土氣의 특징과 활용 

 

  土氣가 사주와 운 간지의 기운에 의해 지나치게 왕성하거나 딱딱하게 굳어지는 구성이면  특히 위암 등을 조심해야 한다. 그리고 土氣가 습토와 조토로 서로 격(隔: 섞어도 차이가 남)이 져있고 다투는 형상이면  위경련ㆍ위통ㆍ요통 등에 유의해야 하고,  土氣가 너무 쇠하거나 상하는 구성이면  위궤양ㆍ십이지궤양ㆍ디스크ㆍ관절염ㆍ복막염ㆍ구강염ㆍ비장 질환 등에 유의해야 한다.

 

  자신이 더 필요로 하는 오행이 土氣이면서 건조성 토기를 더 필요로 하는 구성이면,  토기성 비중이 높은 분야 중  골재ㆍ택지개발ㆍ내외장용 석재ㆍ돌조각ㆍ도자기 가마ㆍ제방-댐 건설 등의 분야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반면 습기성 土氣를 더 필요로 하는 구성이면,  진흙ㆍ갯벌ㆍ농지개발ㆍ분갈이ㆍ도자기 빚기 등의 분야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辛 己 戊 丙                癸 戊 癸 癸

未 丑 戌 戌                亥 戌 亥 亥

 

  戌월의 기토는 왕성한 토기를 설기(泄氣)하여 중화시키기 힘들고,  건조한 술토ㆍ미토와 냉습한 축토가 서로 격이 져있으므로 위암ㆍ위경련 등에 유의해야 한다.   亥월의 무술 일주는 토기가 물살에 유실되는 형상이므로 특히 과음으로 인한 위장질환을 조심하고,  십이지장ㆍ디스크 질환 등에 유의해야 한다.

 

 

乙 己 丙 丁                庚 壬 壬 癸

丑 酉 午 未                子 申 戌 亥

 

  午월의 기유 일주는 조열(燥熱)한 화기를 식혀줄 습토성 분야와 금기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戌월의 임신 일주는 범람하는 물을 막아줄 건조성 토기 분야나 수기를 활용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3) 土氣의 특징과 활용에 관한 내용 중 부적절한 부분이 있으면 고치고, 바르게 조언해보자.

 ㄱ. 자신이 土氣를 더 필요로 하면  환절기, 황색계열ㆍ둥근 무늬 패션, 황토방, 통통하게 살찌고 중후한 이미지 연출, 조정ㆍ조율하는 업무 등을 선택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ㄴ. 일간이 토기이면서 토기를 더 필요로 하는 구성이면  포용성이 주로 요구되는 분야 (예: 상담지도) 등을 선택하고, 직선적이고 융통성이 부족한 분야 등은 피하도록 한다.

 ㄷ. 자신이 토기이면서 기운이 쇠약한 상태이면,  일진이 임자일ㆍ갑자일 등일 때 특히 밤에 허리가 삐끗하지 않도록 조심할 필요가 있다.  

 

 

金氣의 특징과 활용 

 

  金氣가 사주와 운 간지에 의해 지나치게 결집되어 강도가 높아지는 구성이면,  폐암이나 대장암 등을 조심해야 한다. 그리고 金氣가 지나치게 쇠하거나 상하게 되는 구성이면,  폐결핵ㆍ폐렴ㆍ기관지염ㆍ천식ㆍ신경성 대장염ㆍ빈혈ㆍ치아 결손ㆍ골절상ㆍ맹장염ㆍ치질ㆍ축농증ㆍ 피부염 등에 유의해야 한다.

 

  자신이 더 필요로 하는 오행이 金氣이면서 무쇠성 금기를 더 필요로 하는 구성이면,  대형크레인ㆍ중장비ㆍ차량 바퀴ㆍ철골구조물ㆍ도끼ㆍ작두ㆍ탱크 등의 비교적 크고 단독적인 분야에 적합하다.  반대로 정밀성 金氣를 더 필요로 하는 구성이면,  항공기엔진ㆍ반도체ㆍ공작기계ㆍCNC선반ㆍ드릴ㆍ시계 등의 비교적 작고 조립적인 분야에 적합하다.

