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간지 결합 ― 육십갑자

 

 

60개의 간지 결합-육십갑자를 쓸 수

있도록 연습하고, 6개의 지지와 결합한

천간들의 형상과 성향 추론, 형상별

대안 찾기를 해본다.

 

 

   회갑잔치 또는 환갑잔치라고 할 때의 회갑(回甲)과 환갑(還甲)은 甲이 돌아왔다는 뜻으로, 출생한 해의 간지와 동일한 간지가 다시 돌아왔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출생한 해의 간지가 갑자였다면 다시 갑자라는 간지가 돌아오는 해가 회갑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다음 갑자년이 되기까지는 일정한 간지 진행 과정이 있고, 그 과정은 천간-지지 결합 원칙과 순서에 의해 정해진다.

 

   천간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甲,  乙…… 와 지지 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  子,  丑…… 는 결합하여 짝을 이룬다. 이렇게 천간과 지지가 결합하여 서로 작용하는 과정에서 비로소 새로운 가치가 창출된다.

 

   간지 결합은 천간과 지지의 순서대로 하나씩 이루어진다. 먼저 천간의 첫 번째인 甲과 지지의 첫 번째인 子가 결합하여 甲子가 되고,   천간의 두 번째인 乙과 지지의 두 번째인 丑이 결합하여 乙丑이 되며,   세 번째인 丙과 寅이 결합하여 丙寅이 된다. 이러한 원칙에 의해 그 다음은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甲戌…… 이 된다.

 

   이렇게 계속 진행하다 보면 60번째 결합은 癸亥가 되고 61번째는 최초 결합인 甲子가 된다. 따라서 간지 결합은 모두 60개이고, 천간 1개는 지지 6개와 결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초 결합이 甲子이므로 간지 결합을 육십갑자(六十甲子)-육갑(六甲)이라고 통칭하며, 甲木을 기준하여 甲木이 지지와 결합하는 甲子,  甲戌,  甲申,  甲午,  甲辰,  甲寅을 선두로 하는 각각 10개씩의 여섯 줄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이 60개의 간지 결합체 중 자신이 출생한 年ㆍ月ㆍ日ㆍ時별로 1개씩 4개의 간지 결합(글자로는 8자)을 갖게 되는데, 이것은 이미 정해진 것으로서 임의로 바꿀 수 없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사주팔자(四柱八字)인데, 사주를 정확히 감정(해석)하려면 이 네 간지 결합의 상호 ‘작용과 반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구성변화적으로 다양한 형상들을 분석하고, 분석된 형상들의 최적화를 위해 필요한 형상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전단계로 지지와 결합하고 있는 천간의 독립개체적인 형상과 성향, 나아가 그 형상이 요구하는 대안 결합을 찾게 된다. 예를 들어 午와 결합한 庚, 즉 庚午가 불에 더 녹아야 할 구성이라면 화력이 강해진 丙午, 丁巳 등의 결합을 대안으로, 강철 같은 강도가 더 필요한 구성이라면 금속성이 강한 庚申, 辛酉 등의 결합을 대안으로 추천하는 식이다.

 

 

▣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 간지는 천간과 지지 각각의 순서대로 결합하며 천간 1개는 5개의 지지와 결합한다.

- 간지 결합은 첫 번째 결합과 60번째 결합이 같다.

- 천간의 독자적인 성향과 지지와 결합한 상태의 성향은 서로 차이가 없다.

 

 

▣ 다음 간지 결합의 바로 앞과 뒤에 오는 간지 결합을 말해보자.

