辛 壬 辛 壬                癸 甲 癸 癸

亥 子 亥 子                酉 子 亥 亥

 

  월의 임자 일주는 네 개의 지지가 전부 수기이며천간의 두 임수까지 가세하여 천지가 온통 물로 보이는 구성이다. 그러다보니 월간과 시간의 신금은(어머니는) 오히려 자신이 생한 물에 잠겨서 당신 본래의 장점인 예리한 감촉을 잃어버리기 쉬운 형상이다.  “저는 저 때문에 어머니가 기를 못 펴시는 줄은 몰랐습니다.”

 

  월의 갑자 일주는 일간 갑목과 시지 유금을 제외하고는 모두 수기 간지이다. 즉 갑목은 부목(浮木)의 형상으로 혼자서 수기를 흡수해서 조절하기가 어려운 상황이고 (이 굳어지는 질환에 유의), 시지 유금은 적극적으로 금생수하지 못하고 자연히 수다금침(水多金沈)이 된다 (폐에 물이 차는 질환에 유의).  “제 남편이 제 친정을 왜 그리 멀리하려고 했는지 알 것 같군요.”

 

 

1) 木氣 간지가 수생목을 비교적 적절히 받고 있는 사주를 찾고그 이유를 말해보자.

 

丁 乙 戊 乙                丁 乙 丁 丁

亥 亥 子 亥                亥 亥 未 酉

 

庚 丙 丁 丁

寅 子 未 巳

 

 

 

2) 土氣 간지가 토극수하기 가장 어려운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甲 己 壬 壬                庚 壬 壬 壬

子 未 子 申                子 戌 子 申

 

丙 庚 壬 壬

子 辰 子 申

 

 

 해설: 자월 경진 일주의 일지 진토가 토극수하기가 가장 힘들다. 그 이유는 수기가 화기보다 지나치게 왕성하여 진토가 한층 물렁해지기 때문이다.

 

 

3) 金氣 간지가 물에 잠길 소지가 많은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辛 丁 庚 壬                庚 壬 壬 辛

丑 丑 戌 子                子 申 辰 亥

 

丁 己 乙 癸

卯 酉 丑 亥

 

 

해설: 금기가 지지에 위치하고 주변에 수기가 많으면서, (수생목과 수극화 등으로) 수기가 분산되지 않을수록 수다금침의 소지가 많다.

 

 

 

木氣가 태과한 사주 예 

 

癸 乙 丁 甲                壬 乙 己 乙

未 卯 卯 子                午 卯 卯 卯

 

  丁卯월의 을묘 일주는 목기월에 목기 간지가 많고 자수와 계수까지 수생목하여 목기가 매우 왕성해진 구성이다. 이런 경우에 월간 정화는(내세우고 싶은 자식은) 주변의 습한 기운과 지나친 목기로 인하여 오히려 활활 타오르지 못하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인가요. 그 아이는 저의 관심 표현을 지나친 간섭이라고만 여기는 것이. 어미인 저도 답답해요.”

 

  己卯월의 을묘 일주에서 시지 오화는 주변의 왕성한 목기와 임수에 의해 꺼지기 쉬운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마치 성냥불 하나로 습기 찬 초목 밭에 불을 피워야 하는 형상인 것이다.  “그러나 나는 오화를 살려야 한다. 나도 (정묘월의 을묘 일주처럼) 꽃을 피워 향기를 내고 싶은 여자이니까.”

 

 

乙 辛 甲 戊                丙 甲 丙 甲

未 卯 寅 寅                寅 申 寅 寅

 

  월의 신묘 일주는 지나치게 왕성한 목기로 인하여, 일간 신금이 금극목을 확실히 하기가 아주 벅차 보이는 구성이다. 즉 목다금결(木多金缺)의 형상으로 칼날만 손상될 소지가 더 많은 것이다.  “나는 솔직히 아내가 겁난다. 연애 때는 몰랐던 사실이다. 그러면서도 알게 모르게 주변의 여자들에게 자꾸 눈이 돌아간다.”