 

 

甲 庚 辛 戊                癸 丁 庚 己

申 申 酉 申                卯 未 午 巳

 

  월의 경금은 자신의 기운인 금기가 지나치게 강한 구성이므로  폐암이나 중금속 중독 등에 유의해야 하고, 간(肝) 질환을 조심해야 한다.   午월의 정화는 왕성한 화기로 인해 경금이 무력해진 상태이므로,  운 간지가 병인ㆍ정묘 등일 때 특히 폐렴ㆍ대장염 등에 유의해야 한다.

 

  

乙 甲 己 庚                乙 辛 壬 乙

亥 辰 卯 申                未 卯 午 酉

 

  卯월의 갑목은 자신의 계절에 해수의 생을 받고 진토에 뿌리도 내린 상태여서 줄기를 단호하게 다듬어줄 금기가 필요한 구성인데,  마침 년간의 경금이 힘을 얻어 천간에 두각을 나타낸 형상이므로  기간산업ㆍ사정기관 등의 규모가 큰 분야에 적합하다.   午월의 신묘 일주는 음 일주에 음 간지가 주도적이면서 년지 유금이 더 필요한 상태이므로  침(針)ㆍ주사기ㆍ임플란트 틀니 등의 정밀성 금기 분야에 적합하다.

 

 

4) 金氣의 특징과 활용에 관한 내용 중 부적절한 부분이 있으면 고치고, 바르게 조언해보자.

 ㄱ. 자신이 金氣를 더 필요로 하면  가을과 늦은 오후, 흰색계열의 패션, 금속공예, 절도 있고 각진 이미지 연출, 서쪽방향, 구원투수의 경우처럼 업무의 마무리 단계 등을 선택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ㄴ. 金氣가 사주에서 중요한ㆍ주도적인ㆍ필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이면  뼈대의식이 요구되는 분야 (예: 산업기계 엔지니어) 등을 선택하고,  화력이 강렬한 작업이나 벌목 작업 등은 피하도록 한다.

 ㄷ. 자신이 금기이면서 기운이 쇠약한 상태이면,  운 간지가 경진ㆍ신유 등일 때 특히 면역력이 약해질 소지가 많다.

 

 

 

 

 

16. 오행2

 

 

「2. 지지」,「4. 오행1」,「12_2 오행

확인하기」에서 학습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오행 기운의 활용쓰임새

사주 예를 알아본다.  

 

 

木氣의 특징과 활용 

 

  木氣가 사주와 운 간지의 기운에 의해 지나치게 밀집되는 구성이면 간암ㆍ간경화 등의 간 질환을 조심하고,  추위와 습기에 노출되어 응결(凝結)되는 구성이면 중풍이나 뇌성마비 등의 신경계 질환을 조심해야 한다. 그리고 木氣가 지나치게 쇠하거나 상하는 구성이면 간염ㆍ수족이상ㆍ소아마비ㆍ골절ㆍ신경쇠약ㆍ신경통ㆍ인후염ㆍ탈모증 등에 유의해야 한다.

 

  자신이 木氣 중에서도 건조한 성질의 木氣를 더 필요로 하는 사주(구성)이면 출판ㆍ제지ㆍ문방구ㆍ목공예ㆍ가구ㆍ의류ㆍ건자재ㆍ사료ㆍ조화(造花) 등의 가공형 분야를 선택하고,  반대로 습기성 木氣를 더 필요로 하는 구성이면 수목원ㆍ조림ㆍ관상수ㆍ생약초ㆍ화원ㆍ분재ㆍ생화 등의 자연형 분야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己 乙 乙 己                庚 丙 庚 戊

卯 亥 亥 未                寅 申 申 寅

 

  亥월의 을목은 해수의 생을 받은 을목과 묘목이 밀집하여 냉습해진 상태로, 간이 굳어지는 질환이나 중풍 등을 조심해야 한다.   申월의 병화는 왕성한 금기의 극을 받는 木의 기운이 자연히 쇠진하고 상하게 되므로 간염ㆍ신경쇠약ㆍ수족이상 등을 조심해야 한다.