  乙丑/    戊辰/    甲戌/    己卯/    癸未/    丁亥/    庚寅

 

 

  참고: 앞에서 추론해본 천간 성향의 장점과 단점은 천간이 어떤 지지와 결합하느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각각의 지지와 결합한 상태의 천간 성향도 ‘그렇게 추론될 수도 있구나’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다. 그리고 대안 형상 찾기도 단계적으로 차차 학습하게 되므로 ‘대안이란 그런 거구나’ 정도로 이해하고, 여기서는 천간 형상 연상하기에 비중을 두도록 한다. 간지 결합-육십갑자에서 예로 든 천간 형상은 말 그대로 예일 뿐이다. 이 예를 바탕으로 더 심도 있는 형상과 성향을 추론할 수 있어야 한다. 

 

 

갑자줄 간지 결합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甲子 즉 子와 결합한 甲은 독립개체적으로 보면 냇가의 노송이나 사철나무 형상으로, 꿋꿋하고 당당하지만 쓸쓸해하고 외로움을 많이 타는 성향이다.

 

  乙丑 즉 丑과 결합한 乙은 음지의 보리싹 형상으로, 때를 기다리는 인내력은 강하지만 방해요소에 대항하지 못하고 꺾이기 쉬운 성향이다.

 

  丙寅 즉 寅과 결합한 丙은 마른 장작에 옮겨붙은 불길이나 횃불, 나무에 핀 큰꽃의 형상으로, 환하고 향기롭지만 금방 꺼져버리기(져버리기) 쉽고 조급해하는 성향이다.

 

  丁卯 즉 卯와 결합한 丁은 모깃불이나 아직 피지 않은 꽃망울의 형상으로, 겉으로는 맵시 있고 여유만만하지만 속으로는 오리무중이고 답답해하는 성향이다.

 

  戊辰 즉 辰과 결합한 戊는 거대하지만 부드럽고 무른 흙더미 형상으로, 외견상으로는 중후해도 결정적일 때 뿌리가 흔들리기 쉬운 성향이다.

 

  己巳 즉 巳와 결합한 己는 아궁이 속의 흙이나 가뭄의 전답 형상으로, 단단하고 야무지지만 포용력의 한계를 드러내기 쉬운 성향이다.

 

  庚午 즉 午와 결합한 庚은 달궈지는 화로나 그을리는 무쇠솥 형상으로, 변혁을 추구하지만 겉만 변할까 염려되는 성향이다.

 

  辛未 즉 未와 결합한 辛은 사막의 반짝거리는 자전거 형상으로, 도전의식은 있지만 선택을 두고 갈등하는 성향이다.

 

  壬申 즉 申과 결합한 壬은 솟구치는 광천수맥과 같은 형상으로, 신선하지만 냉하고 톡 쏘는 성향이다.

 

  癸酉 즉 酉와 결합한 癸는 바위틈에서 솟아나는 약수 형상으로, 시원하고 친근하지만 물빠짐이 좋지 않고 오염되기 쉬운 성향이다.

 

 

1) 甲子에서 癸酉까지 순서대로 완성해보자.

  [甲子]     [     ]     [丙寅]     [     ]

  [戊辰]     [     ]     [庚午]     [     ]

  [     ]     [     ]

 

2) 거꾸로 癸酉에서 甲子까지 순서대로 완성해보자.

  [癸酉]     [     ]     [辛未]     [     ]

  [己巳]     [     ]     [丁卯]     [     ]

  [乙丑]     [     ]

 

3) (예)처럼 제시된 간지의 천간 형상에 어울리는 간지 결합을 있는 대로 쓰고, 그 이유도 간략히 적어보자.

  (예) 활활 타오르고 싶은 그녀 丁卯     [丙寅: 불쏘시개로 최적]

 ㄱ. 장대비를 애타게 기다리는 己巳     [      ]

 ㄴ. 녹아서 새 형질이 되고 싶은 庚午     [      ]

 ㄷ. 여름 저수지에 물이 되고 싶은 癸酉     [      ]

 ㄹ. 쇠로 맞으면서 불에 데고 싶은 甲子     [      ]

 ㅁ. 따뜻하게 기댈 곳이 그리운 乙丑    [      ]

 

 

  해설: 본문에 있는 10개의 간지 결합체 중에서 다음 ㄱ.과 같이 추론하여 찾으면 된다.

