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주 구성

月柱는 매월 초순경 12절기(節氣)의 절입 시간을 기점으로 바뀐다. 

 

  월주는 월건(月建)이라고도 하며, 매월 초순경의 12절기가 시작되면서 바뀐다. 12절기와 해당 월의 시작은 다음과 같다. 양력 2월 초순경은 입춘(立春)으로 ,   3월 초순경은(이하 생략) 경칩(驚蟄)으로 ,   4월은 청명(淸明)으로 ,   5월은 입하(立夏),   6월은 망종(芒種)으로 ,   7월은 소서(小暑),   8월은 입추(立秋),   9월은 백로(白露),   10월은 한로(寒露),   11월은 입동(立冬)으로 ,   12월은 대설(大雪),   1월은 소한(小寒)으로 월이다년주처럼 월주도 해당 절기의 절입 시간을 기점으로 바뀐다. 즉 절입 시간 전까지는 아직 월이 바뀌지 않은 것으로 본다.

 

  年干과 월지를 안다면 만세력을 보지 않고도 月干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다그것은 년간이 이나 이면 월주가 병인정묘ㆍㆍㆍ정축 순으로 정해지고,   년간이 이나 이면 월주가 무인기묘ㆍㆍ ㆍ기축 순으로,   년간이 이나 이면 월주가 경인신묘ㆍㆍㆍ신축 순으로,   년간이 이나 이면 월주가 임인계묘ㆍㆍ ㆍ계축 순으로,   년간이 이면 월주가 갑인을묘ㆍㆍㆍ을축 순으로 규칙적으로 정해지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생일이 양력으로 1995815일이면 을해년 월이 되고년간이 이므로,  월의 월간이 부터 시작되어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갑신, 을유, 병술ㆍㆍ월의 월간은 이 되는 것이다. 이것은 日干을 알고 있을 때 時干을 정하는 방법과 연계해서 이해할 수 있다.

 

 

1) 제시된 에 해당하는 절기를 빈칸에 써보자.

-[    ]     -[    ]     -[    ]

-[    ]     午-[    ]     未月-[    ]

-[    ]     -[    ]     戌-[    ]

-[    ]     -[    ]     -[    ]

 

 

2) 다음 빈칸을 완성해보자.

  2015-乙未년은 월인 양력(이하 동일) 2[    ]일 절입 시간부터 시작되고,   월은 3[   ]일 절입 시간부터 시작되며(이하 동일),   월은 4[    ],   월은 5[    ],   월은 6[    ],   월은 7[    ],   월은 8[    ],   월은 9[    ],   월은 10[    ],   월은 11[    ],   월은 12[    ],   월은 20161[    ]일 절입 시간부터 시작된다.

 

  때문에 예를 들어 20154511시 출생이면 을미년 기묘월생이 되고,   1230분 출생이면 을미년 경진월생이 된다그리고 771830분 출생이면 을미년 임오월생이 되고,   1940분 출생이면 을미년 계미월생이 된다같은 방법으로 9807시 출생이면 을미년 [    ]월생이 되고,   09시 출생이면 을미년 [    ]월생이 된다20161606시 출생이면 [    ][    ]월생이 되고,   08시 출생이면 [    ][    ]월생이 된다.

 

 

3) 제시된 생일의 월주 간지를 빈칸에 쓰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ㄱ. 1995. () 2. 3 - [     ]

  . 1995. () 2. 5 - [     ]

  . 1944. () 12. 23 - [     ]

  . 1971. () 5. 9 - [     ]

  . 1971. () 5. 9 - [     ]

  . 1983. () 12. 30 - [     ]

 

 

  해설: . 정축      . 무인      . 무인      . 계사      . 갑오      . 을축

 

 

일주 구성

日柱는 년월과 관계없이 출생일의 일진(日辰)으로 정한다.    

