壬 甲 丁 甲                戊 甲 丁 癸

申 寅 卯 辰                辰 寅 巳 卯

 

乙 癸 壬 辛

卯 卯 辰 卯

 

  卯월의 갑인 일주는 지지의 인묘진이 합하여 왕성한 木局을 형성한다. 년지 진토의 토기:목기의 비율은 대략 20:80 정도라고 할 수 있다. 토기를 그나마 유지하는 것은 월간 정화의 생이 있기 때문이다.    巳월의 갑인 일주도 지지의 인묘진이 합한다. 이런 경우에 시지 진토의 토기:목기의 비율은 대략 70:30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즉 진토가 인묘진합에 의해 목기로 化될 수 없다는 것이고, 이는 진토가 토기-재성으로서의 신뢰도를 비교적 잘 유지한다는 의미이다.    辰월의 계묘 일주에서 월지 진토는 묘진합에 의해 토기-관살로서의 질적인 상태, 즉 그 신뢰도가 많이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세 사주 중에서 재물이-돈이 그나마 가장 잘 따를 것 같은 사람은 (    ) 일주라고 할 수 있다.  

 

 

甲 辛 癸 丙                癸 乙 戊 壬

午 未 巳 午                未 巳 申 午

 

庚 癸 庚 丁

申 酉 戌 酉

 

  巳월의 신미 일주는 지지의 사오미가 합하여 왕성한 火局을 형성한다. 이런 경우에 일지의 미토-인수는 불에 달궈진 화덕의 형상으로, 지나치게 조열하여 토생금의 역할이 대략 20% 이하라고 할 수 있다. 즉 일간이 미토-인수를 자신의 확실한 근거지로 믿고 쓰기 어렵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게 된다.    申월의 을사 일주도 사오미 화국을 형성하지만 그 화력은 좌측의 신미 일주만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년간의 임수-정인은 월지 신금에 根하여 충분하지는 않지만 수생목할 여력은 있어 보인다.    戌월의 계유 일주는 지지의 신유술이 합하여 왕성한 金局을 형성한다. 이런 경우에 월지 술토는 정관이라는 간판은 있지만 그 내용은 인수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즉 남편이 확실하게 자신의 줏대를 세우지 못하고 친정엄마가 하자는 대로 따라갈 소지가 많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그리고 년간 정화의 화생토할 여력은(지속성은) 대략 20% 이하로 보인다. 만일 시가 경신시가 아니라 갑인시, 무오시라면 정화-편재의 신뢰도가 한층 높아지면서 술토-정관의 성향도 덩달아 활성화될 것이다.

 

 

癸 戊 癸 壬                丁 庚 癸 壬

亥 子 丑 申                亥 子 丑 午

 

癸 癸 癸 癸

丑 丑 亥 丑

 

  丑월의 무자 일주는 지지의 해자축이 합하여 왕성한 水局을 형성한다. 이런 경우에 월지 축토는 거의 수기에 가까운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축토가 수기로 化했다고도 할 수 있을 정도이다. 때문에 일간 무토는 월지 축토에 根할 수 없게 되고, 그만큼 견겁의 장점 성향인 근성과 강단이 약화된다고 할 수 있다.    丑월의 경자 일주에서 정화와 오화는 그 뿌리가 없으므로 지속적으로 화생토하기 어렵다. 때문에 월지 축토는 해자축 합에 의해 수기를 70% 이상 함유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즉 토생금과 토극수의 기능을 충분히 하기 어렵다고 본다.    亥월의 계축 일주에서 해수와 축토는 자수가 빠진 반합(半合)이지만 축토가 수기를 너무 많이 함유하여, (축토가 3개나 있지만) 토기-관살로서 믿고 쓰기가 난감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만나는 남자마다 신뢰도가 낮은 편이라는 추론도 가능하다.    세 사주 중에서 돈의 씀씀이가 가장 헤플 것 같은 사람은 (    ) 일주라고 할 수 있다.  