ㄱ. 己巳 결합은 밑에서 巳(뜨거운 불)가 己를 달구는 형상으로, 독립개체적으로 가뭄철의 말라가는 논과 밭에 비유된다. 그래서 장대비를 애타게 기다리는 상태로 본다. 장대비는 물이다. 물과 관계된 결합에는 갑자, 임신, 계유가 있다. 그런데 갑자에서 지지 子는 나무뿌리 주변의 양이 적은 물에 비유된다. 그나마 대부분 나무로 흡수되는 형상이니 충분한 수량은 아니다. 때문에 계속 솟아나는 물의 형상 또는 하늘에 있는 물(비)의 형상인 임신이나 계유 결합이 대안에 해당한다고 본다.

ㄴ. 丙寅―잘 타는 불 강한 불, 정묘의 丁은 卯가 물이 오른 땔감이라 병인에 비해 연기가 많고 잘 타지 않는 불의 형상으로 본다.      ㄷ. 戊辰ㆍ己巳―물을 막는 제방      ㄹ. 庚午―庚은 쇠, 午는 불      ㅁ. 丙寅―丙은 따뜻함, 寅은 큰 나무

 

 

 

 

 

오에서 해까지 읽고 쓰기

[] [    ]          [미] [    ]

[] [    ]          [] [    ]

[] [    ]          [] [    ]

 

  午는 한여름 흥건히 땀나게 하는 마르고 더운 화기나 열기 등의 형상으로 후끈하고 달아올라 기폭제가 되어주므로, 홍보, 광고, 이벤트, 조명 분야, 가스, 전열 난방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未는 비 한방울 오지 않는 가뭄에 단단하게 굳어 있는 마르고 더운 땅의 형상으로, 이 땅에 작물을 새로 재배하기는 어렵다. 물막이 공사나 댐 건설, 택지 등의 용도로 적합하다.

 

  申은 고추잠자리가 날기 시작하는 이른 가을의 선선하고 습한 무쇠의 형상으로, 천간 처럼 고속철도나 교량 등의 기간산업이나 조직의 중추적인 용도에 적합하다.

 

  酉는 가을철 늦은 오후의 찬 기운으로, 잘 가공된 냉하고 습한 소형 금속, 금은세공품 형상이다. 기간산업 용도보다는 천간 처럼 반도체, 항공기, 시계 등의 정밀부품 용도에 적합하다.

 

  戌은 늦은 가을(환절기) 햇빛 받아 마르고 따뜻해진 땅의 형상으로, 씨앗을 갈무리하고 월동준비(겨울잠)하기 좋은 토질이다. 저축, 연금보험, 재고관리, 습지 매립 용도에 적합하다.

 

  亥는 이른 겨울 동식물이 겨우살이를 위해 비축하는 차고 습한 물의 형상으로, 천간 처럼 업소용 대량 식수나 목욕탕 용수 등에 적합하다.

 

 

독립개체적으로 볼 때 다음의 이미지에 가장 가까운 지지를 써보자.

 ㄱ. 제방처럼 뚝심은 강한데 어쩐지 감정·감성은 무딘 듯한 이미지   [    ]

 ㄴ. 만물을 추수하지만 정작 자신은 소유하지 않는 봉사적인 이미지   [    ]

 ㄷ. 금붙이처럼 반짝이며 멋내고 싶고, ()처럼 파고드는 이미지   [    ]

 ㄹ. 샌님, 귀공자 스타일이기보다는 무쇠돌이나 의적 스타일의 이미지   [    ]

 ㅁ. 깊이를 알기 어려운 유동성이 있고 순리적으로 일처리하는 이미지   [    ]

 ㅂ. 분위기를 썰렁하게 하지 않고 잘 살려서 달아오르게 만드는 이미지   [    ]

  

  해설: . 未      . 戌      . 酉      . 申      . 亥      .