 

 

壬 丁 癸 壬                壬 乙 丙 乙

寅 亥 丑 申                午 未 戌 卯

 

  丑월의 정화는 전체적으로 냉습한 기운이 주된 기운으로 자신(일간)의 쇠약한 화력을 목생화로 살려주는 시지 인목, 즉 건조성 목기를 더 필요로 하는 구성이다.   戌월의 을목은 건온한 기운이 주된 기운으로 자신의 쇠약한 목기를 지탱해주는 년주의 을목과 묘목, 즉 습기찬 목기를 더 필요로 하는 구성이다.  그래서 丑월의 정화는 문방구ㆍ가구ㆍ서점ㆍ벽지ㆍ출판 등의 주로 가공형 분야를,   戌월의 을목은 화원ㆍ원예ㆍ버섯재배 등의 주로 자연형 분야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1) 木氣의 특징과 활용에 관한 내용 중 부적절한 부분이 있으면 고치고, 바르게 조언해보자.

 ㄱ. 자신이 木氣를 더 필요로 하면 봄철, 새벽녘, 청색계열의 패션과 인테리어, 목공예, 초기에 기획하는 업무 등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ㄴ. 일간이 목기이면서 목기를 더 필요로 하는 구성이면 인정(人情)이 요구되는 분야 (예: 사회복지사) 등을 선택하고, 완벽함이나 냉정함이 주로 요구되는 분야는 피하도록 한다.

 ㄷ. 자신이 목기이면서 기운이 쇠약한 상태이면, 대담하고 간이 큰 성향을 요구하는 분야 (예: 산업스파이) 등을 선택하는 것도 좋다.

 

 

火氣의 특징과 활용  

 

  火氣가 사주와 운 간지의 기운에 의해 지나치게 왕성하게 타오르는 구성이면 심장병ㆍ고혈압ㆍ고열ㆍ뇌일혈ㆍ안구충혈ㆍ안면홍조ㆍ다혈질성 발작 등에 유의해야 한다.  반대로 火氣가 지나치게 쇠하거나 상하게 되는 구성이면 심장질환ㆍ소장질환ㆍ노이로제ㆍ쇼크사ㆍ저혈압ㆍ동상ㆍ수족냉증ㆍ안과질환ㆍ설(舌)염ㆍ정신계 질환 등에 유의해야 한다.

 

  자신이 더 필요로 하는 오행이 火氣이면서 왕성한 상태이면, 火氣성 비중이 높은 분야 중 발전소ㆍ방사선투시ㆍ전광판ㆍ방송 송출ㆍ광고 및 홍보ㆍ고압가스ㆍ초능력 등의 비교적 규모가 큰 산업형 분야에 적합하다.  반면 더 필요로 하는 火氣가 약한 상태라면, 책상 조명등ㆍ손전등ㆍ양초ㆍ휴대용 가스렌지ㆍ부탄가스 등의 비교적 규모가 작은 가정형 분야에 적합하다.

 

 

乙 庚 甲 丙                壬 丙 己 戊

酉 午 午 寅                辰 辰 未 戌

 

  午월의 경금은 화기가 지배적인 기운이고, 주인인 금기 자신은 쇠약해진 상태이므로 고혈압과 뇌일혈, 폐질환 등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未월의 병화는 토기가 주된 기운이다 보니, 화기가 자연히 쇠약해지게 되므로 저혈압ㆍ소심증ㆍ시력저하 등에 유의해야 한다.

 

 

癸 丙 甲 庚                庚 庚 乙 丁

巳 戌 申 戌                辰 子 巳 未

 

  申월의 병화는 갑목과 사화로 인해 화력을 어느 정도 유지하는 상태지만, 갑목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건조성 목기 분야나 유선방송 등의 화기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巳월의 경금은 자신의 금기를 제련시켜줄 화기를 더 필요로 하는 구성인데, 화기가 왕성한 상태이므로 규모가 큰 화기 분야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2) 火氣의 특징과 활용에 관한 내용 중 부적절한 부분이 있으면 고치고, 바르게 조언해보자.

