庚 戊 丁 辛                辛 辛 乙 庚

申 申 酉 丑                卯 酉 酉 戌

 

  酉월의 무신 일주처럼 토기에 비해 금기가 과다한 상태이면 땅에 돌더미나 금속성이 너무 많아 토질이 척박해진다(금다토박). 이러한 토질에서는 씨앗을 발아시키고 튼튼한 열매를 맺기가 힘들어질 수 있다. 즉 작물을 재배하는 묘목판 용도보다는 기찻길의 자갈 용도에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만일 일간이 “나는 땅이니까 농사로 승부를 걸겠다”고 나선다면 건축 현장이나 건재상, 철물점, 고물상 일 등을 먼저 권해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酉월의 신유 일주. 년지 술토가 혼자서 왕성한 금기를 생하다보니 기운이 다 빠져나가 비옥한 토질과는 거리가 먼 형상이 되었다. 즉 월간 을목이 뿌리내리기 어려운 토질이 된 것이다. 그러다 보니 을목 부친이 기를 더 못 펴고, 술토 모친과도 더 유정(有情)하지 못해 보인다는 추론이 가능해진다.

 

 

1) 水氣 간지가 적절하게 금생수를 받는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庚 辛 壬 甲                己 丁 戊 乙

寅 丑 申 午                酉 未 子 未

 

丁 丙 甲 庚

酉 申 申 子

 

 해설: 습토+금기와  수기+목기+화기의 기운이 서로 엇비슷할 때, 수기가 적절하게 금생수 받는다고 할 수 있다.

 

 

2) 火氣 간지가 화극금하기 가장 힘든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辛 庚 丙 丙                戊 庚 甲 庚

 

巳 寅 申 寅                寅 午 申 申

 

 

丙 辛 丁 辛

 

申 卯 酉 酉

 

 해설: 건조한 목기+화기 기운이  토기+금기+수기 기운보다 약해보일수록 화극금하기가 힘들어진다.

 

 

3) 土氣 간지가 금다토박될 소지가 가장 희박한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己 庚 辛 辛                庚 戊 辛 癸

卯 申 丑 巳                申 戌 酉 酉

 

辛 庚 丙 庚

巳 午 戌 申

 

 해설: 화기+토기 기운이  금기 기운에 비해 현저하게 약해보일수록 박토(薄土)에 가까워진다.

 

 

 

   【 연 습 문 제 】

 

 

01 제시된 두 사주의 추론 내용 중의 물음에 관해 답해보자.

 

甲 丙 庚 甲                壬 癸 壬 己

午 午 午 午                子 亥 申 亥

 

  午월의 병화는 아내인 경금이 왕성한 화기에 견디기 힘들어하는 형상이고,  申월의 계수는 남편인 기토가 수다토류되는 형상이다. 즉 첫 번째 사주는 아내가 남편의 왕성한 기운을 감당하기 어려워 기운이 쇠하는 경우이고,  두 번째 사주는 남편이 아내의 넘치는 기운을 감당하기 힘들어하는 경우이다. 그래서 두 사주 각각의 부부 사이는 힘이 한쪽으로만 지나치게 쏠리는 다소 일방적이고 무정(無情)한 관계라는 추론이 가능해진다. 그 반면에 일지가 배우자 자리이기도 하므로 두 사주 각각의 배우자는 일간과 같은 견겁이어서 그만큼 서로 잘 통하고 유정(有情)할 것이라는 추론도 가능해진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반된 추론은 어떻게 이해될 수 있을까? 그리고 두 사주에서처럼 재성인 아내와 관살인 남편의 기운이 약해지는 상태이면, 각자 기운이 아주 센 배우자를 만나면 될 텐데 묘하게도 자신의 사주에서처럼 기운이 약한 배우자와 인연이 될 소지가 많다는 점이다. 이점은 또 어떻게 이해될 수 있을까?

 

 

02 다음 설명들에서 타당하지 않은 부분이 있으면 적합하게 고쳐보자.