 

 

  

   연 습 문 제

 

 

01 다음 지지를 차례대로 읽어보자.

戌       申       亥       午       辰       丑

卯       未       巳       酉       子       寅

 

 

02 지지 에서 까지 순서대로 써보자.

[]   [    ]   [    ]   [    ]   [    ]   []

[    ]   [    ]   [    ]   [    ]   [    ]   []

 

03 거꾸로 지지 에서 까지 순서대로 써보자.

[]   [    ]   [    ]   [    ]   [    ]   []

[    ]   [    ]   [    ]   [    ]   [    ]   []

 

 

04 지지의 냉 · , · 습 여부를 해당 칸에 로 표시해보자.

 

구분

구분

 

 

 

 

 

 

 

 

 

 

 

 

 

 

 

 

 

 

 

 

 

 

 

 

 

 

 

 

 

 

 

 

 

 

 

 

 

 

 

 

 

 

 

 

 

 

 

 

 

 

 

  해설: 지지의 냉온, 건습 상태 구분은 본문에 나와 있다. 왜 그렇게 구분되는지 상징물과 연관하여 생각하면서 찾아 써보자. 구분이 애매한 부분도 있다냉은 한(),  온은 난()ㆍ열(熱)건은 조()라고도 하며,  12지지는 입춘()에서 소한()까지의 12절기(節氣)를 상징한다. 독립개체적인 지지 기운은 해당 절기 기운 및 오행 기운과 연계될 수 있다.

 

 

05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천간이 꽃과 열매에 비유된다면 지지는 줄기와 뿌리에 비유된다.

 ㄴ. 독립개체적으로 보다는 가 더 냉습하고 단단한 흙으로 상징된다.

 ㄷ. 독립개체적으로 보다는 이 더 냉습하고 단단한 흙으로 상징된다.

 ㄹ. 독립개체적으로 보다는 이 더 건조하고 불에 잘 탄다고 본다.

 ㅁ. 는 독립개체적으로나 구성변화적으로나 보다 강한 화력을 자랑한다.

 ㅂ. , 는 둘 다 녹슬지 않지만 그 정도는 보다는 가 더 그렇다.

 ㅅ. 나무를 키우는 데는 보다 가 더 긴요하게 쓰이지만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ㅇ. , , , , , , 보다 규모나 용량이 작은 용도에 알맞다.

 ㅈ. 천간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징물(형상)이 지지에는 없다.

 ㅊ. 더 필요로 하는 지지가 튼튼한 형상이면 실속있게 노력하는 성향이 있다.

 ㅋ. 필요로 하지 않는 지지가 튼튼한 형상이면 노력이 산만해지는 성향이 있다.

 

 

 

  해설: . 냉습하지 않고 건온하다.   . 단단하지 않고 무르거나 찰기가 있다.    . 보다 강한 경우도 있고 약한 경우도 있다.    . 큰 용도에도 적합한 경우가 있다.    . 있다. (예를 들어 천간 과 지지 , 천간 과 지지 는 서로 유사한 자연 상징물이다. 이는 곧 학습하게 될 간지의 음양 구분에 근거한다.)

 

 

06 자연은 봄과 가을의 관계처럼 대칭적인 것을 좋아한다. 그런데 봄은 언제부터 언제까지 일까? 과학적으로 일·시까지 정확하게 정할 수 있을까? 만약 그렇다면 그 기준이 무엇인지 생각해보자.

 

 

07 다음 이미지에서 보이거나 연상될 수 있는 지지를 모두 말해보자. 그리고 그 지지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보자.