 

  일진(日辰)은 그날그날의 일주 간지를 의미하며양력으로든 음력으로든 서로 일치해야 한다예를 들어 1982년 음력 41일은 양력 424일에 해당하고간지는 동일하게 丁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즉 음력이나 음력윤달양력에 관계없이 정확한 출생일을 알면 일주(일진)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출생일이 1970년대 이전인 사람들은 생일을 양력보다 음력으로 기억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윤달이 있는 해의 윤달월에 해당하는 음력 생일이라면 월주와 일주를 결정할 때 더욱 신중해야 한다.

 

  음력윤달 윤월(閏月)은 태양력(양력)과 태음력(음력)의 차이를 인위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생겨난 것이다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이 29.53059일이기 때문에태음력으로 1년은 354일이 되어 365일인 태양력과는 11일 정도 차이가 난다그 결과 19년에 일곱 번 정도의 윤달을 두게 된다만세력을 보면 어느 해에 윤달이 있는지 알 수 있다.  1970년에서 1988년 사이에는 모두 일곱 번의 윤달이 있었다.

 

  일주는 양력음력음력윤달과 관계없이 간지가 결합하는 순서대로 진행(순행)하므로  오늘이 갑자일이면 60일 후의 날과 60일 전의 날의 일주도 갑자일이 된다그리고 일주는 절기나 절입 시간과도 관계가 없다.  예를 들어 2015241258~ 1300분경에 입춘 절기가 시작되므로  이 시간 전이면 갑오년 정축월이 되고이 시간 후면 을미년 무인월이 되는데 일주만큼은 변동 없이 辛亥일이 되는 것이다즉 입춘 절입 시간 전이면 갑오년 정축월 신해일이고이후면 을미년 무인월 신해일이 된다.

 

 

  참고: 윤달에는 묘지 이장이나 수의(壽衣)를 하라거나 결혼이나 출산 등의 경사스러운 일은 피하라는 등의 윤달 속설은 문자 그대로 속설일 뿐사주명리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윤달이나 양력이나 사주의 구성 원칙과 사주 간지는 동일하기 때문이다.

 

 

 

 

 

  참고: 사주에서 중요한주도적인필요한 역할을 하는 육친은 가급적 지지에 있는 것보다는 천간에 있는 것이 좋다고 본다年干이나 月干,  時干에 있는 것이 더 영향력이 크다고 보는 것이다. 왜냐면 천간은 하늘상층부표출(表出)을 상징하고지지는 땅하층부노력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지의 받침이 없으면 천간이 유명무실할 수 있다는 사실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된다.

 

 

1) 다음 내용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사주는 년주월주일주시주로 구성된다.

 ㄴ. 팔자(八字)는 년간년지월간월지일간일지시간시지로 구성된다.

 ㄷ. 사주팔자는 4개의 천간과  4개의 지지로 구성된다.

 ㄹ. 사주팔자의 중심기준이 되는 것은 일간으로 나 자신을 의미한다.

 ㅁ. 일지는 나(일간)와 한 몸인 나의 배우자 자리로 추론된다.

 ㅂ. 같은 조건이라면,  관살이 년주에만 있는 여자는 연상보다 연하의 남자를 만나는 것이 사주 이치에 더 맞다.

 ㅅ. 한 사람의 인생 말년은 時柱만 보면 알 수 있으므로 사주 간지 전체를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는 없다.

 ㅇ. 일주와 월주가 상극이면 평소에 부모님이나 윗사람과의 관계가 악화되지 않도록 특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ㅈ. 일지가 견겁이면 친구 같은 배우자와 인연이 될 소지가 있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ㅊ. 사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육친은 가급적 지지에 있는 것이 그 영향력이 더 크다고 본다.

 

 

2) 제시된 설명을 읽고질문에 답해보자.

