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운(運) 간지
대운 간지와 대운 수를 정하는 규칙 및
기입 방법을 알아보고, 대운, 년운, 월운,
일운, 시운의 의미와 영향을 분석해본다.
“하늘이 도운 천운(天運)이야”, “운만 좀 따라줬어도...”, “사업은 기술보다 운이지. 운칠기삼(運七技三)이거든”, “재수 없으면 뒤로 넘어져도 코가 깨진다” 등 운과 관련된 말들은 숱하게 많다. 운은 운세(運勢), 운수(運數) 등의 준말이기도 하다.
사주명리에서 분석하는 운에는 대운(大運), 년운, 월운, 일운, 시운이 있다. 년운은 출생 시점에 정해진 사주팔자가 1년 단위로 바뀌는 매년의 간지 기운으로부터 받는 길ㆍ흉 영향의 정도를 의미하며, 월운은 1개월 단위, 일운은 1일 단위, 시운은 2시간 단위로 바뀌는 간지 기운들로부터 받는 길ㆍ흉 영향의 정도를 의미한다. 예컨대 2015년(乙未년)의 운세(년운)를 본다는 것은 乙未라는 간지가 사주팔자에 어떤 길ㆍ흉의 영향을 미치는가를 본다는 뜻이다. 월운, 일운, 시운도 같은 이치이다.
그리고 대운(大運)은 10년 단위로 영향을 미치는 운 간지를 의미한다. 10년 단위로 바뀌면서 음으로 양으로 길흉의 대세적인 변화와 그 흐름을 주도하는 대운 간지는 한 사람의 인생의 부침(浮沈)을 긴 안목으로 가늠케 하는 중요한 잣대가 되어준다.
대운 간지는 절기 변화인 月柱에서 비롯되며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정해진다.
대운 간지는 年干이 陽인 남자와 陰인 여자는 월주에서 (간지결합의 순서로) 순행(順行)하고, 반대로 年干이 陰인 남자와 陽인 여자는 월주에서 (간지결합의 거꾸로) 역행(逆行)한다.
예를 들어 甲午년 己巳월 출생이 남자이면 년간 甲이 양이므로 월주에서 (간지결합의 순서로) 순행하여, 庚午(첫 번째 대운 간지)ㆍ辛未(두 번째 대운 간지)ㆍ壬申(세 번째)ㆍㆍㆍ식으로 대운 간지가 정해지고, 여자이면 년간이 양이므로 월주에서 (간지결합의 거꾸로) 역행하여, 戊辰(첫 번째 대운 간지)ㆍ丁卯(두 번째 대운 간지)ㆍ丙寅(세 번째)ㆍㆍㆍ식으로 대운 간지가 정해진다.
또한 乙未년 辛巳월 출생이 남자이면 년간 乙이 음이므로 월주에서 역행하여, 庚辰(첫 번째 대운 간지)ㆍ己卯ㆍ戊寅ㆍㆍㆍ식으로 대운 간지가 정해지고, 여자이면 년간이 음이므로 월주에서 순행하여, 壬午(첫 번째 대운 간지)ㆍ癸未ㆍ甲申ㆍㆍㆍ식으로 대운 간지가 정해진다.
이러한 대운 간지에는 대운 수(數)가 따라붙게 된다. 대운 수는 10년마다 바뀌는 대운 간지가 몇 살부터 몇 살까지에 해당하는지를 알려주는 (대략적인) 기준 수치인데, 다음 비례식에서 구한 X값이 대운 수가 된다.
출생한 달의 총 일수(A)를 10년과 대비(한 절기를 10년 기간에 비유)한 값은 출생일 시점에서 다음 절기 절입시간까지의 총 일수(순행인 경우, B1) or 출생일 시점에서 이전 절기 절입시간까지의 총 일수(역행인 경우, B2)를 어떤 수 X와 대비한 값과 같다.
즉 A:10 = B1(B2):X
▣ 제시된 내용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해보자.