 ㄱ. 자신이 火氣를 더 필요로 하면 여름철과 대낮, 적색계열의 패션과 환한 조명, 밝고 솔직한 이미지 연출, 남쪽 방향 등을 선택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ㄴ. 火氣가 사주에서 중요한ㆍ주도적인ㆍ필요한 역할을 하는 구성이면 계몽성이 요구되는 분야 (예: 교육계) 등을 선택하고,  심야 시간의 유흥 분야 등은 피하도록 한다.

 ㄷ. 자신이 화기이면서 기운이 쇠약한 상태이면, 노이로제에 잘 걸리므로 쇼크나 냉기로 몸에 이상을 줄 수 있는 일은 피하도록 한다. 그리고 명상 훈련, 염력(念力) 훈련 등의 분야도 피하는 것이 좋다.

 

 

 

 

 

    【 연 습 문 제 】

 

 

01 주변 사람들의 사주를 보면서 임상한 자료(data)를 근거로 해서,  다음 설명들 중 타당하지 못한 부분을 고쳐보자.

 

 ㄱ. 일간이 陰干이면서 약한 편이면 여성적인 성향을,  일간이 陽干이면서 강한 편이면 남성적인 성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ㄴ. 간지의 음양 구성이 외음내음의 상태이면 내성적인 성향에,  외양내양의 구성이면 외향적인 성향에 가까운 경우가 많다.

 

 ㄷ. 성별에 관계없이 일간의 힘이 강할수록,  조후가 조열할수록  외향적인 성향을 표출하는 경우가 많다.

 

 ㄹ. 성별에 관계없이 일간의 힘이 약할수록,  조후가 냉습할수록  내성적인 성향을 표출하는 경우가 많다.

 

 ㅁ. 양 일간에 일주가 간여지동인 사람은 대체로 자존심이 약한 편이므로  사회복지사, 상담사, 서비스업 등에 적합한 경우가 많다.

 

 ㅂ. 사주의 천간 4개가 모두 陽干이면 자신의 목표나 이상 등을 통해 외부로 표출되는 성향이 대체로 소극적, 내성적, 방어적인 이미지인 경우가 많다.

 

 ㅅ. 사주의 지지 4개가 모두 陽干이면 자신의 일상생활이 정적(靜的)이기보다는 동적(動的)인 분위기인 경우가 더 많다.

 

 ㅇ. 사주 간지의 음양 비율이 반반이고,  일간의 강약과 조후 상태도 중간 정도이면 비교적 중성적인 성향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ㅈ. 년주와 월주의 4개가 양 간지이고, 일주와 시주의 4개가 음 간지이면  인생의 전반전은 주로 양의 성향이, 후반전은 음의 성향이 주도할 소지가 있다. 또한 지금-현재는 주로 음의 성향이 나타나면서 先陽後陰의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ㅊ. 여자가 양팔통이면 남성적인 선 굵은 이미지에 가깝고,  남자가 음팔통이면 여성적인 섬세한 이미지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ㅋ. 음 일간에 음 간지가 많은 사람이,  양 일간에 양 간지가 많은 사람보다 ‘카리스마’가 있는 경우가 더 많다.

 

 ㅌ. 천간에 음간보다 양간이 많을수록 자기 과시적이고 도발적이며 허세를 부리는 성향일 소지가 많다.

 

 ㅍ. 여자 사주에 음 간지가 많으면 신체적으로 음기(陰氣)가 강하고,  남자 사주에 양 간지가 많으면 정력적인 양기(陽氣)가 강하다고 추론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ㅎ. 같은 조건이라면  일간이 음간이면서 약한 사람은 리더형에,  일간이 양간이면서 강한 사람은 참모형에 더 적합한 경우가 많다.

 

 

02 다음 6개의 사주 예를 보고,  ㄱ.〜ㅂ.의 질문에 답해보자.

