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원(여) 아나운서,


주원 탤런트는


생일이 1987년 9월 30일로


서로 동일하다.


두 사람의 양력 三柱는 아래와 같다.


(이 생일은 음력이 없음)  

 

 

-     
-     

 

 

그리고


이영석 탤런트의 생일은


1987년 8월 8일인데

 

이 생일의 三柱는 아래와 같다.


                                                     (절입
節入일이고, 서머타임이 적용됨)


 

-                  -     

-                  -     

 

-    

-    

 

 

 

즉 1987년 8월 8일(음력) 생일은


양력 9월 30일과 같다.

 

즉 세 사람의 출생일이 어쩌면


정묘년 기유월 임오일로


서로 같을 지도 모른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과연 그럴까?

 

 

 

이주원 아나운서는 상명대무용학과, 미스충북진(2012년), mbc스포츠플러스아나운서.   주원 탤런트는 계원예술고, 성균관대연기예술학과, sbs연기대상대상(2015년).   이영석 탤런트는 2009년 연극 데뷔 등의 경력이다.

 

 


고민&연구1 


위의 기유월 임오일,  정미월 기축일,  무신월 기축일  세 三柱 중에서는 어떤 구성이 가장 짜임새가 좋으냐고 단적으로 꼭 묻는다면  기유월 임오일의 구성이라고 할 수 있는데, 타당한 말인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고민&연구2 


같은 연예인이라도 정미월 기축일과 무신월 기축일보다는  기유월 임오일의 구성이 (실제 연기력 등의 평가와 무관하게) ‘상(賞)복’과 ‘돈복’이 더 많다고 할 수 있고(왜?),  만일 기유월 임오일이 탤런트, 방송진행자, 아나운서 등의 직업이라면 時柱가 병오시나 정미시보다는  갑진시나 을사시인 경우가 좀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왜?).

 

 


고민&연구3 

 

정미월 기축일과  무신월 기축일은 경자, 신해 등의 운에,  기유월 임오일은 갑진, 을미 등의 운에,  특히 기유월 임오일의 남자는 중년 무렵의 을사, 갑진 대운에 (각자 연기자라면) 자신의 미흡한 연기력_표현력 등을 집중적으로 자연스럽게 발휘해 보는 것도 운세를 활용하는 방법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타당한 말인가?

 

 


고민&연구4 

 

위의 정묘년 기유월 임오일과 간지 구성은 같고, 年柱 月柱의 위치만 서로 다른 경우로  김찬우 탤런트의 양력 三柱가 아래에 있다. (1969년 3월 8일생,  89년 mbc공채탤런트) 

 


 -                  -    

 -                  -     

 

정묘월 임오일이  무진월 기사일보다 그 짜임새나 더 좋고(왜?),  탤런트나 배우 역할에도 (외모, 관상과 무관하게) 비교적 더 적합해 보이는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왜?). 그리고 (서로 동일한 간지를 갖고 있는) 정묘년 기유월 임오일이나  기유년 정묘월 임오일의 구성은  타고난 성향만으로 보면  공히 선이 굵고 거친 카리스마형 배역이나 그런 유형의 실제 사업가_장사꾼 스타일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고 할 수 있다(왜?).



 

  


한동우 신한금융지주회장(2011),


성상철 서울대학교병원장(2004),


박인숙(여) 의사-국회의원(2012)


생일이 1948 11 10일로


서로 동일하다.


세 사람의 양력, 음력 三柱는 아래와 같다.

 

 

-                  -     

-                  -     

 

 

 

두 三柱 중에서


세 사람의 생일은 어디에 해당할까?


서로 같을까?  다를까?


아니면 진짜 생일은 따로 있을까?




 

한동우 회장은 서울대법학과, 신한은행과장(1982), 신한생명보험대표이사(2002).   성상철 병원장은 서울대의학과-정형외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2014).   박인숙 의원은 (현재 프로필에는 생일 비공개) 서울대의학과, 울산대의대교수_소아청소년심장과 등의 경력이다.

 


 

고민&연구1

 

계해월 기해일과  갑자월 기사일의 三柱를 자연 형상에 비유해 보면,  전자 보다는 후자의 구성이  적절한 물과 큰 나무와 온기가 비교적 잘 어울어진 땅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자연 형상만으로 보면  후자의 전체적인 골격(骨格)_짜임새_효용성 등이  전자보다는 더 좋은 편이라고 할 수 있는데, 타당한 말인가?

 

 


고민&연구2


두 三柱에 공히 좋은 영향을 미치는 時柱는 병인시 등이고(?),  운세는 병인, 갑오, 갑술 운 등이 좋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吉한 時柱와 운세를 보다 적극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소지가 많은 구성은 갑자월 기사일이라고 할 수 있다(?).  

 

 

고민&연구3

 

자영업_개인사업 등에는 계해월 기해일이,  직장_공직생활 등에는 갑자월 기사일이 좀 더 적합한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연 형상, 時柱와 운세의 활용력, 육친 구성 등을 종합해 볼 때  세 사람의 경력사항에는 갑자월 기사일 三柱가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는데, 타당한 말인가?

 

 


고민&연구4


갑자월 기사일 三柱는 대략 15세부터 20세까지의 매년의 운, 즉 년운이 임인, 계묘, 갑진, 을사, 병오, 정미 순으로 진행된다. 즉 남녀 구분 없이 년운은 청운의 꿈을_뜻을 견고하게 다진 연후에 공부도 자연스럽게 하게 하는 운의 흐름이라고 해석할 수 있고, 이런 운의 흐름이면 재수(再修)를 해도 좋은 경우라고 할 수 있는데, 타당한 말인가?  