 

  월의 갑신 일주는 일지 신금이 陽金으로서의 자존심을 내세우며 주변의 나무들을 쳐보지만, 좌우 인목과의 싸움에서부터 밀리는 형상이다. 거기에다 목생화를 잘 받고 있는 병화까지 화극금하니 양금으로서의 자존심을 세우기가 더 힘들다고 할 수 있다.  “제 남편, 근성과 힘이 있죠. 하지만 저에게는 약해요. 저도 좀 세거든요.”

 

 

 

 

 

14. 생극3

 

 

특정한 기운이 태과불급한 경우의 생극

작용을 여러 사주 간지 예를 통해

살펴보고, 특징 사항을 추론해본다.

(「7. 생극2」참고)

 

 

  극우(極右)와 극좌(極左)만이 득세하는 정치판보다는 중도(中道)의 영향력도 있는 정치판이 훨씬 바람직할 것이다. 사주에서도 어느 한 기운으로만 지나치게 쏠리기보다는 적절히 균형감을 갖는 구성이 좋은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정치판이나 한 사람의 사주나 균형감만 또 너무 고려하다 보면 자칫 이도 저도 아닌 어중이 상태, 마치 복잡한 교차로에서 황색등만 깜박이는 신호등 같은 상태를 좋은 경우라고 오판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사주에서 그러한 오판을 범하지 않기 위해서는 일단 다양한 사주 예들을 접해보아야 한다. 사주 예는 다다익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가능한 많은 사주 예를 접하기 위해서는 한 사람의 사주를 현미경으로 들여다보기 보다는 망원경으로 우선 살피는 방식이 필요하고, 나무보다는 숲을 먼저 보는 방식이 요구된다.   

 

  사주를 대관소찰(大觀小察)로 보든 소관대찰(小觀大察)로 보든, 사주 간지와 운 간지를 해석ㆍ통변하는 방식과 이론적 토대는 앞에서 학습한 내용들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뼈대 위에 살이 더 해지고, 여러 근육들이 생겨나게 되는 것이다.

 

  고서古書와 관련 서적들을 독파하고, 수 천, 수 만의 사주를 임상(臨床)-분석하다보면, 자신만의 data가 누적되면서 자신만의 관법이나 비법이 탄생할지도 모른다. 득도(得道)의 쾌재를 부를지도 모른다.  but 그러다 어느 순간에는 사주명리의 한계를 절감하며 실망할지도 모른다. 수년간 공부한 것을 하루아침에 내팽개쳐 버릴지도 모른다. 그래서 늘 사주명리의 정체성사주공부의 목적성 점검이 중요해진다. 어쩌면 사주공부의 목적은 사주명리의 실용적 data와 그 함의(含意)를 재발견하려고 애쓰고, 더 가치 있게 활용하려고 끊임없이 도전하는 것 자체에 있는지도 모르겠다.

 

  지금쯤이면 “알수록 머리가 복잡하고 헷갈린다”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공부의 맥을 잡았다”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또는 “더 해? 말어?” 하면서 갈등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자신이 어떤 상황에 있든, 앞으로 사주를 임상-분석하면서 염두에 두어야할 것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동일 사주의 모순이라는 것이고,  하나는일례불가언(一例不可言)이라는 것이다.  동일 사주의 모순이란  동일 사주가 동일한 운명이지 않으면서 동시에 동일한 부분들이 있다는 것이고,  일례불가언이란  한 가지 예만 가지고 (전부인 것처럼) 말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두 가지의 경구(驚句)가 무슨 의미인지 이해하리라 본다.

 

 

1) 제시된 내용들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말해보자.

 ㄱ. 사주팔자가 같은-동일한 사람은 서로 비슷한 천성과 장단점의 소유자일 수도 있다.

 ㄴ. 사주명리는 점(占)이 아니라 추론과 유추이다.  추론과 유추는 일관성이 중요하고,  일관성은 일관된 논리전개에서 비롯된다. 

 ㄷ. 사주명리는 맞추는 것이 아니라 의논하는 것이다.  일례불가언이니 함부로 속단-예측해서는 안 된다.