 

 

己 辛 乙 辛                甲 癸 丁 丁

丑 卯 未 亥                寅 亥 未 卯

 

癸 丙 庚 甲

巳 寅 午 戌

 

  未월의 신묘 일주는 지지의 해묘미가 합하여 木局-財局을 형성한다. 월간의 을목-편재는 자기 바로 밑(座下좌하)의 미토에는 (독립개체적으로) 확실하게 근을 하지 못하지만, 해묘미합에 의해 홍수에도 가뭄에도 버티는 지속성을 갖게 된다. 이런 점에서 삼합(三合)은 일종의 시너지(synergy)-상승 효과의 합이라고도 할 수 있다.    未월의 계해 일주에서 일지 해수는 본래의 수기를 유지하기가 힘들게 되고, 월지 미토는 두 정화의 영향으로 인해 토기:목기의 비율이 대략 60:40 정도라고 할 수 있다.    午월의 병인 일주는 지지의 인오술이 합하여 火局을 형성한다. 이런 경우에 년지 술토는 월간 경금의 확실한 根이 되기 어렵고, 일지 인목은 년간 갑목의 근이 되기 어렵다. 때문에 천간에 인수, 재성, 관살이 자랑스럽게 나타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그 실질적인 지속성 측면에서는 단점도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하마평(下馬評)만 무성하다가 뒷심 부족으로 임명되지 못하는 상황에 비유될 수 있다.   그럼 세 사주 중에서 자신의 스케일에 비해 이상하게 돈을 아끼면서 가장 깐깐하게 쓸 것 같은 사람은 누구일까?

 

 

癸 己 辛 癸                癸 己 癸 辛

酉 巳 酉 丑                酉 丑 巳 酉

 

乙 庚 癸 丁

酉 午 丑 巳

 

  酉월의 기사 일주는 지지의 사유축이 합하여 金局을 형성한다. 이런 경우에 일지 사화의 화기:금기는 대략 10:90 정도로, 거의 꺼져서 온기만 겨우 남아있는 화력이라고 할 수 있다.    巳월의 기축 일주에서 월지의 사화는 자기 계절이므로 좌측 사주의 사화보다는 화력을 더 유지하게 되지만, 그 지속적인 영향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편이라고 할 수 있다.    丑월의 경오 일주도 지지의 사유축이 합하지만 이런 경우는 년지 사화가 화기-관살의 기운을 대략 70% 이상 유지한다고 할 수 있다.   세 사주 중에서 돈과 여자를 소중하게 여기면서 가장 자신 있게 컨트롤 할 수 있는 사람은 (    ) 일주라고 할 수 있다.

 

 

辛 丁 己 甲                戊 丙 丙 甲

丑 酉 巳 子                子 申 子 辰

 

庚 丙 甲 壬

寅 子 辰 申

 

  巳월의 정유 일주와 같은 사주 구성이면 학교 교사 보다는 교육사업, 학원사업 등에 더 적성이 맞는 성향을 보인다(왜?).   반면 신자진 합을 이루는 子월의 병신 일주와 같은 사주 구성이면 학원사업 보다는 학교 교사에 더 적합한 성향이라고 할 수 있다(왜?).   그리고 辰월의 병자 일주와 같은 사주 구성이면 교육출판 분야의 기업경영자나 행정관료 등에도 경쟁력이 있다고 할 수 있다(왜?).

 

 

 

 

 

1) . ~ .의 내용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치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그리고 천간의 합과 관련된 진로분야의 예를 하나씩 더 제시해보자.    

 

 ㄱ. 일간이 기토이면서 갑목을 더 필요로 하는 사주이면가급적 식상+금기 분야 (: 금속공예) 보다는  정관+목기 분야 (: 산림청공무원) 등을 선택하도록 한다그리고 일간이 갑목이면서 기토를 더 필요로 하는 사주이면견겁+목기 분야 (: 약초관련사업) 보다는  정재+토기 분야 (: 감정평가사) 등을 선택하도록 한다.   

 

 . 일간이 을목이면서 경금을 더 필요로 하는 사주이면식상+화기 분야 (: 이벤트행사 진행) 보다는  정관+금기 분야 (: 경찰행정) 등을 선택하도록 한다그리고 일간이 경금이면서 을목을 더 필요로 하는 사주이면견겁+금기 분야 (: 카센터-차량정비) 보다는  정재+목기 분야 (: 출판편집인) 등을 선택하도록 한다.

