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 습 문 제 】
01 생과 극이 태과(太過) 불급(不及)한 경우의 오행 관계이다. 빈칸을 완성해보자.
水多[ ]浮 水多[ ]流 水多[ ]沈
木多[ ]熄 木多[ ]缺 木多[ ]縮
火多[ ]燋 火多[ ]熱 火多[ ]焚
土多[ ]埋 土多[ ]折 土多[ ]盡
金多[ ]濁 金多[ ]衰 金多[ ]薄
해설: 어려운 한자어 자체에는 의미를 두지 말고, 전체적인 뜻만 대략 이해하면 된다. 不及은 술을 따를 때 넘치지 않아야 한다고 해서 중간 정도 그야말로 방정맞게 따르는 형국이고, 太過는 정성을 들여 따른다고 따른 것이 잔을 넘쳐서 기어이 상대의 손을 적시게 하는 형국이라고도 할 수 있다.
02 제시된 형상의 개선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간지결합을 하나씩만 쓰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수다목부-[戊寅] 수다토류-[ ]
금다화쇠-[ ] 목다금결-[ ]
화다토초-[ ] 화다수열-[ ]
토다금매-[ ] 토다목절-[ ]
금다수탁-[ ]
해설: 본문의 노란색으로 강조한 부분을 참고하여 필요한 지지를 먼저 찾은 다음에, 그 지지와 결합한 천간들 중에서 생극관계, 냉온건습 등을 고려하여 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03 사주가 (예)와 같은 형상이면 운(運)에서 그 형상을 개선해주는 간지가 오는 것이 좋은 경우가 많다. (예)처럼 주어진 사주 형상의 개선에 필요한 운 간지결합을 두 개씩만 써보자.
(예) 사주: 무오ㆍ기사 주변에 냉습기가 없고 뜨거운 火氣만 있다. 운: [壬辰], [癸酉]
ㄱ. 사주: 무자ㆍ기해 주변에 마른 흙은 없고 온통 물살만 거세다. 운: [ ], [ ]
ㄴ. 사주: 갑술ㆍ을미 주변에 수분은 없고 흙더미와 돌덩이 천지다. 운: [ ], [ ]
ㄷ. 사주: 병신ㆍ정유 주변에 木-火氣는 없고 쇠뭉치만 잔뜩 있다. 운: [ ], [ ]
ㄹ. 사주: 임오ㆍ계사 주변에 물은 없고 냄비는 벌겋게 달아 있다. 운: [ ], [ ]
ㅁ. 사주: 갑자ㆍ을해 주변에 흙도 말뚝도 없이 물난리가 나버렸다. 운: [ ], [ ]
ㅂ. 사주: 임인ㆍ계묘 주변에 비는 오지 않고 갈증난 나무만 있다. 운: [ ], [ ]
ㅅ. 사주: 경자ㆍ신해 주변에 넘치는 물을 막을 수도 뺄 수도 없다. 운: [ ], [ ]
ㅇ. 사주: 정축ㆍ병진 주변에 습기찬 아궁이와 젖은 성냥뿐이다. 운: [ ], [ ]
ㅈ. 사주: 경인ㆍ신묘 주변에 쳐내야할 잡목은 숲인데 낫이 약하다. 운: [ ], [ ]
해설: 사주 형상마다에 적합한 운(運) 간지 또는 사주에 더 필요한 간지에 관해서는 차차 학습한다. 여기서는 해당 형상을 연상하면서 간지결합의 냉온건습 여부에 따라 상식적인 관점에서 필요한, 대안이 되는 간지를 찾으면 된다.
04 왜 다음처럼 추론될 수도 있는지 그 배경을 생각해보자.
ㄱ. 생을 지나치게 받는 경우의 천간은 자신을 돕겠다고 나서는 사람을 일단 의심할 것.
ㄴ. 극을 너무 부족하게 받는 경우의 천간은 조직의 서열문화에 우선 익숙해지도록 할 것.
ㄷ. 생을 너무 부족하게 받는 경우의 천간은 인맥관리에 한층 더 신경 쓸 것.
05 다음 ㄱ.∼ㅁ.까지의 내용 전개와 물음에 관해 생각해보고, 자신의 견해를 제시해보자.
ㄱ. 사주명리에서는 남자가 여자를 극한다고 본다. 즉 여자 입장에서 보면 자신을 극하는 오행이 남편이 되고, 남자 입장에서 보면 자신이 극하는 오행이 아내가 되는 것이다. 이는 남자의 성(性)이 여자의 성을 합법적으로 돌파하면서부터 부부관계가 시작된다는 원초적인 관점이기도 하다. 여기에서는 성적인 돌파(剋) 그 자체를 ‘남극여(男剋女)’로 간주했으므로 성차별적인 의미로 보기 어렵다. 문제는 아내에게 꼼짝 못하거나 매맞는 남편 등의 경우인데, 이러한 경우에도 남극여 라는 논리를 적용할 수 있을까?