 

 ㄱ. 사주에서 재성이 화다토초된 형상이면,  촉촉하고 감성적이며 다정다감하고 타인 배려적인 아내와 인연이 될 소지가 더 많다.

 

 ㄴ. 사주에서 관살이 화다수열되는 형상이면,  남편의 성적인 성향이 은근하고 느긋하기보다는 조급해하고 초조해하는 성향일 소지가 더 많다.

 

 ㄷ. 일간이 무토나 기토인 여자의 관살이 토다목절된 형상이면,  남편의 씨앗(정자)이 착근(수태)하기가 힘들어질 소지가 더 많다.

 

 ㄹ. 일간이 경금이나 신금인 여자의 관살이 금다화쇠된 형상이면,  남편이 화끈하게 타오르지 못하고 부부관계 도중에 식어버리는 성향일 소지가 더 많다.

 

 ㅁ. 사주에서 한 개의 특정한 기운이 태과하면 그 기운의 생과 극을 받는 오행에 해당하는 신체 부위는 튼튼해질 소지가 더 많다.

 

 ㅂ. 한 두 개의 오행 기운이 사주를 지배할수록 (예외적인 경우도 있지만) ‘사주 구성이 좋다’,  ‘짜임새가 좋다’,  ‘괜찮은 구성이다’,  ‘좋은 사주이다’ 라는 말을 들을 소지가 더 많다.

 

 ㅅ. 재성은 관살을 생한다. 즉 돈이(여자가) 권력을 낳기도 하고, 약해진 남편의 기운을 살리기도 한다. 반면에 재생살(財生殺)이기도 하다. 즉 돈과 여자가(탐욕이) 파멸(불명예)을 낳기도 한다.

 

 

03 수많은 소상공인 사업 분야 중에서 '전통차-커피 전문점, 커피숍',  '카페' 등을 창업하려고 계획하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어떤 조건들을 구비해야 할지,  그 조건들은 어떤 오행ㆍ육친들과 연계시킬 수 있을지,  그리고 연계된 그 오행ㆍ육친은 사주에서 어떤 구성이어야 할지 자유롭게 말해보자. 

 

 

 

 

 

丙 戊 戊 丙                壬 戊 己 乙

辰 戌 戌 辰                戌 辰 丑 巳

 

  월의 무술 일주는 견겁이 사주 전체를 지배하는 구성이다. 이처럼 견겁이 왕성하면 인수가(선생님이) 화생토하다가(가르치다가) 지쳐서 중도에 손들기 쉽다. 또한 관살로 목극토한다고 해도(회초리를 들어도) 효과는 별로인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즉 견겁이 지나치게 왕성한 사주는 스스로의 변화가 특히 중요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월의 무진 일주에서 년지 사화는 지나친 화생토로 인해 그 기운을 유지하기가 충분하지 못한 상태이다. 년간 을목이 목생화를 해준다고 해도 빠져나가는 기운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는, 초년 시절에는(年柱) 뜻을 세우고(을목정관) 공부를 곧잘 하기도(사화인수) 하는데 그것이 계속 지속되기에는 다소 벅차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1) 金氣 간지가 가장 적절하게 토생금을 받는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己 辛 壬 戊                辛 己 己 辛

丑 丑 戌 辰                未 亥 亥 未

 

丁 乙 庚 壬

丑 酉 戌 戌

 

  해설: 금기는 습토인 축토와 진토, 술월의 냉기가 있는 술토로부터 토생금을 잘 받는 경우가 많다.

 

 

2) 木氣 간지가 목극토하기 가장 힘든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戊 己 癸 乙                甲 壬 丁 壬

 

辰 未 未 丑                辰 辰 未 戌

 

 

 

己 癸 乙 戊

 

未 未 卯 辰

 

 

 해설: 목기가 자기계절(寅卯辰)의 목기이고, 수생목을 적절하게 받는 목기일수록 목극토를 잘하게 된다. 