 

 . 일간이 신금이면서 병화를 더 필요로 하는 사주이면식상+수기 분야 (: 정수기사업) 보다는  정관+화기 분야 (: 정치광고인) 등을 선택하도록 한다그리고 일간이 병화이면서 신금을 더 필요로 하는 사주이면견겁+화기 분야 (: 조명기사) 보다는  정재+금기 분야 (: 금융업무) 등을 선택하도록 한다.

 

 . 일간이 정화이면서 임수를 더 필요로 하는 사주이면식상+토기 분야 (: 도자기공예) 보다는  정관+수기 분야 (: 수자원공사) 등을 선택하도록 한다.   그리고 일간이 임수이면서 정화를 더 필요로 하는 사주이면견겁+수기 분야 (: 조주造酒) 보다는  정재+화기 분야 (: 전자상거래) 등을 선택하도록 한다.

 

 ㅁ. 일간이 계수이면서 무토를 더 필요로 하는 사주이면식상+목기분야 (: 가구디자이너) 보다는  정관+토기 분야 (: 토지개발공사) 등을 선택하도록 한다그리고 일간이 무토이면서 계수를 더 필요로 하는 사주이면견겁+토기 분야 (: 골동품수집) 보다는  정재+수기 분야 (: 내수면양식업) 등을 선택하도록 한다.

 

 

2) 다음 사주의 분석 내용 중 타당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치고, 그 이유를 설명해보자.

 

丙 辛 己 甲

申 丑 巳 子

丙乙甲癸壬辛庚         壬癸甲乙丙丁戊

子亥戌酉申未午         戌亥子丑寅卯辰

 

  사주에서 丙辛合이므로, 일간은 남편과 충돌하는 일이 비교적 적고 서로 잘 맞는 편이라고 느끼는 경우가 더 많다.

  ② 사주에서 甲己合이므로, 부친과 모친이 본인들의 사주 구성상 서로 싸우는 일이 있더라도 내가 나서면, 내 기운으로 인해 원만하게 해결될 소지가 더 많다.

  ③ 일간이 정관과 1:1로 합하므로 부부간에 서로에 대한 집중력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④ 갑목, 기토, 일간, 병화는 각각 지지에 근거지가 있으므로 자신들의 고유한 성향을 대략 60% 이상 유지하는 편이다. , , 의 작용력이 중급 이상은 된다.

  ⑤ 월지가 정관이고, 시간의 정관과 합하며, 관살이 더 필요한 사주이므로 일간은 정관 (: 공무원) 분야로의 유혹을 더 많이 느끼는 편이다.

  ⑥ 재성이 관살을 생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인수를 가까이서 합하여 조금 무력하게 하는듯한 단점도 있다.

  ⑦ 팀워크-궁합 측면에서, 이 사주는 일단 일간이 병화인 사람과 만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사주의 두 번째와 세 번째의 대운 간지가 남자는 신미, 임신이고,   여자는 정묘, 병인 인데만일 대운 수가 둘 다 ‘5’ 라면, 공무원 시험에는 남자에게 더 운이 따른다고 할 수 있다.

  ⑨ 이 사주의 여자라면, 정묘 대운에 만난 남자보다는 병인 대운에 만나는 남자와 인연을 맺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⑩ 이 사주의 남자라면, 말년의 병자 대운에 해당하면서 년운이 관살 운일 때 그동안 잘 따르지 않던 관운이 따른다고 할 수 있다.

 

 

3) 간지 합충의 측면에서만 보면, 일주끼리 서로 충하는 관계보다는 서로 합하는 관계가 팀워크-궁합이 더 좋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로는 자신의 일간과만 합하는 사람을 만나기도 쉽지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만일 하는 사람을 못 만난다면, 다른 대안이 되는 궁합 예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지 설명해보자.  그리고 참사랑은 궁합을 초월한다”,  “궁합은 긴 사랑을 돕는다는 말의 의미를 생각해보자.  

  

 

 

   

지지의 합과 기운의 왕 

 

  지지의 합은 크게  자기 절기 기운끼리의 합과  다른 절기 기운끼리의 합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전자의 합(방합)에는 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자축 합이 있고후자의 합(삼합三合)에는 해묘미인오술사유축신자진 합이 있다.