 

  “사주팔자는 일간(=)7명의 구성원(참모팀원)을 데리고 한 배를 탄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한 배를 탔으니 좋든 싫든 7명의 구성원과 함께 항해하면서 동고동락해야 한다맘에 안 든다고 교체해달라고 할 수도 없다피할 수 없는 운명이라면 운명이다.  7명의 팀원 중에는 전권을 맡길만한 똑똑한 오행육친도 있을 거고밥만 축내는 도대체 아무런 도움이 안 되는 육친도 있을 것이다하지만 중요한 것은 서로 합심하여 태풍(=운세)이 몰아쳐도 어찌하든 목표하는 항구까지 안전하게 가야한다는 것이다.”

 

  질문: 위의 팀원 7명은 정인1식신1상관1비견2편관1편재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일간인 나는 선장으로 이 정편 육친 7명을 년간, 년지월간, 월지일지시간, 시지에 한 명씩 배치해야 한다우선적으로 나의 좌우에 위치하여 나를 보필하는 참모격에 해당하는 月干과  時干에는  이 중 어떤 정편 육친-십신을 배치해야 할지 조언해주고그 이유도 설명해주기 바란다.

 

  

 

년주 구성

年柱는 매년 2월 초순경의 입춘(立春)을 기점으로 바뀐다. 

 

  만세력 책이나 인터넷만세력에서 (이하 만세력) 1995년을 찾으면 간지가 乙亥라고 되어 있다. 이것은 1995년이 을해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1995년의 60년 전인 1935년과 60년 후인 2055년도 을해년이 된다. 같은 방법으로 1994년은 갑술년이다. 갑술년과 을해년을 구분하는 시점은 1995년 양력 24입춘 절기가 시작되는 절입(節入) 시간이다. 23일은 입춘이 시작되기 전이므로 을해년이 아니라 갑술년이 된다. 엄밀하게 말해 입춘 당일도 입춘 절기가 시작되는 시간 은 갑술년이고, 는 을해년이 된다. 따라서 를 구분하는 시점도 매년 11일이 아니라 당연히 입춘 절기가 되는 것이다.

 

 

  참고: 만세력(萬歲曆) 책은 과거와 미래를 포함한 일정 기간의 간지를 기록한 것들을 통칭한다. 인터넷만세력은 휴대폰이나 컴퓨터로 해당 사이트에서 일정 기간의 간지를 검색하도록 되어있는 것들이다. 책과 검색프로그램들에 따라 형식과 내용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생월생일의 간지는 모두가 정확하게 일치해야만 한다.

 

 

1)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만세력에서 1945년을 찾으면 입춘이 양력 24일임을 알 수 있다.

 ㄴ. 따라서 1945년 양력 23일생은 을유년생이 아니라 갑신년생이 된다.

 ㄷ. 만세력에서 2005년을 찾으면 입춘이 양력 24일임을 알 수 있다.

 ㄹ. 따라서 2005년 양력 25일생은 갑신년생이 아니라 을유년생이 된다.

 

 

  해설: 예를 들어 1945乙酉년이 시작되는 입춘의 절입 일시는 컴퓨터만세력책에는 양력 241319분이라고 되어 있다이는 241319까지는 甲申년이고,  1319부터는 乙酉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그리고 인터넷만세력 ‘saju8.com’에는 1945년 입춘의 절입 시간이 131953초로 되어 있다매년 12절기의 절입 시간은 만세력에 따라 (그 계산과정에서) 편차가 있는데이처럼 년주의 간지가 바뀌는 애매한 경계 시간대에 출생한 경우는 사주 간지를 절입 시간  전후  2개로 구성해서 분석한다.  월주와 일주, 시주도 마찬가지이다.  (이 자리를 빌려 컴퓨터만세력‘saju8.com’ 두 저작권자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2) 제시된 생일의 년주 간지를 빈칸에 쓰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 () 1995. 2. 3 = () 1995. 1. 4

    [     ]

. () 1995. 2. 5 = () 1995. 1. 6

     [     ]

. () 1944. 12. 23 = () 1945. 2. 5

     [     ]

. () 1968. 12. 19 = () 1969. 2. 5

     [     ]