 

 

3) 火氣 간지가 토다화진이 될 소지가 희박한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庚 丁 戊 辛                己 丙 庚 乙

戌 丑 戌 未                丑 戌 辰 丑

 

丁 丁 乙 辛

未 未 未 未

 

 해설: 자기계절(巳午未)의 화기, 목생화를 잘 받는 화기, 습토가 주변에 없는 화기일수록 토다화진될 소지가 희박하다. 

 

 

金氣가 태과한 사주 예

 

庚 癸 庚 庚                乙 庚 丁 辛

申 酉 辰 申                酉 子 酉 酉

 

  월의 계유 일주는 지나치게 과다한 상태인 금기가 일간 계수를 집중적으로 생해주고 있다. 이처럼 금기가 과다한 것에 비해 그것을 중화시켜 줄만한 수기나 목기가 부족하면 물에(시민사회단체에) 중금속이(불순한 후원자가) 많아져 오히려 탁해질 소지가 있으므로 정수기가(제도적 보완장치가) 필요하게 된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酉월의 경자 일주 역시 수기에 비해 금기가 과다한 구성이다. 이런 경우, 일지 자수는(신장-방광은) 탁한 물에 가까워 목기를() 생기 있게 생하기가 힘들 뿐 아니라, 생하는 것 자체가 해로울 수 있으므로(간의 해독작용을 오히려 약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음주 등에 특히 조심할 필요가 있다.

 

 

丁 丙 辛 戊                乙 庚 庚 戊

酉 申 酉 申                酉 午 申 申

 

丙 庚 庚 戊

戌 午 申 申

 

  酉월의 병신 일주는 금기가 한창 때인 월에 지지가 모두 금기이니 일간 병화의 기세가 약해질 수밖에 없다. 마치 녹여야할 철은 가득한데 용광로의 불은 쇠진하여 꺼져가는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일간 병화는 주변의 돈과 여자들에게 본의 아니게(줏대 없이) 끌려 다니는듯한 인상을 주기 쉽다.

 

  申월의 경오 일주에서 두 번째 을유시의 일지 오화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왕성해진 금기에 포위되어 있는 형상이다. 그러다 보니 일지 오화는(남편은) 혼자 힘으로 금기를(처갓집을) 감당하기 힘들다고 하소연하기 쉽다. 반면 세 번째 병술시의 사주는 두 번째 을유시의 사주와 십여 분의 차이로 시주만 다른 구성인데도 화기의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게 된다. 즉 시간의 병화가(남편이) 일지 오화를(자신의 근성을) 믿고, 처갓집을(아내, 처형, 처제 등을) 감당할 수 있다고 큰 소리 치는 형상인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큰 소리가 현실화 될지는 대운과 년운에서 병화의 기세가 얼마나 살아나느냐에 달렸다고 할 것이다.

 

 

 

 

 

甲 丙 庚 甲                丁 戊 丁 癸

午 午 午 午                巳 午 巳 卯

 

  월의 병오 일주에서 두 갑목은 목분(木焚)의 상태에월간 경금은(아내는) 녹아나는(초조하게 애간장을 태우는) 상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화기가 왕성한 구성이면 일간 병화는 무엇보다 자신의 단점인 불같이 급하고 직설적인 성질이 표출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 신체적으로는 고혈압과 기관지 질환, 간과 폐 등을 조심해야 한다.

 

  월의 무오 일주에서 년지 묘목과 년간 계수는 왕성한 화기로 인해 냉습한 기운을 거의 상실한 상태에 가깝다. 즉 사주가 지나치게 조열(燥熱)하여 부친과 남편이 자신들의 본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형국이다. 일간 무토는(나는) 화다토초에 가까워 화초를 생장케 하는 습윤한 토질과는 거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

 

 

1) 土氣 간지가 가장 적절하게 화생토를 받는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壬 戊 乙 乙                丁 戊 乙 乙

子 午 酉 亥                巳 午 酉 亥

 

丁 戊 甲 丙

巳 戌 午 午

 

 해설: 적절하게 화생토를 받는 경우는, 화기가 우선 질적으로 기운이 있으면서 토생금과 금생수 등으로 기운이 잘 소통되는 경우이다.