    

 

 

 

  참고: 역학(易學)-역술(易術)3대 분야는 주역(周易), 사주(四柱), 풍수(風水)라고 할 수 있다. 사주가 천간과 지지 즉 간지(干支)의 세계라면, 주역은 괘()와 효()의 세계이다. 사주가 일정한 날짜(생일)에 배분된 간지의 조합(組合) 관계를 추론한다면, 주역은 대나무 가지를 고르거나 동전을 던지는 등의 방법으로 선택한 괘()를 해석한다. 풍수는 산세나 지세를 살피는 지리(地理)의 세계다. 이러한 주역, 사주, 풍수를 일컬어 인간을 중심으로 한 하늘과 자연과 땅의 이치라고도 한다. 한편 토정비결(土亭秘訣)은 주역의 괘와 사주의 간지를 합한 내용 등으로, 장점도 있지만 그 깊이에 있어서 이도 저도 아닐 수 있는 단점이 있다

 

 

 

 

 

 

2. 지지

 

 

지지를 읽고 쓰면서 독립개체적인

자연 상징물을 연상해본다. 나아가 그

상징 기운이 냉한지 더운지, 건조한지

습한지 알아보고, 쓰임새(용도)를

추론해본다.

 

 

   토끼띠 돼지띠 등 우리가 흔히 쓰는 ‘띠’라는 용어는 태어난 해(年)의 간지 중 지지(地支)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 종류는 지지와 마찬가지로 열두 가지이다.

   이처럼 띠에 해당하는 지지도 사주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사주명리에서는 띠를 동물에 비유한, 예를 들어 돼지띠는 밥을 많이 먹는다는 식의 고정적인 해석에는 의미를 두지 않는다. 사주 네 기둥의 간지는 동물이 아니라 木·火·土·金·水의 오행 관점에서 성립되고 해석되기 때문이다.

  

   1년이 12개월, 시간이 12시간 단위로 되어 있는 것도 지지와 연관이 있다. 그래서 지지를 12支라고도 한다. 지지는  子(자),   丑(축),   寅(인),   卯(묘),   辰(진),   巳(사),   午(오),   未(미),   申(신),   酉(유),   戌(술),   亥(해) 이다.

 

   지지는 천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형상과 성향을 추론할 뿐만 아니라, 냉온(冷溫) 건습(乾濕) 여부 및 그 정도를 가늠하는데 더 큰 비중을 두게 된다. 이를테면 다음의 예문과 같다.

 

 

   “오늘 하루도,  얼음장 밑 냉수(子)처럼 차가운 이성으로,  인동초와 벗하는 얼어붙은 흙(丑)처럼 야무진 의지로,  쭉 뻗은 키 큰 소나무(寅)처럼 경쾌한 몸놀림으로,  어디든 뿌리내리는 들풀(卯)처럼 질긴 생명력으로,  봄비에 젖은 흙(辰)처럼 먼지 없는 감성으로,  오월 어느 구름 낀 날 나왔다 들어갔다 도무지 종잡을 수 없는 햇빛(巳)처럼 밉지 않는 변덕으로,  장미의 계절 대낮의 열기(午)처럼 불타는 열정으로,  장마철 거친 물살을 막아주는 단단한 흙(未)처럼 믿음직한 버팀으로,  수십 층 건물을 떠받치는 대들보인 철골구조물(申)처럼 탄탄한 근성으로,  우주선의 부품(酉)처럼 치밀한 논리로,  갈무리하기 좋은 마르고 온기 있는 흙(戌)처럼 적절한 포용력으로,  만물을 살찌우는 자양분 물(亥)처럼 조직의 윤활유로,  혼신을 다해 운명개척 합시다.”

 

 

   냉기-열기,  마른 흙-젖은 흙 등  각각 ·온건·습한 성질을 갖고 있는 자기의 본래 자연 상징물이 주변의 다른 간지의 영향을 받으면 질적으로 정반대 상태로도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립개체적(體)으로 찬물인 子가 구성변화적(用)으로는 뜨거운 수증기가 되기도 하고,  온기 있는 땅인 戌이 구성변화적으로는 냉랭한 땅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사주 구성)에 체(體)와 용(用)이 달라지는 지를 알아야 하는데, 이 부분은 차차 학습하도록 하고, 여기서는 ‘도(道)는 體와 用이니 한 가지로 집착하지 말라’는 말을 새기도록 하자.