. () 1983. 12. 30 = () 1984. 2. 1

     [     ]

 

  해설: ()은 양력,  ()은 음력,  ()은 윤달을 의미하고음력과 양력의 간지는 일치한다.     . 甲戌      . 乙亥      . 乙酉      . 己酉      . 癸亥

 

 

3) 수많은 직업 중에서  항해사’,  ‘무역선-유조선-크루즈여객선의 선장’  등을 희망하는 사람은 어떤 육친(십신)들을 구비해야 할지그 중에서도 어느 육친(십신)을 우선시해야 할지 말해보자그리고 특히 年干과  月干에는 어떤 정편 육친-십신이 오는 것이 좋을지 자유롭게 말해보자.

 

 

  

 

 

 

11. 사주 구성

 

 

생일의 년ㆍ월ㆍ일ㆍ시를 간지로 바꾸는

과정을 이해하고, 사주 간지를 정확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연습하며,

관련 사항을 추론해본다.

 

 

  이제부터는 실제로 사주 간지를 구성해보는 시간이다. 사주명리의 본격적인 이해는 사주 간지의 정확한 구성에서부터 출발한다. 요즈음은 인터넷에서 생일을 입력하면 바로 사주 간지를 검색할 수 있는 인터넷만세력,  만세력 앱 등의 도구들이 있지만, 사주 공부를 시작하는 사람이라면 적어도 왜 그렇게 되는지 정도는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사주(四柱)란 출생 년ㆍ월ㆍ일ㆍ시에 간지를 대입한 일정한 틀이다. 한 사람이 태어난 년ㆍ월ㆍ일ㆍ시를 건축물의 구조적 골간인 네 기둥(柱)에 비유하여 년주ㆍ월주ㆍ일주ㆍ시주라고 칭하고,  이 네 기둥, 즉 사주를 사람마다의 명리(命理)적 골간으로 삼은 것이다.

 

   우리가 은연중에 사용하는 말 중에,  “아이고 내 팔자야”  “무자식이 상팔자”  “팔자에 없는 고생”  “오뉴월 개팔자”  “팔자 도망은 못한다” 등의 표현이 있다. 여기에서 팔자란 사주의 한 주(柱)가 두 글자로 된 1개의 간지 결합으로 이루어졌으며,  4개의 주는 결국 8개의 글자(八字)가 되는 것에서 나온 말들이다. 일반적으로 팔자가  ‘험하다ㆍ세다ㆍ안 좋다’라는 말들은 사주의 짜임새 정도가 그만큼  ‘불균형이다ㆍ부조화다ㆍ지나치다’ 등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사주팔자의 간지 구성에는 몇 가지 기준이 있다.  즉 年은 입춘을 기점으로 바뀌고,   月은 12절기를 기점으로 바뀌며,   日은 인위적인 시계시가 아니라 자연시인 子시를 기점으로,   時는 2시간 단위로 바뀐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준이 만일 잘못 적용되면 생년ㆍ월ㆍ일ㆍ시는 같은데 사주 간지는 서로 다른 그야말로 말이 안 되는 현상이 초래될 수 있다.

 

   사주명리는 계절 기운인 입춘, 입하, 입추, 입동 등의 지구와 태양과의 각도 및 일조량에 따른 12절기 변화를 매우 중시하므로,  12절기 기운의 영향에 따른 사주 간지 기운의 변화(냉ㆍ온,  강ㆍ약,  왕ㆍ쇠,  주ㆍ종 등)를 면밀히 따져 보아야 한다. 어떻게 하는지는 차차 학습하도록 하고, 여기서는 자신과 함께 태어나서 죽는 순간까지 한 시도 떨어지려고 하지 않는 그림자 같고 분신 같은 사주팔자 간지를 정확하게 구성해보도록 하자.