 ㄹ. 타고난 팔자와 운명을 바꾼다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다. 종교, 기도와 참선 등의 신앙생활이 운명개척에 도움을 줄 수 있다.

 ㅁ. 교회 다니는 사람이 사주공부 한다고 문제될 것이 없다. 예수님이 말한 ‘세상의 빛과 소금’이 사주공부의 목적일 수도 있다.

 

  

2)운명은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정해져 가는 것이라는 말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자.  그리고같은 물이라도 젖소가 먹으면 젖이 되고, 독사가 먹으면 독이 된다는 말의 의미도 생각해보자. 

 

 

水氣가 태과한 사주 예

 

庚 庚 甲 癸                丁 乙 壬 己

辰 子 子 丑                亥 亥 申 亥

 

  子월의 경자 일주는  월지와 일지가 자수이며,  년간에 계수가 있고,  경금이 금생수하여 수기의 기세가 질적으로 상당해진 상태이다. 상관인 자수와 계수가(장모가)  월간 갑목을(아내를) 적절하게 생해주기 보다는 물에 떠있게 하는(지나치게 싸고도는) 형상이다. 융통성과 복종하는 마음이 부족한 아내,  “그녀는 왕비이고 싶다.”

 

  申월의 을해 일주는  일지와 시지 및 년지가 해수이며  월간에 임수가 있어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수기가 지배하는 구성이다. 즉 일간 을목이 적절한 정도로 생을 받기보다는 수다목부(水多木浮)에 가까워  한 곳에 오래 정착하지 못하고 물에(세파에) 휩쓸릴 우려가 있는 형상이다.  “나는 연약한 화초이기보다는 어디든 뿌리내리는 민들레이고 싶다.”

 

 

戊 丙 戊 庚                壬 癸 辛 丁

子 子 子 申                子 亥 亥 丑

 

  子월의 병자 일주는  월지와 일지 및 시지가 자수인데,  년주의 경금과 신금이 금생수하므로 수기가 지나치게 왕성해진다. 그러다 보니 월간과 시간의 무토는(위胃는) 적절히 토극수하지 못하고 불어난 물에 오히려 떠내려가는(약해지는) 형상이다.  “나, 병화! 혼자 힘으로 저들을(남자ㆍ남편을) 당해낼 재간이 없군요. 자존심 굽힐 일 참 많습니다.”

 

  亥월의 계해 일주는  월지와 일지 및 시지가 수기인데다  시간에 임수까지 있어서 지나치게 수기가 왕성해진 구성이다. 그러다 보니 년지 축토는(남편은) 적절하게 토극수(나의 넘치는 기를 억제)하지 못하고,  수다토류(水多土流) 되는(방관하고 포기하는) 형상이다.  “나는 갈증이나 해소하는 약수가 아니라  한 번을 흘러도 콸콸 흐르는 강물이 되고 싶다.”

 

 

 

 

 

    연 습 문 제

 

 

01 제시된 사주와 대운 수를 참고하여 빈칸을 채우고,  질문에 답해보자(대운 수는 남자: 4,  여자: 6)

 

          庚  辛  壬  庚

          寅  卯  午  寅

 

 . 남자 25 ~ 28세 때에 영향을 미치는 대운 간지는  [    ]이다.

 . 여자 22 ~ 25세 때에 영향을 미치는  대운 간지는   [    ]이다.

 . 남자 37세 때의 대운 육친은 천간이  [    ],  지지는  [    ]이다.

 . 여자 49세 때의 대운 육친은 천간이  [    ],  지지는  [    ]이다.

 . 현재 시점의 년운월운일운시운 간지가 무슨 정편 육친인지 쓰고사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자.

 

 

 해설: . 乙酉        . 庚辰        . 정관정인       . 편관편인

 

 

02 다음 설명 내용들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해보자.

 

 ㄱ. 10년 기간인 대운 간지는 천간 5지지 5년으로 나누어서 길흉을 분석하는 경우도 있지만천간과 지지가 동시에 10년간 영향을 미친다는 전제하에 분석해야 한다.