 

  이렇게 합한 기운들끼리는 응집된 하나의 세력인 국()을 형성하게 되는데인묘진합과 해묘미합은 木局,   사오미합과 인오술합은 火局,   신유술합과 사유축합은 金局해자축합과 신자진합은 水局을 형성한다.

 

  하지만 같은 합국(合局)이라도 그 질적인 면에는 차이가 있다고 본다. 예컨대 같은 火局이라도  사오미 화국이 활활 타오르고 조절이 힘든 성질의 화국이라면인오술 화국은 지속적으로 타오르면서 조절도 가능한 화국이라고 보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다른 절기 기운끼리의 합국에-三合局에 더 가중치를 두어 귀하게 여기기도 한다.

 

  그리고 만일 천간에 이나 가 없는 상태인데, 지지끼리 합하여 官局이나  財局을 이루면서 사주에 길한 영향을 미치면관이나  재를 세상에 내놓고 자랑할 수는 없더라도 그것이 마르거나 단절되는 일도 드물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또한 이 없거나 미약한 상태인 천간의 보다는 지지의 순일한 財局官局이 더 실리적인 경우가 많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세 지지의 합으로부터 두 지지의 합이 파생되고 합국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를테면 묘진합해미합오미합인오합유술합사유합자축합자진합 등이다. 이러한 두 지지의 합(반합半合)의 응집력이나 기운의 왕쇠 상태는 사주 구성에 따라 천차만별이며, 특히 세 지지의 합의 가운데 가 빠진 합들은 그 세력이 미약한 경우가 많다.

 

  지지의 합에서는 진토미토,  술토축토 등의 다른 기운으로의 변화 정도의 가늠과  그로인한 본래의 생극 작용의 질적인 상태 이해 및 길신 천간에 미치는 영향 등의 이해에 비중을 둔다.  (지지 합의 종류에는 이외에도 있지만, 그 기운의 왕쇠 상태 이해와 신뢰도 가늠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천간의 합과 기운의 왕 

 

  천간의 갑목과 기토,  을목과 경금,  병화와 신금,  정화와 임수,  무토와 계수는 서로 합을 이룬다.  천간의 합은 서로 극의 관계이면서 음양이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즉 육친상으로는 정재정관끼리의 합이 되는 것이다.  이는 陽인 남자 (갑 병 무 경 임)의 입장에서 보면  陰인 여자와 합이 되고,   陰인 여자 (을 정 기 신 계)의 입장에서 보면  陽인 남자와 합이 된다.  또한 천간 합은 열 개의 천간 순서대로 (자신을 포함) 여섯 번째의 천간과 서로 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육친六親은 앞에서 학습한  ‘여섯 개의 친한 것’이라는 뜻 외에  여섯 번째의 서로 합해서 친한-유정(有情)한 것, 즉 ‘자신의 정재와 정관’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만일 일간이 갑목인 남자와 기토인 여자와의 결합,   일간이 기토인 남자와 갑목인 여자와의 결합,   일간이 경금인 남자와 갑목인 여자와의 결합,   일간이 계수인 남자와 기토인 여자와의 결합이 있다면,   이 네 쌍 중에서는 (같은 조건이면),  일간이 갑목인 남자와 기토인 여자와의 결합이 한층 자연스럽고 유정하며 음양조화적이라고 추론하게 된다.  이러한 이치는 주변 사람들과의 팀워크 결합 관계에도 적용된다.  직원들의 일간과 자신의 일간이 합의 관계일수록 뭔가 잘 맞는다는 느낌을 받는 경우가 많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핵심 측근일수록 일간끼리 합하는 사람을 쓰는 것도 하나의 방법-용인술이다.)

 

  사주에서 천간끼리의 합이  1:1이 아니라  1:2,  1:3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합을 쟁합(爭合)이나 투합(妬合)이라고 한다.  예컨대 갑목은 1개인데  기토가 2개,  3개인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인데,  이런 경우는 그만큼 합의 순도와 응집력이 산만해진다고 본다. 즉 일간이 한 사람,  한 직장과만 지고지순한 관계를 추구하지는 않는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합이 2:2인 경우는 쌍합雙合, 혼합混合이라고도 하고,  일간과 지장간의 합은 암합暗合-불륜不倫합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합의 관계는 운 천간과의 합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일간이 기토인데  월간에 비견인 기토가 또 있으면,  정관 운이 들어올 때에 그 정관 운과의 합의 장점이 (쟁합-투합으로 인해) 반감될 소지가 있게 된다.  또한 일간이 기토이면서  월간의 을목이 사주에서 중요한 길신으로 작용하는데  상관인 경금 운이 들어오면,  중요한 을목을 경금이 합하여 묶어두는-무력하게 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그 기간 동안은 (비록 다른 것은 좋더라도)  을목-관살의 영향력은 다소 낮아지게 된다고 본다.