 

 

▣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 사주란 출생 년ㆍ월ㆍ일ㆍ시에 4개의 간지결합을 대입한 일종의 운명 ‘분석 틀’ 또는 운명 ‘분석 도구(tool)’라고 할 수 있다.

 - ‘팔자가 험하다’,  ‘팔자가 세다’라는 말은 사주의 틀과 짜임새가 좋아서 조화롭다는 뜻에 더 가깝다.

 - 사람에게 내리쬐는 햇빛은 입춘 때나,  입추 때나 그 양과 질이 동일할 수밖에 없다.

 - 사주명리는 12절기의 오행 기운의 영향을 별로 중시하지 않는 편이다.

 

 

▣ 다음은 사주 구성에서 무엇이 바뀌는 기준인지 말해보자.

 2월 초순의 입춘/   12절기/   자연시인 자시/   2시간 단위

 

 

  참고: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돌면서 생기는 지구와 태양과의 각도에서 1년의 12절기(24절기)가 구분되고,  각각의 절기가 몇 월,  몇 일,  몇 시,  몇 분경에 시작되는지를 계산해 놓은 것이 절입(節入) 시간이다. 관련사항은 ‘한국천문연구원’의 홈페이지에서도 참고할 수 있는데, 예컨대 2015년의 입춘은 2월 4일 12시 58분에 시작되고,  입추는 8월 8일 05시 1분에 시작된다고 나타나있다.   

 

 

 

사주 구성

사주는 년주ㆍ월주ㆍ일주ㆍ시주로 구성된다. 

 

   년주(年柱)는 생년,  태어난 해의 간지로 년간(年干)년지(年支)로 구분된다. 2015년 乙未년에 태어났다면 년주는 乙未가 되고,  乙은 년간,  未는 년지가 된다. 년지는 ‘’라고도 한다. 년주는 선대(先代)ㆍ조부모의 자리(위치)로 상징되며 자신의 유년 시절ㆍ뿌리내리는 단계 등을 의미한다. 때문에 예를 들어 인수가 년주에 있으면서 사주에서 중요한ㆍ주도적인ㆍ필요한 역할을 하면  ‘초년 시절에 공부 꽤나 한다’,  ‘조상의 도우심이 있다’,  ‘어린 시절의 귀인을 귀하게 여기라’는 등으로 추론하게 된다.

 

   월주(月柱)는 생월,  태어난 달의 간지로 월간(月干)월지(月支)로 구분된다. 만일 6월 壬午월에 태어났다면 월주는 壬午가 되고,  壬은 월간,  午는 월지가 된다. 월주는 부모ㆍ윗사람의 자리로 상징되며 자신의 청년 시절ㆍ성장하는 단계 등을 의미한다. 때문에 예를 들어 관살이 월주에 있으면서 사주에서 중요한ㆍ주도적인ㆍ필요한 역할을 하면,  ‘청년 시절에 이름 좀 날린다’,  ’부모나 직장 상사의 영향이 크다‘,  ‘관직ㆍ정치 쪽에서 한번 성장해보라’는 식의 추론이 가능하다.

 

   일주(日柱)는 생일 당일,  태어난 날의 간지로 일간(日干)일지(日支)로 구분된다. 생일 당일의 일주 간지가 丙辰이면  丙은 일간,  辰은 일지가 된다. 일간은 나 자신을,  일지는 배우자의 자리를 나타내며 자신의 현재,  장년 시절,  꽃피는 단계 등을 의미한다. 때문에 예를 들어 식상이 일지에 있으면서 사주에서 중요한ㆍ주도적인ㆍ필요한 역할을 하면,  ‘평소에 늘 언제나 예능 쪽에 미련이 있다’,  ‘배우자가 끼가 있다’,  ‘(여자의 경우) 나 자신의 절반은 자식이고 자식이 남편 같다’는 등으로 추론한다.