 

 ㄴ. 대운의 천간과 지지가 같은 육친인 경우는 길흉 분석이 비교적 분명해지지만천간과 지지가 식상과 관살관살과 식상 등으로 서로 상극인 경우는 길:흉의 비율이 50:50,  60:40,  30:70 등으로 나타날 수가 있다.

 

 ㄷ. 대운 간지의 지지가 천간을 생하는 경우와 (: 癸酉),  천간이 지지를 생하는 경우가 (: 乙巳) 있는데이런 경우는 지지의 생을 받는 천간의 길흉 영향력이 천간의 생을 받는 지지의 영향력보다 더 크다고 할 수 있다물론 구체적인 영향력 관계는 사주 전체 간지를 보고 판단해야 할 것이다.

 

 ㄹ. 사주 간지가 전체적으로 냉온건습과 상생상극오행육친의 조화와 균형을 이룬 구성은 엔진과 정밀부품이 튼튼하고 정비가 잘 된 자동차에 비유될 수 있다이런 자동차는 운에 비유되는 고속도로나 비포장도로에서도 별 고장 없이 오래 잘 달릴 수 있다고 본다.

 

 ㅁ. 대운 천간은 관살로 길한 영향을 미치는데년운 천간이 식상으로 흉한 영향을 미친다면 그 해 중에서는 천간이 재성인 월을 택해서 일을 추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그 이유는 월운 천간 재성이 년운 천간 식상으로 하여금 자신을 생하도록 유도해서대운 천간과 정면충돌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일부분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물론 구체적인 시기 결정은 사주 간지 전체와 운 간지 전체를 보고 판단해야 할 것이다.

 

 . 사주에서 인수를 많이 필요로 하는 상태인데,  13세부터 22세까지의 대운 간지의  천간과 지지가 인수이면한참 공부해야할 10년간을 자신이 원하는 인수 운이 주도하므로 일단 공부 측면에서는 운이 확실히 따른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결과가 어떻게 나타날지는 전체적인 사주 구성과 년운 간지,  주변 환경 등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 이와 동일)

 

 ㅅ. 사주에서 관살을 더 필요로 하는 상태인데,  15세부터 24세까지의 대운 간지의  천간이 관살이고 지지가 재성이면고등학생 때부터는 입신양명의 뜻을 세우면서 비교적 높은 목표를 향해 공부에 매진하려는 운이 따른다고 할 수 있다.

 

 ㅇ. 사주에서 식상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데,  18세부터 27세까지의 대운 간지의  천간이 식상이고 지지가 견겁이면대학 진학을 연극영화과방송연예과 등으로 정할 소지도 많다고 할 수 있다.

 

 ㅈ. 사주의 주도적인 기운이 재성이면서 인수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22세부터 31세까지의 대운 간지의  천간과 지지가 관살이면, 대학의 상경계열에 진학한 후에 고시패스 등에 도전할 소지도 많다고 할 수 있다.

 

 ㅊ. 사주에서 견겁이 주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데,  9세부터 18세까지의 대운 간지의  천간이 식상이고 지지가 견겁이면초등학교 때부터 스포츠계열 등으로 진로 방향을 잡아주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ㅋ. 운 간지의 적극적인 활용 측면에서는,  재성 운이면 실속 챙기기,  관살 운이면 이름 날리기,  인수 운이면 깊이 공부하기,  식상 운이면 창조적 파괴하기,  견겁 운이면 중심 잘 잡기 운이라고도 이해될 수 있다.

 

 

03 제시된 사주-삼주(三柱)와 대운 간지의 분석 내용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치고그 이유를 말해보자.

 

壬  辛  丙

辰  卯  申

己 戊 丁 丙 乙 甲 癸 壬

亥 戌 酉 申 未 午 巳 辰

 

 ㄱ. 時柱가 빠진 삼주(三柱)인데도 오행 상생이 비교적 잘 이뤄지고 있다.

 ㄴ. 일간은 월의 壬水로 봄철의 초목이 좋아하는 봄비 형상이다

 ㄷ. 일주가 양이고양의 성향이 주도적이지만 음의 성향도 적당히 갖추었다.