- 대운 간지는 매년, 매월 누구에게나 동일하게 작용하는 간지이다.
- 년간이 양인 여자와 년간이 음인 남자의 대운 간지는 월주에서 간지 결합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 대운 수는 출생한 달의 (한 절기) 총 일수를 10년 기간에 대비하면서 비롯된다.
- 출생한 달(月)의 총 일수는 대략 평균 30일 정도인 경우가 많다.
▣ 다음 용어의 의미를 간략하게 설명해보자.
명(命)/ 운(運)/ 운명/ 대운/ 년운/ 대운 간지/ 대운 수
참고: 출생 시점의 특정 기운을 명(命)이라고 한다면, 운은 명의 변화적인 흐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둘을 합하면 명운, 운명이 된다. 생년월일시 팔자는 원국(原局) 또는 원명(原命)이라 부르고, 여기에 대운 간지까지 포함해서 사주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로부터 “운 없는 좋은 팔자 그 어찌나 발휘하며, 운 좋으나 안 좋은 팔자 제 본성을 못 넘는다.”는 말이 있는데, 운과 명(팔자)의 상관관계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대운 간지 기입
대운 간지는 정하는 규칙에 따라, 사주 간지 아래에 년주 쪽에서 시주 쪽으로 기입하면 된다. 대운은 10년 주기이므로 평균 수명만큼 (7~9개 정도) 기입한다.
예를 들어 기유년 경오월 갑자일 병인시 출생이 남자일 경우의 대운 간지 기입은 다음과 같다. 남자이고 년간이 음이므로 월주에서 역행한다.
丙 甲 庚 己
寅 子 午 酉
壬 癸 甲 乙 丙 丁 戊 己
戌 亥 子 丑 寅 卯 辰 巳
1) 다음 사주가 여자일 경우의 대운 간지를 앞의 예처럼 지지 밑에 기입해보자.
丙 甲 庚 己
寅 子 午 酉
해설: 년간이 기토, 즉 음이고 여자이므로 월주에서 순행한다. 첫 번째 대운 간지는 辛未가 되고, 그 다음부터는 壬申ㆍ癸酉ㆍ甲戌ㆍ乙亥ㆍ丙子ㆍ丁丑ㆍ戊寅ㆍㆍㆍ순으로 년주에서 시주 쪽으로 기입하면 된다.
2) 다음 사주가 남자일 경우와 여자일 경우의 대운 간지를 기입해보자.
乙 己 丙 甲
亥 酉 寅 申
해설: 남자일 경우는 년간이 양이므로 월주에서 순행한다. 첫 번째 대운 간지는 丁卯가 되고, 그 다음부터는 무진ㆍ기사ㆍ경오ㆍ신미ㆍ임신ㆍ계유가 된다. 여자일 경우는 년간이 양이므로 월주에서 역행한다. 첫 번째 대운 간지는 乙丑이 되고, 이어서 갑자ㆍ계해ㆍ임술ㆍ신유ㆍ경신ㆍ기미ㆍㆍㆍ가 된다.
'Test중심 기본 사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_3 대운 간지와 대운 수, 운(運) 간지의 의미 이해하기 (3) (0) | 2015.11.27 |
---|---|
13_2 대운 간지와 대운 수, 운(運) 간지의 의미 이해하기 (2) (0) | 2015.11.19 |
12_4 사주에서 일간ㆍ오행ㆍ음양ㆍ육친ㆍ가족ㆍ강약ㆍ조후ㆍ길신 확인하기 (4) (0) | 2015.11.06 |
12_3 사주에서 일간ㆍ오행ㆍ음양ㆍ육친ㆍ가족ㆍ강약ㆍ조후ㆍ길신 확인하기 (3) (0) | 2015.11.02 |
12_2 사주에서 일간ㆍ오행ㆍ음양ㆍ육친ㆍ가족ㆍ강약ㆍ조후ㆍ길신 확인하기 (2) (0) | 2015.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