 

 

▣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 12개의 띠, 12개월, 12시간 단위에서 12라는 숫자는 천간에서 비롯된 것이다.

 - 냉·온과 건·습 여부는 지지에만 적용될 뿐 천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지지의 자연 상징물, 냉·온과 건·습 여부, 성향 등은 고정적이다.

 

 

▣ 다음 지지의 독립개체적인 자연 상징물 형상과 여부를 생각해보자.

 丑/      辰/      未/      戌/      寅/      卯/      申/      酉/      巳/      午/      亥/      子

 

 

  참고: 12개의 띠-12支神만을 기준으로 해서 단편적으로 보는 것들에는 도화살, 역마살, 삼재살 그리고 신문잡지의 오늘의 운세 등이 있다. 이러한 내용들은 사주의 전체적이고 종합적인 구성변화적 분석을 한 후에 경우에 따라 참고하기도 한다. 기타 수많은 단편적인 신살(神殺),  **귀인貴人,  **성星 등으로 불리는 것들도 마찬가지이다. 흔히 神, 귀인 등은 길함을,  殺은 흉함을 통칭하지만 사주 구성에 따라 殺이 길함으로,  神이 흉함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자에서 사까지 읽고 쓰기

子[자] [    ]          丑[축] [    ]

寅[인] [    ]          卯[묘] [    ]

辰[진] [    ]          巳[사] [    ]

 

  子는 독립개체적으로 한겨울 냉하고 습한 물의 형상이다. 따라서 나무를 키우는 데는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지만 긴 밤 목마른 사람들의 갈증을 해소해주는 청량음료, 각종 주류 등의 용도로는 적합하다고 추론할 수 있다.

 

  丑은 늦은 겨울 얼어붙은 냉하고 습한 땅 즉 물이 얇게 깔린 음지의 형상으로, 씨를 뿌리고 작물을 재배하기보다는 스키장, 스케이트장, 미꾸라지 양식장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寅은 이른 봄 아직 물이 오르지 않은 굳건하고 건조한 나무의 형상으로, 불에 잘 타고 냉기와 습기를 잘 흡수하므로 성냥 등의 인화 물질이나 물 먹는 흡수지 또는 숯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卯는 봄철 완연히 물이 올라 다소 냉하고 습해진 초목의 형상으로 어디든 뿌리를 잘 내리고 탄력이 있다. 따라서 영업, 서비스업, 창업도우미, 약초 재배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辰은 늦은 봄(환절기) 몇 겹으로 쌓인 낙엽 밑의 차갑고 축축한 땅의 형상이다. 작물이 자라기 좋은 토질이므로 분갈이용 흙, 묘목판, 인삼밭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巳는 건조하고 따뜻한 불의 형상으로, 5월 아침저녁의 냉기와 대낮의 더운 날씨처럼 긴 팔 짧은 팔을 번갈아 입게 하므로 분장사, 패션코디, 냉온풍기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 독립개체적으로 볼 때 다음의 이미지에 가장 가까운 지지를 써보자.

 ㄱ. 냉하지만 때를 기다리는 사람(인동초)을 감싸고 벗하는 이미지   [    ]

 ㄴ. 기온 차이가 심한 날씨처럼 옆사람을 햇갈리게 만드는 이미지   [    ]

 ㄷ. 음침한 분위기를 경쾌하고 새로운 분위기로 잘 바꾸는 이미지   [    ]

 ㄹ. 한껏 달아오른 분위기를 순식간에 차갑게 바꿔버리는 이미지   [    ]

 ㅁ. 물이 올라 휘는 맛(애교)이 있고 잘 적응하는 이미지   [    ]

 ㅂ. 봄비로 촉촉해진 들판처럼 만물을 포용하는 넉넉한 이미지   [    ]

 

 

  해설: 지지도 천간의 경우처럼 자연 상징물에서 느껴지는 성향과 냉-온건-습 상태에 따른 다양한 쓰임새를 추론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사주에서 더 필요로 하는 지지가 무엇이냐에 따라 진로분야 설정 등에 활용될 수 있다.