 ㄹ. 인수와 상관의 기운이 좋은데 비해 관살의 기운이 취약한 흠이 있다.

 ㅁ. 재성(아내) 丙火는 냉습한 기운을 조절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ㅂ. 일간의 수량은 부족하지 않고탁해질 소지가 적은 상태이다.

 ㅅ. 년간 丙火를 살리는 기운은 길신꺼지게 하는 기운은 흉신에 가깝다.

 ㅇ. 일지 관살을 더 단단하게 해주는 기운은 길신으로 작용한다.

 ㅈ. 타고난 권력욕이나 공명심보다는 타고난 사려 깊음이 더 강점이다.

 ㅊ. 입신양명의 성향이 비교적 뚜렷해지는 시기는 戊戌 대운이다.

 ㅋ. 위의 분석 내용은 時柱가 무슨 간지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04 수많은 직업 중에서 정치인’,  ‘국회의원’,  ‘-도의원’,  ‘지방자치단체장등을 희망하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어떤 조건들을 구비해야 할지그 조건들은 어떤 육친들과 연계시킬 수 있을지 말해보자그리고 그 조건들 중에서 한 가지만 예를 들고예로 든 조건과 운 간지의 영향당선여부의 상관관계 등을 자유롭게 궁리해보자

 

 

 

 

 

대운 수(數)  

 

  대운 수는 본문에 설명된 비례식으로 구할 수 있는데, 시간 단위를 일 단위로 환산하는 등의 계산 과정의 수고와 착오를 덜어주기 위해 만세력에 남녀의 대운 수가 대부분 표시되어 있다.  만세력을 통해 예컨대 2015년 8월 14일 출생자가 남자이면 대운 수가 2이고,  여자이면 8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대운 수가 2라는 것은 2세부터 11세까지는 첫 번째 대운 간지의 영향을 받고,  12세부터 21세까지는 두 번째 대운 간지의 영향을 받고,  22세부터 31세까지는 세 번째ㆍㆍㆍ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대운 간지 위에 순서대로  2,  12,  22,  32,  42,  52,  62,  72ㆍㆍㆍ식으로 기입하게 된다.

 

 

 

 

 

 

 

 

 

 

 

 

 

 

 

 

 

 

 

 

 

 

 

72

62

52

42

32 

22

12

 2

 

 

辛 

 

 

卯 

 

 

 

  대운 간지를 보면 이 사주가 남자인지 여자인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대운 수가 시작되기 전에는 년운의 영향을 받는다고 본다.  즉 대운 수가 8이면  7세까지는 년운의 영향을 주로 받는다는 것이다.  이처럼 사람마다의 생일에 따라 사주팔자를 적고,  대운 간지를 적고,  대운 수를 적으면 본격적인 사주 분석을 위한 준비는 끝나게 된다.

 

 

1) 제시된 생일의 남녀별 대운 수를 빈칸에 쓰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ㄱ. 2010년 3월 24일생 :

     남-[    ],   여-[    ]

 ㄴ. 1995년 11월 10일생 :

     남-[    ],   여-[    ]

 ㄷ. 2016년 1월 6일생 :

     남-[    ],   여-[    ]

 

 

  해설: ㄱ. 2010년 3월 24일생은 경인년 기묘월 계유일생으로 이전 절기인 경칩 절입시간으로부터는 대략 18일 정도가 지났고,  다음 절기인 청명 절입시간까지는 대략 12일 정도가 남았다.  대운 수를 구하는 비례식 A:10 = B1(B2):X 를 간단하게 해서 적용해보면,  이 생일이 남자이면 X=12÷3은 4가 되고,  여자이면 X=18÷3은 6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ㄴ. 남자는 X=2÷3은 대략 1이 되고,  여자는 X=27÷3은 9가 된다.  여기서 이전 절기까지 or 다음 절기까지의 기간이 3일 전후이면 대운 수가 대략 1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ㄷ. 절입일 출생도 같은 이치이다.

 

 

2) 자신의 사주 간지 밑에 대운 간지와 대운 수를 기입해보자.  

