은 혁신성, 치밀성 등이 강조되는 분야를,   亥월의 임수와 申월의 계수는 이동성, 유동성 등이 일상화된 분야를 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태강한 사주들은 (다른 사주들보다 특히 더)  인수, 견겁 운에는 독선과 아집에 사로잡혀 일을 그르치는 일이 없도록 유념할 필요가 있고,  식상 운에는 아낌없이 베풀고 희생하는 마음가짐과 적극적인 실천을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재성 운에는 큰 과욕보다 작은 실속에 더 비중을 두고,  관살 운에는 자기 관리와 순종의 미덕을 발휘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태강한 사주들은 일주나 월주와 상충-천충지충하는 운을 각별히 조심해야 하고,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라는 말을 염두에 두는 것도 필요하다.

 

 

  위의 태강한 사주들 중에서  갑목과 을목 일간을 예로 들어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甲 甲 癸 壬              戊 乙 乙 癸

子 寅 卯 寅              寅 卯 卯 卯

庚 己 戊 丁 丙 乙 甲        壬 辛 庚 己 戊 丁 丙

戌 酉 申 未 午 巳 辰        戌 酉 申 未 午 巳 辰

 

 

 ① 화기나 수기,  금기 일간이 태강한 경우보다는 이처럼 목기 일간이 태강한 경우에 그 성정(性情)이-성질이 보다 더  '차분하고 안정적인' 특징이 있다(왜?).

 ② 봄철의 나무와 화초에 꽃이(병화-정화가) 없는 형상이니 대중적인 인기가 덜하고,  관살이 없는 무관 사주이니 자기절제나 권력욕이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③ 타고난 표현력, 발표력, 창조력, 끼, 꾀, 요령 등은 부족하지만 끼리끼리 모여서 하는 단체 활동 등은 좋아하는 편이다.

 ④ 한창 생장하는 제 철의 목기이므로  수기-인수의 효용성이 낮지는 않다고 할 수 있으나,  인수 운이나 관살 운보다는 (     ) 운이 효용성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⑤ 갑인 일주인 남자는 주로 병오, 정미 대운에,  을묘 일주인 여자는 병진, 정사 대운에 자신의 기운을 발산하여 인기를 끌 수 있도록 계획-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⑥ 을묘 일주는 대운의 영향으로 초년 때부터 예체능 쪽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데,  자아가 너무 강해서-고집이 세서  감독-코치 등의 지시에 순응하지 못할 소지가 있다.

 ⑦ 두 사주는 인생의 장기적인 큰 흐름이,  재주를 발휘하고 → 실속을 챙기고 → 이름을 얻는 순의 흐름이 되도록 대운 간지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왜?).

 ⑧ 갑인 일주는 병인시나 경오시 등일 때,  을묘 일주는 신사시나 병술시 등일 때  좀 더 인기 있는 사주가 될 수 있다.

 ⑨ 을묘 일주는 신유 대운이 길한 관운이 아닌  풍파(風波)와 관재(官災)가 심한 운이 되지 않도록 미리 충분히 대비해야 한다.

 ⑩ 갑인 일주 여자는 고분고분함이,  을묘 일주 남자는 우락부락함이 요구되는 분야는 피하는 것이 좋다(왜?).  만일 갑인 일주가 학과 선택 시에 식상 분야와 관살 분야를 두고 고민한다면,  대운의 영향에 의해,  남자는 식상 분야를,  여자는 관살 분야를 택할 소지가 많다.

   

 

(1) 위의 10개의 태강한 사주 예에 관한 분석 내용 중 타당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치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 병오 일주는 남자인 경우보다 여자인 경우에 20대 때의 취업에 더 길한 운이 되는 측면이 있다.

 . 무술 일주인 여자는 평소에 애교-이쁜 여우짓을 잘하는 편에 속하고,  남편복도 많은 편이라는 소리를 들을 때가 많다.

 . 기축 일주는 임신시, 계유시 등일 때  사주의 쓰임이-인기가-格이 좀 더 좋아진다고 할 수 있다.

 . 경신 일주는 남자인 경우보다  여자인 경우에 20대 때의 취업에 좀 더 길한 운이 되는 측면이 있다.

 . 임자 일주의 세 번째 대운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재물 욕구가 한층 강해지면서 덩달아 명예-직위 욕구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 일간끼리 합하는 사주들이 서로 짝을 이룬다면,  병오 일주와 신축 일주처럼,  각자의 넘치고 부족한 기운이 상보(相補)되는-활용되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

 

   

 

  참고 검색어:  전왕격(專旺格)-일행득기(一行得氣)격,  곡직(曲直)격,  곡직인수격,  염상(炎上)격,  가색(稼穡)격,  종혁(從革)격,  윤하(潤下)격,  화토중탁(火土重濁)격,  수목응결(水木凝結)격,  괴강(魁罡)살,  양인(陽刃-羊刃)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