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오행1
간지를 오행으로 구분해보고,
오행 기운이 상징하는 자연물ㆍ계절ㆍ
방위ㆍ업무단계ㆍ인체ㆍ색상 등과
오행별 특징 성향을 추론해본다.
천간과 지지의 독립개체적인 형상들은 木ㆍ火ㆍ土ㆍ金ㆍ水라는 오행(五行)으로 크게 구분되고, 음양(陰陽)에 의해 차별화된 것이다. 오행은 다섯 가지 기운을 말하고, 음양은 기운의 양면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戊는 독립개체적으로 크고 넓은 땅이고, 己는 작고 좁은 땅의 형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여기서 땅은 오행의 구분이고, 크다ㆍ작다는 음양의 구분에 해당한다. 음양과 오행은 동시성을 띠므로 음양에 의해 먼저 구분되고 오행으로 세분된 것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천간 甲ㆍ乙은 木(나무), 丙ㆍ丁은 火(불), 戊ㆍ己는 土(흙), 庚ㆍ辛은 金(쇠), 壬ㆍ癸는 水氣(물)로 상징된다.
그리고 지지 寅ㆍ卯는 木, 巳ㆍ午는 火, 辰ㆍ未ㆍ戌ㆍ丑은 土, 申ㆍ酉는 金, 亥ㆍ子는 水氣로 상징된다.
이제부터는 간지 뒤에 오행이 따라붙게 된다. 甲은 그냥 甲이 아니라 甲木, 戌은 그냥 戌이 아니라 戌土, 丙은 丙火, 亥는 亥水, 酉는 酉金으로 부르게 된다. 말하자면 간지의 일정한 소속이 정해지는 셈이다. 이는 간지가 오행으로서 어떤 상태이고 어떤 가치를 지니는지 분석하는 시초가 된다.
한편 주변의 사물이나 계절, 하루의 시간대, 업무단계, 색상, 방향, 인체 등도 그 주된 구성성분과 기운 또는 이미지 등에 따라 오행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이를테면 다음 예문과 같다.
“단정한 머리(木)에 청(木)바지를 입고, 둥근(土) 안경(火)을 쓴 그녀는 서(金)북(水)쪽 방향의 학교에 가려고 버스를 탄다. 창가에 앉아 늦여름(火ㆍ土) 정오(火)무렵의 거리(土)를 바라보면서, 노란(土) 손수건으로 콧잔등(金)의 땀(水)을 닦는 손(木)이 유난히 하얗다(金). 곱고 흰 손이 더 냉정(金ㆍ水)하다는 것을 알지만 그래도 그런 그녀가 좋기만 하다.”
예문에서 머리카락은 나무처럼 자라는 기운이 있어서 목기(木氣)에 해당하고, 청바지의 청은 나무의 주된 색이므로 木氣, 둥글다는 것은 땅의 이미지에 가까우므로 토기(土氣), 안경은 눈(火)을 더 밝게 하는 기운이므로 화기(火氣), 냉정하다는 것은 쇠와 물의 주된 기운이므로 금기(金氣)와 수기(水氣)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시작의 기운인 봄ㆍ동쪽ㆍ새벽ㆍ계획 등은 木氣로 구분되고, 기운의 순차적인 진행에 따라 火氣(여름ㆍ남쪽) → 土氣 → 金氣 → 水氣(겨울ㆍ북쪽ㆍ밤ㆍ흑색ㆍ평가ㆍ저장)로 구분된다. 또 인체의 오장육부와 세부 부위는 동양의학의 구분에 따른다. 한편 학교나 집 등은 복합물이므로 오행에 따른 구분과 곧 학습하게 될 육친(六親)에 따른 구분을 병행할 수도 있다.
▣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 자연물 형상인 간지는 그 속성이 오행으로 대별되고 음양으로 차별화된다.
- 안경테가 금테라면 안경은 火氣는 물론 金氣로도 구분이 가능하다.