 

 

운 간지 확인 

 

  운 간지에서는 육친 관계와 길흉 정도를 중점적으로 확인한다.  예를 들어 일간이 金인 사주가 냉습하고,  관살인 火氣가 없거나 미약한 상태여서  丙,  丁,  寅,  未 등의 건온한 기운이 더 필요한 간지로(길신으로) 작용하게 되면,  대운과 년운 (월운ㆍ일운ㆍ시운) 간지가  丙寅,  丙午,  丁卯,  丁未 등일 때 관살 분야에서 좋아진다고 해석한다.  물론 어디에 얼마나 좋은지 등의 세세한 길흉 정도는 사주 간지 전체를 보고 판단해야 할 것이다. (자세한 예는 차차 학습)

 

  일간에 아주 좋거나 혹은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기운(오행ㆍ육친)이 몇 번째 대운에서 작용하는가에 따라 한 사람의 인생의 큰 변곡점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예컨대 첫 번째나 두 번째 대운이 아주 좋다면 (다른 대운은 별로 안 좋다면) 학창시절이 인생의 하이라이트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50대 전후의 대운이 아주 좋은 작용을 한다면 전형적인 대기만성형의 인생이라고 할 수 있다.

 

  대운이 좋은 상태에서 년운까지 좋다면 (좋은 간지가 무슨 육친이냐에 따라 다르지만) 그 해에는 중대사(重大事)에 경쟁력이 있으므로 입시,  고시,  취업,  승진,  사업 등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소지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년운이 좋은 상태에서 월운과 일운까지 좋다면 그 달의 그 날에 계약 등의 중요한 일을 처리하는 것이 좋고,  일운이 좋은 상태에서 시운이 좋은 그 시간에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대운ㆍ년운ㆍ월운ㆍ일운ㆍ시운의 상관 관계와 영향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우의 수를 분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지만,  그 동안 학습한 논리에 따라 체계적으로 하나하나 궁리해가면 될 것이다.

 

 

1) 제시된 생일의 남녀별 두 번째와 다섯 번째 대운 천간이 무슨 정ㆍ편 육친_십신인지 쓰고,  길흉 정도를 대략 가늠해보자.

 ㄱ. 1990. 5. 30. 午시:

     남-[     ] [      ],   여-[     ] [     ]

 ㄴ. 1993. 11. 10. 午시:

     남-[     ] [     ],   여-[     ] [     ]

 ㄷ. 1996. 2. 28. 午시:

     남-[     ] [     ],   여-[     ] [     ]

 

 

  해설: 운 간지의 길흉 여부를 떠나 해당 정편 육친들의 장점 성향이 주로 표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상관]운일 때는 상관의 단점 성향인 ‘불명예’가 아닌 ‘창조성’이라는 장점 성향이 현실화되도록 집중해야 한다.  운이 길할 때는 해당 육친의 장점 성향이,  운이 안 좋을 때는 단점 성향이 표출될 소지가 많지만 그래도 장점 성향이 항상 표출되도록 의식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ㄱ. 남-[편인] [상관],  여-[편재] [상관]        ㄴ. 남-[편관] [정재],  여-[비견] [정재]        ㄷ. 남-[정인] [비견],  여-[정재] [비견]

 

 

2) 자신의 사주의  현재 시점의  대운ㆍ년운ㆍ월운ㆍ일운ㆍ시운 간지가 무슨 정ㆍ편 육친_십신에 해당하는지 쓰고,  길흉 정도를 대략 분석해보자.

 

 

  해설: 자신의 사주를 통해 강약점을 알고,  운이 좋은 때를 향해 역량을 최대한 집중하면서 흉운에 미리 충분히 대비하는 것은 삶의 지혜 중의 지혜라고 하겠다.  운 간지의 육친과 길흉에 따라 진퇴(進退)를 결정하는 것이 사주명리 차원의 지혜라면,  하늘의 뜻을 물어 점을 쳐서 진퇴를 정하는 것은 주역 차원의 지혜라고 할 수 있다.  중대한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는 사주명리와 주역점을 종합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보다 신중한 처사라고 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