 

  사주에 관이 없거나(無官) 재가 없는데(無財)  정관 운이나 정재 운이 들어오면서 자신과 합하는 경우에,  일간은 자칫 무분별하게 그 운을 (남자를, 여자를, 직장을, 재물을) 붙잡고 보려는 성향을 보일 소지가 있다.  하지만 그럴수록 돌다리도 두들겨보고 건넌다는 자세로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왜?  팔자에 없는 것은 없는 것이니까?  팔자에 없는 것에 집착할수록 힘들어지니까?

 

 

丙 己 甲 壬                甲 己 甲 丙

寅 丑 辰 辰                戌 未 午 申

 

己 甲 甲 己

巳 子 戌 亥

 

  辰월의 기축 일주는 일간 기토가 갑목과 1:1로 순도 높은 합을 이룬 구성이다.  정관 갑목이 적절한 기운을 유지하면서(旺)  일간과 순일하게 합하고, 더 필요한 기운으로도 작용하므로  일간은 정관-목기 분야에 경쟁력이 있고, 정관 성향이 보다 크고 분명해진다.    午월의 기미 일주는 일간 기토가 두 개의 정관 갑목과 합하고,  두 갑목의 기운이 쇠약한(衰) 상태이므로  왼쪽의 사주보다는 갑기합의 가치나 격이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戌월의 갑자 일주는 지지에 근거지를 두고 있는 두 기토와 두 갑목이 합을 공유하고 있는 형상이다.  년간의 정재(첫 여자)는 월간의 친구와 더 가까우니,  일간은 시간의 정재를 잘 지키는데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    세 사주 중에서  ‘자나 깨나 친구-동료-형제 조심’을 우선적인 생활신조로 삼아야할 사람은 (     ) 일주라고 할 수 있다. 

 

 

庚 乙 壬 庚                壬 丙 辛 丁

辰 未 午 申                辰 午 亥 卯

 

丁 壬 甲 癸

未 寅 寅 未

  

  午월의 을미 일주에서 일간은 년간과 시간의 정관-경금과 합한다.  그리고 그 경금은 자기 계절은 아니지만  신금과 진토에 착근하여 힘을 잘 유지하고(旺) 있다.  월간 임수도 자기 계절은 아니지만  금생수를 잘 받아서 신뢰도가 비교적 높은 상태이다. 그래서 초년시절부터 정관 분야에 뜻을 두고 공부에 두각을 나타낼 소지가 높다거나,  직장을 구하는 데는 별 어려움이 없다거나 하는 추론이 가능하다.    亥월의 병오 일주에서 일간은 월간의 신금과 순일하게 합한다. 그런데 정재 신금을 생해주는 진토가 가까이 있지 않아서 그 근기根氣-신뢰도는 비교적 낮은 상태라는 아쉬움이 있다.    寅월의 임인 일주에서 일간은 시간의 정재인 정화와 합한다.  일간 임수는 지지에 근거지가 없어서 아주 약한 상태인데,  정화는 의지처가 든든한 상태이다.  그래서 혹시 연하의 여자가-정화가 유혹이라도 할라치면(미인계) 여자 쪽으로 쉽게 넘어갈 소지가 많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세 사주 중에서 아내를 드러나게 애지중지하면서(애처가) 꼼짝 못하게 휘어잡기도 잘하는 스타일에 가장 가까운 사람은 (     ) 일주라고 할 수 있다.