 

 

2) 水氣 간지가 적절하게 수극화할 수 있는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辛 甲 丙 壬                壬 丁 丙 壬

未 子 午 戌                寅 亥 午 戌

 

庚 壬 丁 戊

子 申 巳 午

 

 

3) 木氣 간지가 화다목분이 될 소지가 희박한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壬 乙 丙 戊                庚 甲 辛 己

午 卯 辰 午                午 午 未 未

 

丙 乙 丙 丁

子 未 午 巳

 

 해설: 수기, 금기, 습토 등의 냉습한 기운이 화기, 조토 등의 건조한 기운보다 강하면 목분이 아니라 목생화가 이루어진다. 

 

 

土氣가 태과한 사주 예     

 

辛 己 己 戊                己 戊 戊 甲

未 未 未 辰                未 申 辰 戌

 

  월의 기미 일주는 시간 신금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토기 간지이다. 기토는 독립개체적으로 잘 정리된 문전옥답으로 상징되지만, 이러한 구성이면 드넓은 건설용지의 형상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토기가 지나치게 과다하면 시간 신금을 생해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매몰시켜 그 가치를 둔화시킬 소지가 있다.

 

  월의 무신 일주는 일지 신금이 흙더미에 빙 둘러싸여 있는 형상이다. 같은 금매(金埋)라도 금기가 천간에 있는 경우는 밖으로 목이라도 내놓은 형상으로 연상되지만, 이처럼 지지에 있는 경우는 흙더미에 폭 파묻힌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일지는 배우자의 자리이기도 하므로) 사랑이라는 명목으로 배우자를 옴짝달싹 못하게 할 소지가 있다.  

 

 

乙 己 辛 甲                己 戊 戊 辛

丑 丑 未 戌                未 寅 戌 丑

 

  월의 기축 일주에서 년간 갑목과 시간 을목은 土多로 인해 땅에 뿌리를 충분히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금기식상 운이 대운이나 년운, 월운 등에서 이중으로 겹쳐서 오면 두 나무는(직장은, 남자는) 오래 버티지 못하고 넘어질(사표 쓸, 떠날) 소지가 많게 된다.

 

  월의 무인 일주에서 일지 인목은 토기에 둘러싸여 있는 형상이다. 즉 일지 인목관살 남편의 입장에서 보면 여자들에게 둘러싸여 있다고도 할 수 있다. 일간은(나는) 하나밖에 없는 남편을 애지중지 하려는데, 남편은 그런 속도 모르고 자꾸 다른 여자들한테 눈을 돌리려고 한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만일 남편의 사주에서 재성이 많다면 그럴 소지는 더 높아질 것이다.

 

 

 

 

甲 甲 癸 壬                丁 甲 乙 甲

戌 寅 卯 寅                卯 寅 亥 戌

 

  卯월의 갑인 일주는 전체적으로 목기가 지배하는 구성이다. 이처럼 목기가 강하면 수기를 흡수하여 줄어들게 한다. 즉 년간의 임수와 월간의 계수는 과다한 목기에 의해 수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가 벅차게 된다.  “나는 윗사람이나 후원자와 적당한 공생관계를 유지하기보다는 완전히 내편으로 만들어버리는 성향이다.”

 

  亥월의 갑인 일주 역시 목기가 지배하는 구성이다. 즉 월지 해수는 주변의 왕성한 목기에 기운을 빼앗겨 서서히 자신의 본성을 잃어갈 소지가 있다.  “어머니는 활기를 유지하려고 金氣를(당신의 귀인을) 필요로 하는데, 나에게는 어머니를 기쁘게 해드릴 관살이 없구나.”  만일 년지가 술토가 아니라 신금이면 해수의(모친의) 기운이 한층 활기 있게 될 것이다.