 

己 庚 癸 丁                丙 辛 丙 丙

卯 子 丑 未                申 未 申 申

 

甲 庚 庚 壬                癸 癸 己 癸

申 寅 戌 子                丑 未 未 卯

 

壬 癸 辛 戊                丁 壬 甲 乙

戌 丑 酉 戌                未 子 申 未

 

 

  ㄱ. 일간 자신의 본래 성향이라기보다는  주변 간지들(사람들)의 영향에 의해 본의 아니게 양적인 성향을 표출할 소지가 가장 많아 보이는 사주와 그 이유는?

 

 ㄴ. 일간 자신의 성향이라기보다는  주변의 영향에 의해 본의 아니게 음적인 성향을 표출하기가 가장 쉽다고 볼 수 있는 사주와 그 이유는?

 

 ㄷ. 겉으로는 정적이고 방어적인 음의 성향이지만,  속으로는 동적이고 공세적인 양의 성향을 나타낼 소지가 가장 많은 사주와 그 이유는?

 

 ㄹ. 겉보기에는 거칠고 무뚝뚝한 양의 성향이지만,  속으로는 유연하고 치밀한 음의 성향을 추구할 소지가 가장 많은 사주와 그 이유는?

 

 ㅁ. 일간 자신의 본래 성향이 주변의 영향에 의해 더욱 남성적인 성향으로 나타날 소지가 가장 많은 사주와 그 이유는?

 

 ㅂ. 일간 자신의 고유한 성향이 주변의 영향에 의해 한층 더 여성적인 성향으로 표출될 소지가 가장 많은 사주와 그 이유는?

 

 

03 다음 설명 내용 중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남녀 성별에 관계없이, 사주 간지의 음양 구성에 따라 일간이 음의 성향, 즉 전통적인 여성적 성향에 가까운 사람일수록  전업주부, 보육교사, 서비스직, 영양사, 간호사, 디자이너 등의 업무를 선택하고,  일간이 양의 성향, 즉 전통적인 남성적 성향에 가까운 사람일수록 중장비 기사, 원양어선 항해사, 특수부대 군인, 격투기 선수, 강력계 형사, 건설현장 감독 등의 업무를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역시 성별구분 없이, 음의 성향이 주도적인 사람일수록  음의 성향이 강한 사람을 배우자로 선택하고,  양의 성향이 주도적인 사람일수록  양의 성향이 강한 사람을 배우자로 선택하는 것이 더 이치에 맞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04 수많은 직업 중에서 ‘공인중개사, 부동산중개소’,  '부동산개발-부동산디벨로퍼' 등을 희망하는 사람은 사주 간지의 음양ㆍ오행ㆍ육친 측면의 구성이 어떤 상태일 때 비교적 적성에 잘 맞을지,  또는 적성에 잘 안 맞을지  자유롭게 말해보자.  

 

 

 

 

 

 

15. 음양2

   

 

사주 간지의 양  비율 및 위치

등에 따른 양  성향사주 예

통해 알아본다. (5. 음양1」,

12_2 음양 확인하기참고)

 

 

음양 간지 비율 

 

乙 甲 丙 甲                戊 乙 甲 戊

丑 辰 寅 申                寅 丑 寅 申

 

  두 사주는 같은 월이고일간 자신과 같은 목기가 3개씩 있으며간지의 음:양 구성 비율도 2:6으로 서로 같지만일간이 양 천간-陽干월의 갑목이 전통적인 남성적 성향즉 양의 성향을 표출하는 경우가 한층 더 많다.

 

 

癸 丙 戊 甲                癸 丙 戊 甲

巳 辰 辰 子                巳 午 辰 子

 

 월의 병화인 두 사주는 년주, 월주, 시주가 같고일지만 다른 구성이다. 양의 간지 숫자로는 병진 일주가 더 많지만양의 성향 표출로는 병오 일주가 더 강한 경우가 많다. 병오 일주는 일지가 일간과 같은 오행이면서 시지 사화와 더불어 화기의 시너지(상승)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참고: 병오갑인무진무술경신임자 일주처럼 일간과 일지가 같은 오행을 간여지동干與支同이라고 하는데양 일간이 간여지동이면 양의 성향이 한층 강해지는 경우가 많다.)