 

 

乙 戊 庚 癸                丙 戊 癸 甲

卯 戌 申 亥                辰 寅 酉 子

 

戊 戊 癸 乙

午 寅 未 巳

 

  申월의 무술 일주는 천간 네 개가 각자 지지에 근하여 신뢰도가 높은 상태이며,  무토와 계수가 합하고,  경금과 을목이 합하고 있다.  월간의 식신 경금이(꾀가) 정재를 잘 살리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정관 을목을 합하여 무력하게 하는 단점도 있다.    酉월의 무인 일주도 천간 네 개가 각자 지지에 근거지를 두고 있지만 그 양상과 신뢰도의 정도는  앞의 신월의 무술 일주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운을 고려하지 않고 사주만 보면) 돈과 명예, 즉 名利 쪽에는 유월의 무인 일주가 더 경쟁력이 있고,  동업(사업)을 하거나 보증을 서겠다고 하면 우선적으로 못하게 말려야 할 사주는 未월의 무인 일주라고 할 수 있다.    그럼 세 사주 중에서 여자친구가-아내가  본의 아니게 다른 남자와 가까워질 소지가 가장 있는 사람은 누구일까? 

 

 

 

 

 

19. 간지의 합ㆍ충과 기운의 왕ㆍ쇠

 

 

간지끼리 서로 합하고  충하는 관계

기운의 쇠 상태 신뢰도 등을

알아보고,  운 간지의 활용 등 그 쓰임새

(궁합, 진로)를 추론해본다.

 

 

  간지는 서로 합(合)하기도 하고,  서로 충(沖, 衝)하기도 하면서  간지 본래의 고유한 기운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합충에 연관된 간지 기운을 강(强)하게도-왕성(旺)하게도 하고,  약(弱)하게도-쇠약(衰)하게도 만들며,  다른 기운에 가깝게 변화(化) 되게도 한다.

 

  천간의 합에는 甲己합,  乙庚합,  丙辛합,  丁壬합이 있다.  천간의 충에는 甲庚충,  乙辛충,  丙壬충,  丁癸충이 있다.  그리고 지지의 합에는 寅卯辰합,  巳午未합,  申酉戌합,  亥子丑합이 있고,   亥卯未합,  寅午戌합,  巳酉丑합,  申子辰합 등이 있다.  지지의 충에는 子午충,  丑未충,  寅申충,  卯酉충,  辰戌충,  巳亥충이 있다.

 

  합은 서로  화합한다, 뜻이 맞는다, 잘 통한다, 끌린다, 정(情)이 있다, 싸움이 뜸하다 등의 의미이고,  충은 그 반대의 의미이다. 그래서 예를 들어 일주와 월주끼리 서로 합하는 관계이면  주변 사람과 화합을 잘하는 편이라고 추론하고,  서로 충하는 관계이면 그 반대라고 추론한다. 하지만 합도 적절하지 못하면  묶인다, 안주하게 한다, 꼼짝 못하게 한다, 타협만 한다, 무기력하게 한다 등의 단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고,  충도 적절한 경우는 탄력성을 갖게 한다, 자극을 준다, 단련시킨다, 도전하게 한다 등의 장점으로 작용할 수가 있다.

 

  사주 간지의 합과 충의 관계는 대인관계-팀워크-궁합 추론이나 진로설정 등에 활용되고,  운 간지와 연계되어서는 일간의 변동 심리나 충돌 심리 등의 추론에 활용된다.  예를 들어 남자의 일간과 여자의 일간이 서로 합하는 관계이면  궁합 측면에서는 일단 플러스-가산점 요소로 작용한다고 본다. 그리고 일주가 운 간지와 합하는 때는 자발적인 변화가,  운 간지와 충하는 때는 타의에 의한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추론한다. 

 

  간지 기운의 왕(旺)쇠(衰) 상태와 그 신뢰도 가늠은 사주의 질적인 높낮이 가늠의 기초가 된다.  예를 들어 사주에서  사화-관살이 중요한 길신의 역할을 하는데,  주변에 유금과 축토가 있으면  사화가 쇠약하게 되기 때문에 그 신뢰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고,  덩달아 사주의 전체적인 그릇_격格의 크기도 낮아진다고 해석하게 된다.  반면 운 간지로 인해  사화-관살의 신뢰도가 살아나서 사주에 더 좋은 영향을 미치면, 그 기간 동안은 사주의 급級_격格도 높아진다고 해석한다.