  ㄱ. 丑      ㄴ. 巳      ㄷ. 寅      ㄹ. 子      ㅁ. 卯      ㅂ. 辰

 

 

 

 

 

기에서 계까지 읽고 쓰기

己[기] [    ]          庚[경] [    ]

辛[신] [    ]          壬[임] [    ]

癸[계] [    ]

 

  己는 작지만 잘 정리된 논과 밭, 즉 전답의 형상이다. 때문에 선택된 사람들이 더 잘 성장할 수 있는 터전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조건이나 입맛에 맞는 사람만을 포용하는 등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庚은 크고 가공되지 않은 무쇠의 형상이다. 때문에 과감하고 냉철하며, 철골구조물이나 중장비처럼 산업현장과 조직의 근간(뼈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포근한 구석이 없고 공격적이며 지나치게 원칙만 추구한다.

 

  辛은 작고 가공된 금속의 형상이다. 때문에 주도면밀하고 치밀하며, 핵심 부품처럼 긴요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면도날처럼 날카롭고 타산적이며, 티나게 깔끔하고 잘난 체하는 단점이 있다.

 

  壬은 깊고 넓은 물의 형상이다. 때문에 흐르는 강물처럼 유동적이고 호수나 바다처럼 탁 트였으며 시원시원하다는 느낌을 준다. 그러나 깊은 물처럼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고 장마비처럼 우울하며, 화가 나면 불어나는 큰물처럼 앞뒤를 안 가린다는 단점이 있다.

 

  癸는 얕고 좁은 물의 형상이다. 때문에 식수와 같은 생명수의 역할을 하고 약수처럼 갈증(갈등)을 해소해주며, 가뭄에 내리는 한줄기 단비처럼 조직의 윤활유가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가을 가랑비처럼 싸늘하고 혼탁해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 독립개체적으로 볼 때 다음의 이미지에 가장 가까운 천간을 써보자.

 ㄱ. 전부가 아니라 조건에 맞는 일부만 키워내려는 창업 인큐베이터   [     ]

 ㄴ. 원형, 원판, 원칙, 의미, 취지, 기초 등을 중시하는 냉철한 이미지   [     ]

 ㄷ. 주변의 더 큰 동일 성분에 흡수되어 주체성을 잃기 쉬운 이미지   [     ]

 ㄹ. 반도체 부품, 절삭 공구, 금형, 다이아몬드, 칼, 결벽증 이미지   [     ]

 ㅁ. 방해자 없는 곳으로 거침없이 흘러가야만 만족할 듯한 이미지   [     ]

 

 

 해설: 뼈를 깎는 각오로 혁신해야 한다고 할 때, 같은 조건이라면 혁신의 칼자루를 쥐는 사람은 庚이 더 적합할 것이다. 사주 구성에 따라 변화의 차이가 있지만 고유의 성향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ㄱ. 己         ㄴ. 庚         ㄷ. 癸         ㄹ. 辛         ㅁ. 壬

 

 

  

   【 연 습 문 제 】

 

 

01 다음 천간을 차례대로 읽어보자.

辛        戊        癸        己        乙

        庚        甲        壬        丙

 

 

02 천갑 甲에서 癸까지 순서대로 써보자.

[甲]     [    ]     [    ]     [    ]     [戊]

[    ]     [    ]     [    ]     [    ]     [癸]

 

 

03 거꾸로 천간 癸에서 甲까지 순서대로 써보자.