  

 

庚 己 甲 丙                丙 己 丙 丁

午 丑 午 辰                寅 未 午 巳

 

  같은 월생이고  일간이 기토인 두 사주는 간지의 음과 양 구성 비율이 4:4이므로 중성적인 성향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일간의 힘이 약할수록냉습한 간지가 많을수록  음의 성향을 더 표출하는 경우가 많다.  (참고: 기축기미을묘정사신유,  계해 일주도 간여지동이라고 하는데,  음 일간-陰干이 간여지동이면 음의 성향이 강해진다기 보다는 견겁의 성향이 강해지는 경우가 많다.)

 

 

1) 두 사주의 음양 성향이 제시된 내용처럼 추론될 수 있는지의 여부와 그 이유를 말해보자. (경술 일주는 여자신사 일주는 남자)

 

丙 庚 己 庚                庚 辛 戊 癸

子 戌 丑 子                寅 巳 午 卯

 

  "기본적으로 여자는 여성성이 있고남자는 남성성이 있지만이와 같은 두 사주의 경우에는  신사 일주가  경술 일주보다  남성성의 성향이 한층 강한 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두 사람이 평소에 박력, 강단, , 딱딱함, 까칠함, 공격성 등의 측면에서 경쟁을 한다면  신사 일주가 이기는 것이 보다 더 자연스럽다고 할 수 있다."  

 

 

음양 간지 위치

 

乙 庚 甲 乙                辛 甲 戊 乙

酉 寅 申 卯                未 子 寅 未

 

 월의 경금은 월주와 일주가 양 간지이고월의 갑목은 월주와 일간이 양 간지이다. 그리고 두 사주의 년주와 시주는 음 간지이다. 이처럼 밖이 음이고안이 양인 구성을 외음내양(外陰內陽)이라고 한다. 외음내양의 구성이면, 겉으로는 마치 제가 뭘ㆍㆍ하며 다소곳한 음의 성향이지만속으로는 내가 누군데ㆍㆍ하며 튀는 듯한 양의 성향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丙 辛 戊 丙                甲 己 癸 壬

申 酉 戌 辰                戌 丑 卯 申

 

  戌월의 신금은 년주, 월주, 시주가 양 간지이고  일주만 음 간지이며월의 기토는 년주와 시주가 양 간지이고  월주와 일주는 음 간지이다. 이러한 구성을 외양내음(外陽內陰)이라고 한다. 외양내음의 구성이면, 겉으로는 마치 내가 할게ㆍㆍ하며 호기부리는 양의 성향이지만속으로는 내가 언제ㆍㆍ하며 수그러드는 듯한 음의 성향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甲 壬 戊 庚                癸 癸 辛 辛

辰 申 寅 申                丑 卯 卯 酉

 

  월의 임수처럼 안과 밖이 모두 양 간지인 외양내양의 구성을 일명 양팔통(陽八通)이라고 한다. 그리고 월의 계수처럼 외음내음인 구성을 일명 음팔통(陰八通)이라고 한다. 외양내양인 구성이 마치 죽더라도 일단 내지르고 보자는 식의 성향을 보인다면외음내음인 구성은 죽더라도 나서지 말고 폼잡지도 말자는 식의 성향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2) 두 사주의 성향과 쓰임새에 관한 비교 내용이 타당한지의 여부와 그 이유를 말해보자.

  

癸 丁 辛 乙                壬 丙 庚 甲

卯 酉 巳 未                辰 申 午 戌

 

  "어느 사업 분야나 노력하기 나름이지만,  (성별에 관계없이),  꼼꼼하게 체크하고  실속 있게 챙겨야 하는 분야와  여성들을 주로 관리하는 분야에는  병신 일주가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반면 외형적인 스케일이 요구되고  모험 투자가 중시되는 분야와  남성들을 주로 관리하는 분야에는  정유 일주가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