 

  천간 기운의 왕쇠 상태와 그 신뢰도는 착근(着根)_통근(通根)_득근(得根) 등과 관련이 있다.  근(根)은 천간이 지지에  '근거지가 있다, 의지처가 있다, 뿌리를 둔다'는 뜻으로,  월지가 해당 천간의 자기 계절이거나  지지에 해당 천간의 견겁과 인수가 있는 경우 등이 주로 해당한다.  예컨대 년간이 갑목이면 월지가 봄철인 경우와  지지에 해, 자, 인, 묘가 있는 경우에 (예외도 있지만)  년간 갑목이 지지에 根했다고 한다.  지지에 근거지를 적절하게 잘 두고 있는 천간일수록, 즉 기운이 旺한 천간일수록  신뢰도가 높고 그만큼 영향력과 지속성도 크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그 천간이 길신에 가까울수록 금상첨화라고 할 수 있다.  착근_통근_득근_통기(通氣) 등은 대략 같은 맥락의 의미로 보면 된다.  또한 월령을 얻었다는 뜻의 득령(得令)지지에 자기 세력이 있다는 뜻의 지(得地),  득세(得勢) 등도 대략 같은 맥락의 의미로 보면 된다.

 

  이 부분의 이론들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合하면 化한다'는 고정된 관점이다.  예컨대 갑목과 기토가 합하면  갑목이 토기로 化(변화)한다거나   사화, 유금, 축토 세 지지가 합하면  사화와 축토가 金氣로 化한다는 등의 내용이다.  그러나 이 부분 역시 수학공식처럼 기계적인 적용을 해서는 안 되며, 반드시 사주마다의 전체적인 구성 상황을 보고  旺,  衰,  化,  여부와 그 신뢰도 정도를 가늠해야 한다.  (사주 간지를 본래의 기운대로  상생상극의 관점에서 보면 되지,  왜 꼭  合化 등의 관점으로 보느냐는 측면도 있다.)  

 

 

1) 제시된 내용들의 타당성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해보자.

 

 ㄱ. 사주에서 일주와 월주가 서로 합하면 평소에 윗사람과 충돌할 소지가 더 많다.  일간과 월간은 합하고, 일지와 월지는 충돌하면 대인관계가 겉으로는 충돌,  현실적으로는 화합일 소지가 많다.

 ㄴ. 충은 항상 단점으로만 작용한다.

 ㄷ. 일간과 일간이 서로 합하는 사이이면  궁합, 팀워크 등에 일단 장점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ㄹ. 일지가 운 간지의 지지와 합하는 때는 자발적인 변화,  충하는 때는 타의에 의한 변화가 일어날 소지가 많다.

 ㅁ. 간지 기운의 질적인 왕쇠 상태나 신뢰도는  사주 그릇_격格의 높낮이,  사주 짜임새의 좋고 나쁨 등의 가늠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다.

 ㅂ. 간지의 기운이 적절하게 왕성할수록 그 영향력이 지속적이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ㅅ. 운 간지에 의해 사주에 더 필요한 간지의 기운이 쇠약해질수록  사주의 격이 높아지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ㅇ. 착근, 통근, 통기, 득근, 득령, 득지, 득세 등은 대략 같은 맥락의 의미로 보면 된다.

 ㅈ. 간지가 합하면 자신의 본래 기운을 잃고 항상 다른 기운으로 변화한다.

 

 

2) 서로 합과  충의 관계에 해당하는 간지를 빈 칸에 써보자.

 ㄱ. 甲[    ]합        乙[    ]합

     丙[    ]합        [    ]壬합

 ㄴ. 甲[    ]충        乙[    ]충

     丙[    ]충        [    ]癸충

 ㄷ. 亥卯(    )합        寅午(    )합

     巳酉(    )합        申子(    )합

 ㄹ. 子[    ]충        寅[    ]충

     卯[    ]충        巳[    ]충

 

 

3) 다음 용어들의 글자(한자어) 뜻과  사주에서의 그 의미를 말해보자.

  合/     沖-衝/     旺/     衰/     化/     根/     格

 

 

  참고- (인터넷) 검색어 :  12운성(運星)-포태법(胞胎法),    왕상휴수사(旺, 相, 休, 囚, 死)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