 

   시주(時柱)는 태어난 시의 간지로 시간(時干)시지(時支)로 구분된다. 시주의 간지가 庚寅이면  庚은 시간,  寅은 시지가 된다. 시주는 자식ㆍ아랫사람의 자리이자 자신의 말년이나 노년기ㆍ미래ㆍ결실하는 단계 등을 의미한다. 때문에 예를 들어 재성이 시주에 있으면서 사주에서 중요한ㆍ주도적인ㆍ필요한 역할을 하면,  ‘인생 말년에 재물이 따르겠다’,  ‘(남자의 경우) 연하의 여자와 인연이 있겠다’,  ‘아랫사람(부하직원, 제자, 자녀)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다’,  ‘항상 미래지향적인 경향이 있다’는 등으로 추론하게 된다.

 

 

 

 

 

10. 육친3

 

 

육친의 생극 관계에서 비롯되는

조부모, 부모, 남편, 시댁, 아내, 처가,

자식, 손자 가족관계의 성립

관해 알아본다.

 

 

   水 에서,   를 견겁(=나 자신)으로 보면  는 관살,   은 인수,   는 식상,   은 재성이 된다즉  관살 생 인수 생 견겁 생 식상 생 재성 생 관살이 되는 것이다그리고  에서,   역시 를 견겁으로 보면  관살 극 견겁 극 재성 극 인수 극 식상 극 관살이 된다즉 관살은 견겁을 극하고,   견겁은 재성을 극하고,   재성은 인수를 극하고,   인수는 식상을 극하고,   식상은 관살을 극한다.

 

   이러한 육친의 생극 관계로부터 가족관계가 파생되고 성립되는데태초에 음양의 만남인 여자와 남자의 결합으로 인하여  모년모월모일모시에 로 출생한 나의 육친가족관계는 다음과 같다나를 생해주신 인수인 어머니,   어머니의 남편이자 나의 아버지인 재성,   나의 남편인 관살,   나의 자식(자녀)인 식상,   아버지의 어머니이신 할머니는 식상,   할머니의 남편인 할아버지는 인수,   그리고 남편의 어머니이신 시어머니는 재성,   시어머니의 남편인 시아버지는 견겁이 된다.   (그럼 손자는 육친이 뭐가 되겠는가?).   반면 내가 아들로 출생했다면 아내는 재성,   자식은 관살,   아내의 어머니인 장모는 식상,   장인은 인수가 된다.

 

   여기서 아버지를 내가 극하는 재성으로 보는 것은 윤리상 부당하다는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그건 이렇게 이해될 수 있다나 이전에 이미 어머니와 아버지의 육친 관계가 성립했다즉 아버지는 어머니를 극했다그 이후로는 설령 아버지가 안계셨다고 해도 어머니로 인해 나는 존재할 수가 있다즉 나를 낳아준 인수는 어머니이지 아버지는 아니라는 것이다어머니 입장에서 아버지는 관살에 해당한다나의 입장에서 어머니에게 관살인 아버지는 자연히 인수를 극하는 재성이 된다만일 아버지까지 인수로 보면 아버지가 극하는 어머니는 나에게 식상이 된다그러면 내가 어머니를 낳고 기른다는 양상이 되고 만다결국 내가 극해서가 아니라 어머니의 남편이기 때문에 아버지는 재성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의문이 들 수 있다.  그럼 사주에 관살이 없으면 남편이 없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으므로 결혼하기도 힘든가 하는그러나 이는 그렇지가 않다육친 기운은 단절된 것이 아니라 순환상생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즉 눈에 보이는 관살이 없더라도 재성이 관살을 생하여 관살의 기운을 감돌게 할 수 있고,   재성이 없으면 식상이 生財하여 재성의 기운을 감돌게 한다고 보는 것이다.  (다른 육친도 마찬가지다).  또한 곧 학습하게 될 배우자 자리나 운 간지 등도 고려되기 때문이다.

 

 

다음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 인수가 없어도 관살이 적절하면 인수 기운을 감돌게 할 수 있다.