[癸]     [    ]      [    ]     [    ]     [己]

[    ]     [    ]     [    ]      [    ]     [甲]

 

 

04 특정 형상(ㄱ. ~ ㅇ.)에 어울리는 대안 제시(a. ~ h.)를 찾아 빈 칸에 써보자.

 

ㄱ. 꺼지는 모닥불 형상 (  d  )     ㄴ. 무성한 잡목 형상 (    )     ㄷ. 신라시대 금관 형상 (    )     ㄹ. 바싹 마른 논밭 형상 (    )     ㅁ. 장마철 홍수 형상 (    )     ㅂ. 얼어붙은 음지 형상 (    )     ㅅ. 고갈된 식수 형상 (    )     ㅇ. 기름에 불붙은 형상 (    )  

 

a. 평소에 톱, 칼(庚-辛)로 적절히 손질     b. 습기(壬-癸)와 화기(丙-丁)에 주의     c. 평소에 제방(戊-己), 배수관리 잘하기     d. 평소에 땔감(甲-乙)을 충분히 준비     e. 평소 관개용수(壬-癸) 개발에 노력     f. 젖은 모래나 흙(戊-己)을 끼얹는다.     g. 따뜻한 햇살(丙-丁)을 가까이 한다.     h. 광산(庚-辛) 암반에 고인 물 활용    

 

 

  해설: 알고자 하는 사람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사실을 확인하고, 확인된 모습을 어떻게 가꿀 것인지 대안을 찾는 문제이다.  ㄱ. 땔감(甲乙)     ㄴ. 칼(庚辛)     ㄷ. 습기(壬癸)와 화기(丙丁)     ㄹ. 관개용수(壬癸)     ㅁ. 제방(戊己)     ㅂ. 햇살(丙丁)     ㅅ. 광산(庚辛)     ㅇ. 흙(戊己)

 

 

05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독립개체적으로 乙보다는 甲이 더 유연하고, 붙임성이 있다고 본다.

 ㄴ. 독립개체적으로 丙보다는 丁이 더 은근하고 다소곳한 성향에 가깝다.

 ㄷ. 구성변화적으로는 己가 戊보다 더 포용력이 있고 원만한 경우도 많다.

 ㄹ. 독립개체적으로 辛이 庚보다 깔끔하고 예쁘게 꾸미는 형상이다.

 ㅁ. 구성변화적으로 癸가 壬보다 수량이 더 많고 유동적인 경우는 없다.

 ㅂ. '더 필요로 하는' 천간이 튼튼한 형상이면 목표가 크고 분명한 성향이다.

 

 

  해설: ㄱ.甲보다는 乙이      ㅁ.있다     

ㅂ.에서 '더 필요로 하는' 천간은 길신(吉神)-용신(用神) 등과 관련이 있다.  길신은  '사주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기운' 이라는 의미이다.  여기서는 길신 또는 용신이 천간이고 질적으로 튼튼한 형상이면 그렇지 못한 경우보다 목표나 이상이 크고 분명한 경우가 많다 정도로만 이해하면 된다.  사주명리에서 언급되는 神은 기운(氣)을 뜻한다. 

 

 

06 독립개체적으로 丙은 불의 자존심이고, 壬은 물의 자존심이다. 물은 불을 꺼뜨리고, 불은 물을 끓인다. 남녀가 각각 丙壬인 경우의 성격 차이를 생각해보자.

 

 

07 다음 이미지에서 보이거나 연상될 수 있는 천간을 모두 말해보자. 그리고 그 천간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보자. 

        

 

 

  해설: 이미지에서 보는 것처럼 어느 것 하나 가치 없는 것이 없다. 하나하나가 모두 가치가 있고 소중하다. 그리고 서로가 상호작용을 하며 그 가치를 더해간다. 사주도 그렇다. 어느 사주 하나 가치 없는 것은 없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