- 복합물은 그 구성성분의 비율에 따라 오행 구분이 달라질 수 있다.
▣ 다음 간지의 독립개체적인 상징물 형상을 연상하면서, 오행 기운을 말해보자.
乙/ 丙/ 己/ 庚/ 癸/ 丑/ 亥/ 巳
참고: 주변의 기운이 왜 꼭 오행으로만 구분되느냐, 사행도 되고 육행도 되지 않느냐는 의문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실생활 속에서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고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기운은 木ㆍ火ㆍ土ㆍ金ㆍ水라는 오행 기운이다. 사행이나 육행, 십행은 안 된다는 것이 아니라 오행이 가장 합리적이고 보편적인 기운이기 때문에 그렇게 구분한 것이다. 어떤 물상(物像)이 ‘왜 꼭 그 오행으로만 구분되느냐’ 하는 의문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천간의 오행 구분
木―甲ㆍ乙 火―丙ㆍ丁
土―戊ㆍ己
金―庚ㆍ辛 水―壬ㆍ癸
木氣는 시작(새싹)하는 기운으로 봄, 새벽ㆍ동틀 무렵, 본격적으로 기획하고 계획하는 단계, 청색(blueㆍgreen)계열, 동쪽방향, 간(肝), 직선적인 이미지 등을 상징한다.
火氣는 성숙(꽃)되는 기운으로 여름, 해가 중천인 대낮, 전개하고 추진하는 단계, 적색(red) 계열, 남쪽방향, 심장, 역삼각형의 이미지 등을 상징한다.
土氣는 조정하고 중화되는 기운으로 환절기, 오후와 밤 등의 경계 시간대, 조정하고 협조하는 단계, 황색(yellow)계열, 중심(중앙)방향, 위(胃), 둥글둥글한 이미지 등을 상징한다.
金氣는 추수(열매)하는 기운으로 가을, 오후ㆍ노을질 무렵, 결과를 보고 마무리하는 단계, 흰색(white)계열, 서쪽방향, 폐(肺), 각(角)진 이미지 등을 상징한다.
水氣는 씨앗을 저장하고 쉬면서 준비하는 기운으로 겨울, 밤, 흑색(black)계열, 북쪽방향, 신장, 타원형 이미지 등을 상징한다.
1) 천간의 오행을 구분해보자.
甲[木] 乙[ ] 丙[ ] 丁[ ]
戊[ ] 己[土] 庚[ ] 辛[ ]
壬[ ] 癸[ ]
2) 표의 빈칸에 각 오행 기운이 상징하는 것을 써보자.
구분 |
木 |
火 |
土 |
金 |
水 |
계절 |
봄 |
|
|
|
|
하루 |
|
낮 |
|
|
|
업무 |
|
|
조정단계 |
|
|
색 |
|
|
|
|
|
방위 |
|
|
|
서쪽 |
|
인체 |
|
|
|
|
신장 |
해설: 각 오행 기운이 왜 그렇게 상징될 수 있는지 생각하면서 본문을 참고하도록 한다. 이렇게 구분된 상징적인 기운들은 구체적인 사주 구성에서 더 필요한 오행이 무엇이냐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사주에서 水氣보다 火氣가 더 필요한 오행이면 black계열보다 red계열을 가까이하는 것 등이다.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5_1 간지의 음양 구분과 음양 성향 추론하기 (1) (0) | 2015.07.06 |
---|---|
4_2 간지의 오행 구분과 오행별 특징, 성향 이해하기 (2) (0) | 2015.07.02 |
3_4 간지결합 연습과 육십갑자 형상별 성향, 대안 추론하기 (4) (0) | 2015.06.23 |
3_3 간지결합 연습과 육십갑자 형상별 성향, 대안 추론하기 (3) (0) | 2015.06.19 |
3_2 간지결합 연습과 육십갑자 형상별 성향, 대안 추론하기 (2) (0) | 2015.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