 - 외할머니는 재성에 해당하고이모는 어머니의 형제이므로 인수에 해당한다.

 - 여자 사주에 관살이 없으면 남자가 없으므로 결혼할 수 없다.

 - 남자에게 자식은 식상에 해당한다.

 

 

  참고: 한 사람만의 사주를 보고 관련된 가족들 전체를 하나하나 추론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남편복을 보려면 나의 사주뿐만 아니라 실제 남편에 해당하는 사람의 사주도 봐야 하고한 사람의 중요한 학생시절을 알려면 그 부모의 사주도 봐야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족관계 추론은 단순한 사실 확인 개념에서 탈피하여 가급적 대안 찾기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테면 자신의 사주를 통해 남편복이 없는 편이라는 얘기를 들은 여자는 그러한 사실 확인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또 그런 얘기를 믿고 안 믿고를 따질 것이 아니라, 상식적으로 자신이 어떻게 처신하고 준비해야 아내복이 있는 남자를 만날 것인가에 신경 써야 한다는 것이다. 남편복이나 처복이 없는 편인 사람들은 평소에 남편복, 처복이 없게 처신하고 행동한다는 평범한 지적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 연 습 문 제

 

 

01 제시된 사람의 가족에 해당하는 간지를 모두 말해보자.

 

. 남자 의 아버지         . 여자 의 어머니 

. 남자 의 아내            . 여자 의 남편 

. 남자 의 자녀            . 여자 의 자녀 

. 남자 의 장인            . 여자 의 시어머니 

 

 

  해설: . 아버지는 재성에 해당하므로 의 재성인 간지가 모두 해당된다.     . 장인은 아내의 부친이다. 아내는 재성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참고로 장모는 아내의 모친이므로 재성을 낳고 생하는 식상에 해당된다.)

 

 

02 다음 설명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아버지는 인수인 어머니의 남편이므로 나에게는 재성이 된다.

 

 ㄴ. 사주에 재성이 없어도 식상이 적절한 상태이면 재성 성향의 기운이 감돌게 된다고 본다여기서 기운이 감돈다는 것은 잠재적잠정적비정형화된 기운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다른 육친들도 마찬가지이다.

 

 ㄷ. 사주에서 중요한더 필요로 하는 육친이 인수이면,  중요한 의사결정시 특히 어머니의 조언을 듣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ㄹ. 아내와 어머니의 갈등즉 고부갈등으로 힘들어하는 남자의 사주에서 만일 인수가 더 중요하고 필요한 기운으로 작용하면,  평소에 아내의 기운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ㅁ. 남편이 지나치게 강하여 자신을 꼼짝 못하게 할 때는 자식들을 가까이 오도록 하는 것도 필요한데이는 식상의 기운이 관살의 기운을 제재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ㅂ. 여자 사주에서 중요한주도적인필요한 육친이 식상이면,  자녀에게 집착하느라 자칫 남편에게 소홀해질 소지가 많다고 할 수 있다. 

 

 ㅅ.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지나치게 구박할 때는며느리의 남편이 나서기보다 시아버지가 나서서 적절히 제재하는 것이 좋은데이는 재성의 기운이 인수의 기운을 제압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03 육친의 생극 관계에서 비롯되는 가족관계의 추론은 화목한 가정을 만드는데 활용할 수 있다. 사주명리 차원에서의 화목한 가정이란 가족 구성원간의 팀워크궁합이 좋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만일 사주에 여자가 많은 남자와,  사주에 남자가 많은 여자가 서로 사랑하여 결혼하겠다고 하면 두 사람에게 어떠한 조언을 해줄 수 있을지 말해보자.

 

 

04 내 아내와 내 어머니의 갈등시어머니와 며느리의 갈등즉 고부갈등의 원인은 당사자들의 심리적인격적인 측면이나 주변 환경의 직간접적인 영향 등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고부갈등은 사주명리 차원에서는 어떠한 연유로 그런지,  그 해결방안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