 

 

고민&연구5

 

위의 무자년 갑자월 기사일과 年支만 다른 경우로,  안재경 경찰청차장(2013)의 음력 三柱가 아래에 있다. (1958 11 8일생,  양력은 입동 절입일이라 月柱가 2개임,  조선대정치외교학과, 지방경찰청장, 경찰대학장 등의 경력)

 
-                  -     

-                  -     

 

-    

-    

 

 

임술월 기축일,  계해월 기축일,  갑자월 기사일,  세 三柱 중에서 공직조직에는 갑자월 기사일의 구성이 좀 더 잘 어울려 보이는 측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앞의 두 三柱가 조직생활에 잘 어울리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니다. 서로 엇비슷한 구성이면 時柱의 특정 기운보다는 月柱의 특정 기운이 영향력이 더 강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물론 본인의 성장환경이나 의지, 노력, 운세 활용도 등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01> ~ 06>에 나온  다음 三柱들 중에서, 자신이 상담 코칭을 해주고 싶은 三柱 10명을 선택하여, 그 사주마다의 짜임새(구성, 格, 그릇)을 가장 좋게(조화롭게, 균형있게) 해주는 출생시_時柱를 하나씩 제시하고 (총 10개), 그 이유를 서술해보자.

 


-                -     

-      申            -     

 

 

-  庚  辛  辛            -  乙  丁  庚

-  辰  丑  未            -  丑  亥  子

 

 
 -                  -     

 -      子            -     

 

 

-                  -     

-                  -     

 

 

-  壬  甲  乙            -  戊  乙  乙

-  寅  申  巳            -  辰  酉  巳

 

 

-                  -     

-                  -     

 

 

-  丙  庚  壬            -  癸  辛  壬

-  戌  戌  寅            -  丑  亥  寅

 

 
 -                  -     

 -                  -     

 


-                  -     

-                  -     

 

 

-  庚  甲  庚

-  子  申  申

 


 

참고:  時柱의 중요성으로,  年柱는 근,  月柱,  日柱,  時柱실實에 비유되기도 하고,  화룡점정(畵龍點睛: 용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찍는다)에 비유되기도 한다.  三柱마다의 이러한 최적의 時柱 파악하기는 곧 해당 사주의 구조적인 강약점과 그 보완책 파악이기도 하다.

 

 

 

문제:  (예를 들어)  年干이 官,  月干이 印,  時干이 財인 사주들은  대체로 어떠한 삶을 살아갈까?  위의 三柱들 중에서  초년에 청운의 꿈을 품고 죽어라 공부하고 말년에 부(富)도 얻는 방향으로 노력할 소지가 많은 三柱를 하나만 제시하고,  그 이유를 서술해보자.

 

 

 

 

 

 

조현재 탤런트,

 

송이진(여) 방송인,

 

김경옥(여) 아나운서는

 

생일이 1980년 5월 9일로

 

서로 동일하다.

 

세 사람의 양력, 음력 三柱는 아래와 같다.

 

 

-                  -     

-                  -     

 

 

 

그리고

 

김형석 연세대철학과교수의 생일은

 

1920년 7월 6일이고

 

양력, 음력의 三柱는 아래와 같다.

 

 

-                  -     

-                  -     

 

 

 

즉 1920년 7월 6일(양력) 생일은

 

60년 후의 1980년 5월 9일(음력)과 같다.

 

즉 네 사람의 출생일이 혹시

 

경신년 임오월 을축일로

 

서로 같을지도 모른다는 추론도 가능하다.

 

과연 그럴까? 

 

 

 

 

고민&연구1

 

위의 신사월 임오일,  임오월 을축일,  갑신월 기유일 중에서 그 짜임새가_구성이_格이 조금이라도 더 좋은 三柱를 굳이 하나만 추천하라고 한다면,  임오월 을축일이라고 할 수 있는데, 타당한 말인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고민&연구2 

 

신사월 임오일은 “더운 날 사이다 같은 시원함, 사고력” 등이 장점이라면  “자연스러운 끼, 표현력, 절제력 등의 부족”이 단점일 수 있고(왜?),  임오월 을축일은 “순리(順理)와 정도(正道), 균형조화” 등이 장점이라면  “전통적인 남성성, 잡초 근성, 스케일 등의 부족”이 단점일 수 있다(왜?). 그러면 갑신월 기유일은 어떠한 장단점의 소유자라고 할 수 있을까?

 

 

 

고민&연구3 

 

저서와 수필집 등을 통해 익히 알려진 김형석 교수의 경력사항에는 갑신월 기유일 보다는 임오월 을축일의 三柱가 더 가깝다고 할 수 있는데, 타당한 말인가?  그리고 경신년 임오월 을축일, 이 三柱는 1980년 6월 21일(양력)에도 해당하는데, 이 날 출생한 (時柱까지 같은) 사람들은 어떠한 모습의 인생을 살까?  과연 자신들의 강점인 순리와 정도, 균형과 조화의 가치에 비중을 더 두는 삶을 살까?  험한 세상 세파에 떠밀려 억지와 반칙, 편견과 편향에 물든 삶을 살지는 않을까?

 

 

 

고민&연구4 

 

경신년 임오월 을축일 三柱와  日支만 다른 경우로,  안병욱 숭실대철학과교수의 (양력, 음력의) 三柱가 아래에 있다. (1920년 6월 26일생)

 

-                  -     

-                  -     

 

 

역시 저서와 수필집 등으로 익히 알려진 안병욱 교수는 위의 두 三柱 중 어디에 더 가까울까?  김형석 교수와 닮은 듯한 인생 모습이라고 해서 사주도 닮은 듯한 모습일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  위의 임오월 을묘일과 갑신월 경자일의 큰 차이 중의 하나가 “돈_재물_실리를 추구하는 방법과 그 관심도”의 차이라고 할 수 있는데, 타당한 말인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 Recent posts