ㄴ. 가뭄철 큰 저수지에 가득찬 물은 보기에도 좋고 효용가치도 아주 높아 보인다. 마치 비상금이 많아 든든한 것처럼. 반면 장마철이나 겨울철 저수지의 물은 아무리 많아도 가뭄 때의 물보다는 쓰임이 적다고 느껴진다. 왜 그렇게 느껴지는가. 그 기준은 절대적인가, 보편적인가?
ㄷ. 토극수는 흙이 물을 극한다, 둑으로 저수지 물을 막는다 등의 의미이다. 때문에 저수지 물을 여자, 둑을 남편에 비유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의 극은 돌파보다 저지한다는 의미에 더 가깝다. 돌파가 공격적 의미라면 저지는 방어적 의미이다. 그렇다면 위의 ‘남剋여’에서의 극과 ‘둑剋물’에서의 극은 반대의 성격을 띤다. 이 점은 어떻게 이해될 수 있을까?
ㄹ. 저수지라는 독립개체적인 자연 형상물은 구성변화적으로 미세한 차이를 지닌 다양한 이미지로 연출될 수 있다. 그 중에서 물도 충분하고 제방도 튼튼한 이미지, 물은 충분한데 제방이 부실한 이미지, 제방은 튼튼한데 물이 부족한 이미지, 물도 부족하고 제방도 부실한 이미지 등이 대표적으로 연출되는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물과 제방이라는 단순한 구성요소 외에 더 세부적인 이미지에 포함될 수 있는 구성요소는 무엇이고, 그 이미지에는 또 어떤 것들이 있을까?
ㅁ. 위의 대표적으로 연출되는 형상들을 통해서 네 가지 유형의 부부, 즉 아내가 잘난 만큼 남편도 잘난 관계, 아내는 잘났는데 남편이 못난 관계, 남편은 잘났는데 아내가 못난 관계, 아내도 남편도 못난 관계를 유추해볼 수 있다. 모든 부부관계에는 나름대로 좋은 점과 갈등이 조금씩은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들 네 유형의 부부사이에서는 각각 어떠한 장ㆍ단점이 있다고 추론할 수 있을까? 또 갈등해소 방안도 추론할 수 있다면 그 방안들은 구체적으로 무엇일까?
06 다음 설명 내용들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치고, 자신의 견해를 제시해보자.
ㄱ. 태과불급한 생극관계 중 수다목부와 토다목절의 경우를 보자. 목부(木浮)나 목절(木折)이나 木氣의 상태가 좋지 않다는 뜻이다. 다르다면 목절보다는 목부가 木氣를 쉽게 빨리 잃는다는 정도다. 하지만 木氣의 활용도 측면에서는 차이가 많다고 본다. 목절된 나무는 둥둥 떠 있는, 내 마음 갈 곳을 잃은 형상이라 발전적 활용 자체가 힘들지만, 목부된 나무는 생기가 없을 뿐 제자리에 있기 때문에 땔감, 울타리, 말뚝, 퇴비, 비료 등의 용도로 가공되거나 다른 형질로 변화할 수 있게 된다. 말하자면 목부된 나무는 목절된 나무보다 주어진 상황에 따라 자신을 다양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ㄴ. 용광로의 쇳물을 보면 거의 물과 같은 형상이다. 화극금에서 火氣가 지나치게 강하여 金氣를 극하는 정도가 아니라 완전히 녹여버린 것이다. 이는 금다화쇠의 형상과 유사한 경우이기도 하다. 때문에 쇠의 입장에서 보면 용광로 속에서 녹아서 새로운 형질로 변화되는 것보다는 본래의 금기를 잘 유지하는 금다화쇠의 상태가 더 좋은 경우라고 할 수 있다.
ㄷ. 자신의 사주 형상이 금다수탁, 화다토초, 목다화식, 토다금매 등의 형상에 가까운 사람일수록 끊임없는 창조적 변화를 강조하는 말들을 좌우명으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
07 다음 두 이미지를 통해 추론될 수 있는 태과 불급한 생극관계를 모두 말해보자.
해설: 누구라도 위의 두 이미지가 균형감을 상실하고 있는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이미지를 통해 ‘어떤 상태의 사주 형상이 좋은 경우인가’라는 답도 얼추 추론해 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어떤 형상인 사주에는 어떤 운(運) 때가 되어야 균형감을 회복하게 되는지’도 짐작하게 한다. 이처럼 자연현상에 비유하여 상식적인 관점으로 사주팔자가 어떤 형상인 줄을(잠재력) 알고, 그 형상이 어떤 운 때에 더 가치 있는 균형감을 갖게 되는지를(경쟁력) 아는 것이 사주명리 공부의 기본 요체라고 할 수 있다.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8_2 육친 관계와 육친별 특징, 성향 추론하기 (2) (0) | 2015.08.13 |
---|---|
8_1 육친 관계와 육친별 특징, 성향 추론하기 (1) (0) | 2015.08.08 |
7_2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와 필요한 간지 이해하기 (2) (0) | 2015.07.28 |
7_1 태과불급한 생극 관계와 필요한 간지 이해하기 (1) (0) | 2015.07.24 |
6_2 상생상극 관계와 간지 힘의 득실 이해하기 (2) (0) | 2015.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