 

 

1) 火氣 간지가 적절하게 목생화를 받는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庚 丙 戊 庚                癸 丁 戊 庚

寅 寅 子 戌                卯 卯 子 戌

 

癸 辛 辛 辛

巳 卯 卯 亥

 

  해설: 적절하게 목생화를 받는다는 것은,  화기가 자신의 본성인 화극금을 어느 정도 할 수 있는 힘을 유지하게 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2) 金氣 간지가 금극목하기 가장 어려운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丁 庚 丁 甲                癸 丁 乙 乙

丑 申 卯 寅                卯 卯 酉 卯

 

乙 乙 丁 甲

酉 卯 卯 寅

 

  해설: 금기 간지가 적을수록,  토생금이 없을수록,  자기 절기(월지)가 아닌 금기일수록  금극목하기 힘들다고 본다.

 

 

3) 水氣 간지가 흡수되어버릴 소지가 희박한 사주를 찾고, 그 이유를 말해보자.  

 

乙 癸 甲 乙                壬 壬 戊 乙

卯 丑 申 卯                寅 寅 寅 卯

 

甲 甲 己 乙

戌 子 卯 卯

 

  해설: 금기의 생을 계속 받고 있는 형상인 수기는 목기가 많아도 목다수축(木多水縮)될 소지가 희박하다.

 

 

4) 수많은 직업 중에서 고속도로와 건설현장을 누비는 '대형트럭 및 특수차 기사',  '중장비 기사' 등의 일에 적합한 사람은 일반적으로 어떤 조건들을 구비해야 할지,  그 조건들은 어떤 오행ㆍ육친들과 연계시킬 수 있을지,  그리고 연계된 그 오행ㆍ육친은 사주에서 어떤 구성이어야 할지 자유롭게 말해보자. 

 

 

 

 

火氣가 태과한 사주 예

 

丙 丁 己 己                丁 癸 甲 丙

午 巳 巳 巳                巳 丑 午 午

 

  巳월의 정사 일주는 화기가 지나치게 왕성하다는 것이 한 눈에 들어오는 구성이다. 이렇게 화기가 맹렬하면 화생토가 화다토초(火多土燋)로 변하게 된다. 즉 년간과 월간의 기토는(자식들은) 불에 달구어져(나의 지나친 영향으로 인해) 작물 재배용의 토질과는 거리가 있게(자신들의 본성과는 어울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午월의 계축 일주 역시 화기가 왕성한 구성이다. 일지 축토는(남편은) 본래 냉하고 습기가 있어서 토극수하기(아내 다스리기가) 힘든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는 강렬한 화생토로 인해(주변의 원조로 인해) 단단해지게 되므로(심지가 굳게 되므로) 토극수도 가능해진다고 볼 수 있다.

 

 

丁 壬 癸 丙                己 甲 甲 丙

未 午 巳 午                巳 子 午 午

 

辛 壬 丁 戊

丑 午 巳 午

 

  癸巳월의 임오 일주에서 월간 계수와 일간 임수는 화다수열(火多水熱) 되는, 즉 끓어서 증발되는 상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더워지는 날에 기온이 높을 때는 시원한 냉수를 더 찾게 되는데, 이 사주는 그 반대이므로 그만큼 대중적인 인기가 덜해진다고 하겠다.

 

  甲午월의 갑자 일주에서 일지 자수는 화다수열로 증발되면서 나무에 흡수되어 그 본성인 유동성과 수극화를 유지하기가 불가능해 보이는 상태이다. 이런 경우는 자식의 육아를 친정어머니에게 맡기는 일이 없도록 유념할 필요가 있다. 만일 출생 시가 己巳시가 아니라 壬申시라면 상황이 반전될 소지가 있을 법하다.

 

  丁巳월의 임오 일주는 주변에 화기가 왕성하지만 일간 임수가 수열(水熱)로 완전히 증발되지는 않는 구성이다. 그것은 시간 신금이(어머니가) 축토의(외갓집의) 생을(도움을) 받아 미약한 힘이나마 나에게 금생수를(뒷바라지를) 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